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도교육감 “세계시민·생태환경교육, K-교육 모델 완성하겠다”
취임 3주년 기념 성과·계획 발표
2025년 07월 03일(목) 19:45
김대중 전남도교육감이 3일 청사 2층 대회의실에서 주민 직선 4기 남은 1년 전남교육 정책 추진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지역을 살리고 세계를 품는 글로컬 전남교육으로 대한민국의 힘찬 미래를 열어가겠습니다.”

김대중 전남도교육감은 3일 청사 2층 대회의실에서 주민 직선 4기 전남교육 출범 3주년 기자회견을 갖고 “호남은 민주주의의 씨앗을 뿌린 곳이며, 이제는 교육의 미래를 이끄는 중심이 되고 있다”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김 교육감은 또 지역에 맞는 교육제도 개편 등 남은 1년 전남교육의 정책 방향과 비전을 제시했다.

그는 “지난 3년간의 성과를 원동력 삼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K-교육 모델을 완성하겠다”며 K-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한 세계시민교육, 생태환경교육,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교육을 핵심 전략으로 내놓았다.

도 교육청은 이에 발맞춰 기간제 교사 채용이 어려운 도서 지역 학생들을 위한 교원 기초정원제 확대, 지역 맞춤형 교원 양성 등 지역 실정에 맞는 제도 개편을 중앙정부에 요청할 계획이다.

지역균형발전과 고등교육 혁신을 위해 지역 거점 국립대학 육성과 전남 국립의과대학 설립에도 목소리를 낼 방침이다.

김 교육감은 “핵심전략이 전남교육 현장에 안착하기 위해선 지역 특성에 발맞춘 교육 여건과 제도 개선이 뒤따라야 한다”라며 “지역대학의 역할 확대도 적극적으로 지지하겠다”라고 강조했다.

도 교육청은 또 지속가능한 교육생태계 조성을 위해 전남형 작은학교 모델 도입 등 학교마다 차별화한 교육 경쟁력을 구축한다.

2026년 개교 예정인 전남미래국제고등학교는 지역 산업 인력을 키우고 인구 감소에 대응하는 직업교육특화 모델로 키우고, 기술·인성을 겸비한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선취업-후학습 체계도 강화한다.

‘2024 대한민국 글로컬 미래교육박람회’ 연장선으로 올해 하반기에는 ‘2025 전남교육 작은 박람회’를 열고, 글로컬 교육콘퍼런스·2030수업축제·전남교육 성과나눔 등도 선보일 방침이다.

김 교육감은 “교육활동 침해가 특정 지역에 집중되고 있어 발생 빈도가 높은 현장을 밀착 지원하겠다”며 학교 현장 지원 강화와 교육활동 보호 체계 정비도 약속했다.

이와 함께 현장체험학습·폐쇄회로(CC)TV 운영 등 학교 부담이 컸던 23건의 행정업무를 각 시군에 설치한 학교종합지원센터에서 전담하도록 하고, 본청 조직을 감축해 재배치된 31명의 인력을 현장에 투입하기로 했다.

김대중 전남도교육감은 “교사들이 교육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행정과 제도를 과감히 정비하고, 현장 중심의 정책으로 주민 직선 4기 전남교육의 완성도를 더욱 높이겠다”면서 “교육으로 지역의 희망이 살아난다면, 세계의 인재들이 전남으로 와 번영의 미래를 함께 열어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김대성 기자 bigkim@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51539500786182021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04일 07: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