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시·도 당원 30만명 입당…지방선거도 당심이 좌우하나
당원 중심 당 운영 방침 따라 조직표 확보 경쟁에 역대급 접수
불·편법 동원 등 부작용도 속출…권리당원 투표율 최대변수로
2025년 08월 18일(월) 19:55
더불어민주당이 ‘당원 중심 운영’을 강조하면서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텃밭인 광주·전남지역 당원 접수가 역대급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민주당 8·2 전당대회에서도 역대급 권리당원 투표율을 기록하면서 그동안 권리를 행사하지 않았던 ‘소극적 당원’의 경선 투표도 예상되고 있어 내년 지방선거에서 ‘권리당원의 투표율’이 최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반면, 과도한 경쟁 탓에 대리 서명·접수, 동일 인터넷 IP주소 사용 등 불·편법 당원 접수 사례도 상당 수 적발되는 등 부작용도 속출하고 있다.

18일 민주당에 따르면 광주·전남 신규당원 접수 마감 결과 각각 15만여장씩, 모두 30만여명의 지역민이 접수했다. 이들 중 심사를 통과해 당원이 된 유권자 중 내년 지방선거 권리 행사일 이전까지 6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하면 권리당원 자격을 얻을 수 있다.

지난 전당대회 기준 호남의 권리당원은 37만여명으로 추산되고 있어 이들 신규 당원의 권리당원 자격 획득 여부에 따라 최종 권리 당원 수가 확정된다.

이들 중 상당수는 자격을 얻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일반 당원 접수 자체가 30만명으로 역대급 수준이기 때문에 내년 지방선거 권리당원 수는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민주당 광주시당은 최근 인력 충원을 통해 오는 9월 12일까지 신규 당원 입력 과정을 거쳐 최종 당원을 확정할 계획이며, 전남도당은 오는 31일까지 같은 작업을 통해 입당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민주당은 이 과정을 통해 당적부상 주소지가 주택으로 기재돼 있을 경우 실거주 여부를, 직장·사업장·학교로 돼 있을 경우 근무·재학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특히 주소지 일치, 동일한 필체, 동일 인터넷IP 주소 검증 등을 통해 ‘무더기 부적격자’ 처리될 가능성도 남아 있고, 향후 6개월 당비 납부 여부 등도 지켜봐야 실제 내년 지방선거 경선에 참여하게 될 권리당원 규모가 확정된다.

권리당원 모집 경쟁이 치열해 진 것은 민주당의 당원 중심 당 운영 방침에 따라 내년 지방선거에서도 당원의 표심이 중요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민주당 한 관계자는 “당원과 일반여론조사 각각 50%를 적용했던 그동안의 당 경선에서 당원 표심이 일반여론조사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면서 “구체적인 경선룰이 정해지지는 않았지만 내년 지방선거에서도 당원 투표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민주당 정청래 대표도 ‘경선 과정에 컷오프(공천배제)를 없애 모든 후보에게 기회를 주고, 당원 중심의 공천을 하겠다’고 여러 차례 강조하면서 광주·전남지역 당원 모집 경쟁이 더욱 치열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당원 모집 경쟁 탓에 부작용도 속출하고 있다. 현재 일부 선거구에서 한 명의 필체로 작성된 입당서류가 무더기 접수돼 전체 반려됐고, 주소지 이전을 악용하는 사례도 다수 적발됐다.

또 동일한 필체와 주소지 확인 등의 절차를 피하기 위해 동일 인터넷IP 주소에서 무더기 인터넷 당원 접수 사례도 다수 적발돼 민주당이 자체 조사에 나서고 있다.

한편, 민주당은 ‘소극적 권리당원의 투표율’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난 8·2 전당대회에서 과거 25~30%선에 머물던 권리당원 투표율이 역대 최고수준인 51.24%에 달할 정도로 당원들의 자발적인 투표가 이어졌다. 이는 지역위원장과 현역 정치인 등이 이끄는 ‘조직표’ 이외에 소극적 권리당원이 투표율을 끌어 올렸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현재 광주·전남 지역위원회별로 30~40%의 권리당원은 당직을 20~30년간 유지하면서도 별다른 투표를 하지 않는 소극적 권리당원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이 내년 지방선거에서도 적극적으로 투표에 나선다면 8·2 전당대회에 이어 ‘당원 표심’이 승부를 결정짓는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55514500788193372
프린트 시간 : 2025년 08월 22일 03:1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