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시의원 아무도 해당행위 안 했다는데…어떻게 무소속이 당선?
광주시의회 예결위원장 선출 미스터리
![]() |
더불어민주당이 광주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장 선출 과정에 대한 민주당 소속 시의원들의 해당행위에 대한 진상조사를 진행하고 있어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앞서 지난 2020년 광주 서구의회 후반기 의장단 선거 과정에서 당론을 어긴 민주당 소속 서구의회 의원 4명에 대해 제명처리한 사례가 있다는 점에서 이번 진상조사를 통해 징계 수위가 어느 정도로 나올지 주목되기 때문이다.
27일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에 따르면 광주시의회가 ‘밀실 쪽지 투표’<7월 24일자 광주일보 5면>를 통해 무소속과 국민의힘 시의원을 예산결산특위 위원장과 부위원장으로 선출하는 과정에 ‘해당(害黨) 행위’가 있었는지 여부에 대해 조사할 방침이다. 민주당 광주시당 뿐 아니라 중앙당 차원에서도 민주당 소속 시의원들의 해당행위 여부를 들여다 보고 있는 것이다. 무소속 심창욱(북구 5선거구) 시의원, 국민의힘 김용임(비례) 시의원을 각각 예산결산특위 위원장과 부위원장으로 임명한 나머지 7명의 예결위원이 모두 민주당 소속이라는 점에서다.
민주당은 지난해 12·3 불법계엄 이후 내란 사태를 민주당의 당론과 합심으로 극복했다는 점에서 기초지자체 차원의 해당행위를 묵과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또 예결위원 선임 과정에서 갈등이 빚어지자 민주당 광주시당 양부남 위원장은 신수정 광주시의장에게 “시 의원들과 잘 합의해 좋은 결론을 도출하라”고 당론을 전달했음에도 합의가 진행되지 않았다.
문제는 7명의 더불어 민주당 강수훈(서구 1선거구)·김나윤(북구 6선거구)·박미정(동구 2선거구)·이귀순(광산구 4선거구)·정다은(북구 2선거구)·정무창(광산구 2선거구)·채은지(비례) 의원 모두 해당행위를 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7명의 민주당 소속 시의원들은 모두 예결위 위원장으로 입후보한 무소속 심창욱 의원과 민주당 소속 박미정의원 중 박 의원을 뽑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결론은 무소속 심창욱 의원이 다수표를 받았다는 결과가 나왔다.
비공개 회의에서 밀실 투표를 하면서 투표와 개표는 모두 정무창 의원이 혼자 진행 투표 결과조차 알려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정 의원이 거짓으로 투표 결과를 발표 했거나, 투표에 임한 7명의 의원 중 일부 의원들이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이다.
정 의원은 “예결 위원장 투표 결과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없으며, 투표 용지조차 모두 폐기 된 상태”라고 말했다.
지난 2020년 기초의회 의장단 선거 과정에 당론을 어겨 더불어민주당 서구의회 의원 4명이 중앙당에서 제명당한 사례가 있다는 점에서 결국 이번 사태에서 광주시의회 의원들의 대규모 제명사태가 재발 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앞서 지난 2020년 광주 서구의회 후반기 의장단 선거 과정에서 당론을 어긴 민주당 소속 서구의회 의원 4명에 대해 제명처리한 사례가 있다는 점에서 이번 진상조사를 통해 징계 수위가 어느 정도로 나올지 주목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7명의 더불어 민주당 강수훈(서구 1선거구)·김나윤(북구 6선거구)·박미정(동구 2선거구)·이귀순(광산구 4선거구)·정다은(북구 2선거구)·정무창(광산구 2선거구)·채은지(비례) 의원 모두 해당행위를 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7명의 민주당 소속 시의원들은 모두 예결위 위원장으로 입후보한 무소속 심창욱 의원과 민주당 소속 박미정의원 중 박 의원을 뽑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결론은 무소속 심창욱 의원이 다수표를 받았다는 결과가 나왔다.
비공개 회의에서 밀실 투표를 하면서 투표와 개표는 모두 정무창 의원이 혼자 진행 투표 결과조차 알려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정 의원이 거짓으로 투표 결과를 발표 했거나, 투표에 임한 7명의 의원 중 일부 의원들이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이다.
정 의원은 “예결 위원장 투표 결과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없으며, 투표 용지조차 모두 폐기 된 상태”라고 말했다.
지난 2020년 기초의회 의장단 선거 과정에 당론을 어겨 더불어민주당 서구의회 의원 4명이 중앙당에서 제명당한 사례가 있다는 점에서 결국 이번 사태에서 광주시의회 의원들의 대규모 제명사태가 재발 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