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비관세 장벽 철폐·픽업트럭 수입 개방…국내 픽업트럭 ‘긴장’
트럼프 ‘車 시장 개방’ 후속 조치 주목…검사·인증 절차 등 변수
국내 픽업 시장 선도 기아 타스만 등 시장 판도 변화 예의주시
2025년 08월 11일(월) 18:38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한미 간 관세 협상 타결과 관련해 “한국이 미국과 ‘완전개방’ 하기로 했다”고 밝히면서 국내 자동차 산업에 미칠 영향 등을 놓고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기아 타스만 출시를 계기로 모처럼 인기를 끌고 있는 국내 픽업 트럭 시장이 미국차 가세 여부 등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11일 자동차 업계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자신의 SNS를 통해 “한국은 미국과의 교역에 완전히 개방하기로 하고 자동차와 트럭, 농산물 등 미국산 제품을 받아들이기로 합의했다”고 밝힌 상태다. 자동차 업계는 해당 발언에 대해 일단 관세보다는 ‘비관세 장벽 철폐’에 대한 언급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미 한국은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수입차 시장이 활발히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한국 수입차 시장에서 미국산 차량의 점유율은 17.5%에 달해 유럽(72.0%) 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6월 한 달만 놓고 보면 25.7%로 미국산 수입차 시장 비중이 2.8%에 불과한 일본과 비교하면 낮지 않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시장 개방보다는 규제 철폐, 비관세 장벽 해소에 무게가 실린다. 실제 주한미국상공회의소(암참)는 지난해 발표한 보고서에서 한국 자동차 산업의 ‘기울어진 운동장’을 지적하며 기술적·환경적 기준이 미국산 차량 수입에 장애가 된다고 지적한 바 있다.

대표적으로 부처별 중복 규제, 원산지에 따른 인증 기준 상이, 미국보다 엄격한 환경 규제 등이 주요 비관세 장벽으로 꼽힌다. 암참은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국토교통부), 에너지 효율 등급제(산업통상자원부), 전기차 인증·보조금 평가(환경부) 등을 언급하며 “규제들이 사전 조율 없이 부처별로 무분별하게 신설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 한국은 국토교통부, 환경부 등의 정부 주도 검사와 인증 절차를 거쳐야만 차량을 판매할 수 있는데 미국은 제조사 자체적으로 안전성과 환경성을 입증하는 자기인증 제도를 운영하고 있어 제도 간 차이도 크다.

또 이번 협상에서 주목되는 점은 미국산 대형 픽업트럭 수입 확대 가능성이다. 픽업트럭은 미국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 SUV와 함께 70%에 달하는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는 차급이다. 제너럴모터스(GM), 포드 등은 경쟁력 있는 픽업트럭 모델을 보유하고 있지만 한국 시장에서는 그간 좁은 도로 환경과 온실가스 규제 등을 이유로 진입이 어려웠다.

그러나 최근 ‘차박’ 문화 확산과 아웃도어·레저 트렌드 급부상에 힘입어 국내에서도 픽업트럭 수요가 늘고 있다. 기아 ‘타스만’, KGM ‘렉스턴 스포츠’ 등 국산 브랜드의 픽업트럭 출시가 이어지면서 시장 분위기가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측이 이러한 변화를 인지하고 자국 브랜드의 시장 진출 기회 확대를 노릴 가능성도 크다는 분석이다.

일부에선 이 같은 환경 변화가 오히려 국내 완성차 업체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국내 픽업트럭 시장은 아직 성장 초기 단계로 규제가 완화되고 수요 확대가 예상된다면 우리나라의 신차가 더 유리한 경쟁 구도를 확보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자동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논의가 현실화될 경우 미국산 차량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는 것은 분명하지만 동시에 국산 브랜드가 새롭게 개척 중인 픽업트럭 시장의 기반이 넓어질 가능성도 있다”며 “향후 협상 결과와 국내 규제 완화 흐름에 따라 시장 판도가 달라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54905125787936005
프린트 시간 : 2025년 08월 11일 23:4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