폭염 속 노동 가장 취약한 곳은?
기상청 분석…비닐하우스 속, 밭보다 3.9도 높고
설 때보다 허리 굽히거나 앉았을 때 1.8도 뜨거워
설 때보다 허리 굽히거나 앉았을 때 1.8도 뜨거워
논보다는 과수원, 과수원보다는 밭에서 일하는 사람이 폭염에 더 취약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밭에서 허리를 굽히거나 앉아서 일할 경우, 서서 일할 때보다 더 뜨거운 기온에 노출된다는 분석 결과도 제기됐다.
기상청은 19일 이같은 내용의 ‘폭염 특별관측’ 중간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폭염 특별관측은 시민들이 실제로 생활하거나 여행하는 공간에서 폭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이동형 기상관측장비를 통해 여러 환경에서 한시적으로 수행된 비정규 기상관측이다.
기상청은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논, 밭, 비닐하우스 등 농업환경과 계곡, 휴양림 등 총 14개 지점에서 특별관측을 실시하고 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폭염 시 평균 일최고기온은 비닐하우스, 밭(고추), 과수원(배), 논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수원은 논보다 평균 일최고기온이 0.5도 높았으며, 밭은 과수원보다 0.4도 높은 기온을 보였다.
비닐하우스의 경우 밭보다 일최고기온이 평균 3.9도 더 높았으며, 비교적 가장 기온이 낮은 논과 비교하면 평균 5.2도까지 차이가 벌어졌다.
햇빛이 강했던 지난 7월 8일 오후 2시께에는 비닐하우스 내 온도가 인근에 비해 최대 11.5도 더 올라갔다는 것이 기상청 설명이다.
농작업을 하는 높이에 따라서도 기온이 차이가 난다는 점도 확인됐다.
밭에서 높이별 기온을 관측한 결과, 성인의 평균 얼굴 높이인 지상 150㎝ 지점의 일최고기온보다 허리를 굽히거나 앉아서 일하는 높이인 지상 50㎝의 기온이 평균 1.8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그늘의 일최고기온은 밭에서 일할 때와 비교해 최대 3도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상청 관계자는 “비닐하우스나 밭에서 일하는 경우 폭염 영향을 받기 쉬우니 인근 그늘에서 주기적으로 휴식을 취해야한다”고 당부했다.
/양재희 기자 heestory@kwangju.co.kr
또 밭에서 허리를 굽히거나 앉아서 일할 경우, 서서 일할 때보다 더 뜨거운 기온에 노출된다는 분석 결과도 제기됐다.
기상청은 19일 이같은 내용의 ‘폭염 특별관측’ 중간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기상청은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논, 밭, 비닐하우스 등 농업환경과 계곡, 휴양림 등 총 14개 지점에서 특별관측을 실시하고 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폭염 시 평균 일최고기온은 비닐하우스, 밭(고추), 과수원(배), 논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수원은 논보다 평균 일최고기온이 0.5도 높았으며, 밭은 과수원보다 0.4도 높은 기온을 보였다.
비닐하우스의 경우 밭보다 일최고기온이 평균 3.9도 더 높았으며, 비교적 가장 기온이 낮은 논과 비교하면 평균 5.2도까지 차이가 벌어졌다.
농작업을 하는 높이에 따라서도 기온이 차이가 난다는 점도 확인됐다.
밭에서 높이별 기온을 관측한 결과, 성인의 평균 얼굴 높이인 지상 150㎝ 지점의 일최고기온보다 허리를 굽히거나 앉아서 일하는 높이인 지상 50㎝의 기온이 평균 1.8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그늘의 일최고기온은 밭에서 일할 때와 비교해 최대 3도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상청 관계자는 “비닐하우스나 밭에서 일하는 경우 폭염 영향을 받기 쉬우니 인근 그늘에서 주기적으로 휴식을 취해야한다”고 당부했다.
/양재희 기자 heestor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