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파 싸움에 민생은 뒷전… 넋나간 광주시의원들
예결위 9명 중 민주당이 7명인데 무소속 위원장·국힘 부위원장 선출
내년 지방선거 앞두고 갈등 …해당 행위 서슴지 않고 밀실 야합까지
내란 옹호 ‘자유총연맹’ 지원 조례 추진…AI 산업·폭우 대책은 ‘외면’
2025년 07월 27일(일) 21:10
광주시의회 전경.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6년 6월 3일)가 310여일 남았지만, 광주시의회 의원들은 민생회복 보다는 차기 지방선거를 염두에 둔 ‘잿밥’에만 관심이 많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고물가·고환율·고금리 등 이른바 ‘신(新) 3고’로 민생 경제의 어려움이 날로 커지고 있는 와중에 머리를 맞대기는커녕 의원들 간 갈등과 차기 지방선거를 앞두고 계파싸움에만 몰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27일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 등에 따르면 광주시의회가 개원 이래 처음으로 무소속 시의원을 예산결산특위 위원장으로 선출하는 과정에서 일명 ‘밀실 쪽지 투표’를 진행한 것을 확인하고 해당(害黨) 행위 여부를 조사중이다.

시의원들끼리만 담합을 해 ‘쪽지 투표’를 진행하고도 투표 사실을 감추기로 입을 맞추는 등 투명해야할 의회가 스스로 민주주의 원칙을 스스로 무너뜨리고 민주당 당론과 내부 합의를 반하는 행위를 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9명의 예결위원 중 7명이 민주당 소속임에도 불구하고 나머지 2명인 무소속 의원과 국민의힘 의원이 각 위원장과 부위원장으로 선출 됐기 때문이다.

민주당 소속 예결위원들이 이 같은 결정을 한 배경은 친분, 계파 등 다양한 분석이 나오고 있지만, 내년 지방선거를 염두에 둔 포석이라는 분석이 대부분이다.

당초 민주당 서임석 시의원이 1년 전 시의회 원 구성 당시 민주당 의원들 간의 합의를 통해 차기 예결위원장으로 내정됐으나, 예결위원으로 추천받지 못한 점이 그 이유다.

소속 상임위인 행정자치위원회에서 추천받지 못했고, 의장조차도 의장 몫을 소수정당을 배려한다는 명목으로 무소속 의원을 추천했기 때문이다.

1년 전 민주당 의원들 간 합의가 깨지면서 갈등이 빚어진 것은 결국 내년 지방선거를 포석해 둔 것이라는 게 시의원 안팎에서 이야기가 파다하다.

“신 의장이 차기 지방선거에서 북구청장 출마를 위해 북구 선거구인 무소속 심창욱 의원을 챙긴 것 아니겠느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시민들의 민생회복을 위해 위해 힘써야 할 민주당 의원들끼리 내재된 감정싸움과 의원들 간 소통 부족, 내년 지방선거를 앞둔 계파 갈등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역량을 모으지 못하고 있고, 내란당인 국민의힘 의원을 지역예산을 결정하는 예결의 부위원장에 임명하는 초유의 사태에 직면한 것이다.

특히 ‘괴물폭우’로 많은 피해가 발생한 지난 18일 광주시의회는 예산결산특별위원 선임을 위한 전체 의원 간담회에서 갈등을 빚으면서 본회의 조차 1시간이나 지연시켰다.

시민을 대표한다는 시의원들이 극한 호우 피해를 입은 시민들은 뒷전인 채, 1년여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를 포석한 ‘자리 싸움’만 한 것이다.

광주시의회가 이처럼 의원들 간 갈등과 ‘자리 다툼’에 몰두하게 된 배경에는 하반기 의장단 선거가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당시 일부 상임위원장 선출을 놓고 두 차례 부결이 이뤄지는 등 진통을 거듭했고, 운영위원장 탄핵을 추진하면서 의원들 간 감정의 골은 더욱 커졌다. 하지만, 이를 정리해야 할 의장이 그 역할을 제대로 못하면서 의원들 간 말 그래도 ‘각개 전투’를 벌이고 있다는 게 시의회 안팎의 해석이다. 또한, 지난 총선에서 광주지역 국회의원 8명 중 7명이 교체되다 보니 시의원들이 자신들의 향후 거취 문제에 집착하면서 차기 지방선거만 염두하다보니 이같은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런 상황이다 보니 전체 23석 중 21석을 차지하는 민주당이 내란옹호 단체인 한국자유총연맹을 지원하는 조례 제정을 추진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 달 광주시의회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옹호 단체인 한국자유총연맹을 지원하는 조례 제정을 추진하다가 시민사회의 강한 반발에 철회했다.

이밖에도 광주시가 집중하고 있는 미래 먹거리인 국가AI시범도시와 AI모빌리티 산업 등에 대해서는 광주시의회의 활동은 전무한 상황이라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시의회가 집행부를 감시·견제를 하면서도 동반자로서 지역 발전을 위한 목소리를 내거나 활동을 한 것은 전무하기 때문이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53618200787272373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28일 00:5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