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에 수산물 피해 급증…전문기관 설립 절실
2025년 07월 11일(금) 00:00
연일 계속되는 살인 폭염에 국내 최대 양식 수산물 생산지인 전남의 수산물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전남은 전복·넙치·조피볼락 등 전국 양식 수산물 생산량의 75%를 차지하고 있다.

해를 거듭할수록 심해지는 폭염은 바닷물 온도도 높여 양식어종이 폐사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지난 9일 올 들어 처음으로 서해와 남해 연안 일부에 고수온주의보를 발령했다. 고수온주의보는 연안 수온이 섭씨 28도에 도달할때 발효하는 것으로 지난해보다 15일 빨랐다. 전복과 볼락은 28도, 넙치는 29도를 넘으면 폐사할 가능성이 커지는데 벌써 고수온주의보가 발령돼 어민들의 걱정이 크다.

2023년 57일이던 고수온주의보 발령 일수는 지난해 71일로 늘었다. 이로 인해 2022년 10억원에 불과하던 전남지역 어가의 고수온 피해액는 2023년 218억원으로 20배 이상 급증했다.

지난해에는 990어가에서 2582만 마리가 폐사해 574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3년만에 피해액이 58배나 급증했는데 올해는 더 빨리 고수온주의보가 발령돼 피해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우려가 크다.

전남도를 비롯해 지자체에서 나름의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임시방편에 불과하다. 폭염 전에 조기 출하 하거나 더위에 강한 어종으로 바꾸려고 해보지만 수요와 가격이 맞지 않아 현실적으로 어렵고 백신과 면역 증강제 투입도 근본적인 대책이 되지 못하고 있다.

근본적인 대책은 국가 차원에서 기후위기 시대 어업재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해양수산 기후변화대응센터’를 설립하는 것이다. 전남도가 타당성 조사 용역에 착수하고 정부를 상대로 유치 노력을 하는 이유다. 정부는 하루빨리 해양수산 기후변화대응센터를 설립해 위기 대응에 나서야 한다. 설립한다면 해양수산의 최전선인 전남에 하는 것이 효율성을 높이는 일이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52159600786480074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11일 22:3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