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나는 반려동물 놀이터 반려인 도덕의식 높아져야
서구, 10월 풍암생활체육공원에 광주 첫 지자체 운영 시설
남구·북구 2027년까지…나주·해남 예정 등 전남에도 11곳
배설물 방치·소음 등 민원 지속…의식 캠페인·교육 등 필요
2025년 07월 01일(화) 21:30
목포시 옥암동 일대에 조성된 반려동물 놀이터 모습. <전남도 제공>
광주·전남 자치단체들이 반려동물 가정이 늘어난 데 발맞춰 반려인을 위한 공공시설 확충에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공공 공간에 시설을 만들기 앞서 반려인들의 도덕 의식부터 높여야한다며 반발하는 목소리도 나와 갈등 조정 역할도 필요한 실정이다.

광주시 서구는 오는 10월 개장을 목표로 반려동물 전용 놀이터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고 1일 밝혔다.

서구는 지난달 20일 풍암생활체육공원 내 중앙근린공원 서빛마루 뒷편 언덕 부지(800~1000㎡)에 반려동물 놀이터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고시했다. 빠르면 10월 말 개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광주 지역 최초로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반려동물 놀이시설이 만들어지는 셈이다. 광주시 광산구 소촌동 수랑공원 일대에도 반려동물 놀이터 조성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민간이 추진하는 사업이며 당초 2023년 준공 예정이었으나 2028년으로 미뤄졌다.

광주시는 서구 외에도 2027년까지 북구·남구에 각각 1곳씩 반려동물 놀이터를 추가 조성할 계획이다. 예산은 개소당 시비 1억2000만원, 구비 3000만원을 투입해 1000㎡ 규모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며 중앙공원(서구)에 이어 우산·우치공원(북구), 월산공원(남구) 등 총 3개 구역이 용역 대상지로 검토되고 있다.

반려동물 놀이터 조성은 전남에서도 활발히 추진 중이다. 현재까지 전남에는 여수·순천·광양·무안·완도·목포 등 총 11개소의 반려동물 놀이터가 조성됐다.

순천시 조곡동 일대에 조성된 반려동물 놀이터 모습. <전남도 제공>
순천시는 지난 2023년 103억원을 들여 철도공원 인근에 반려동물 문화센터를 개소했으며, 1800㎡ 규모의 실외 놀이터도 운영 중이다. 센터의 이용객은 2023년 6100명에서 지난해 1만 명으로 63% 증가했다.

해남군은 75억원을 들여 오는 2027년까지 오시아노 관광단지 내 반려동물 테마파크 조성 사업을 추진 중이며, 나주시도 금천면 일원에 110억원을 투입해 2026년 착공을 목표로 테마파크 조성을 준비 중이다.

반면 시설 설치에 반대하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지난달 26일 서구의 문자민원 서비스 ‘문자하랑께’를 통해 “반려동물 놀이터는 혐오시설인데 왜 장소부터 정하고 보느냐”는 민원이 접수됐다. 이 민원인은 “반려동물을 이뻐하는 사람도 많지만 싫어하는 사람도 있다”, “배설물 문제나 냄새, 짖음 등 생활 불편이 많다”고 반대 입장을 밝혔다.

지난해 4월에도 무안군이 일로읍 오룡리에 5400㎡ 규모로 반려동물 놀이터를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하자, 주민들이 설치 반대 목소리를 잇따라 내기도 했다. 당시 주민들은 “반려견에게 목줄을 안 채우는 견주에 의해 개물림 사고가 날 수 있다”, “인접 100여m 거리에 주거 시설이 들어서고, 인근에 초등학교도 2곳 들어설 예정이라 개물림 사고와 짖는 소리 등 소음, 분변, 냄새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등 주장을 폈다.

결국 보호자들이 반려동물과 함께 공원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배설물 방치나 목줄 미착용 등 기본적인 사항을 지키지 않는다는 지적이 대다수로, 반려인들이 도덕적 책임을 가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 시설을 신규 조성 중인 서구는 “향후 공원조성계획 심의위원회 심의 등 행정절차를 거칠 예정”이라며 “설계 용역사와의 회의를 통해 우려를 반영한 동선 분리 방안 등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또 시설 외적 요소인 시민 인식 개선을 위한 홍보 캠페인과 동물 보호 교육 등을 병행하겠다는 방침이다.

한편, 광주지역 반려동물 등록 수는 2019년 4만4000여 마리에서 지난 2023년 7만9000마리로 1.78배 증가했으며, 매년 10% 안팎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김진아 기자 jinggi@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51373000786072006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02일 06:1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