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단해진 호남…흔들리는 PK
대선 D - 8 광주일보 등 한국지방신문협회 공동 기획 - 전국 민심 르포
전국 표심 불법 비상계엄 심판
이재명 강세 지역은 단단해지고
김문수 텃밭은 균열 조짐 일어
보수층 결집·막판 단일화 변수
2025년 05월 26일(월) 00:00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가 지난 17일 광주지역 집중유세에 나선 광주시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앞에서 시민들이 유세를 듣기 위해 가득 모여있다./특별취재단=나명주 기자 mjna@kwangju.co.kr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8일 앞두고 전국 유권자 표심은 12·3비상계엄과 탄핵에 대한 책임을 묻는 쪽으로 형성되고 있다.

‘12·3 내란’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이 탄핵되면서 치러지는 조기대선인데다 비상계엄에 대한 ‘반감’과 ‘상처’가 여전히 민심의 흐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형국이다. ‘내란 심판’을 내세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의 지지세가 강한 지역의 민심은 더 견고해지고 있고,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의 텃밭인 대구·경북(TK)과 부산·경남(PK)에서는 균열조짐이 감지되고 있는 분위기다.

광주일보 등 전국 주요 지방신문 9개사로 구성된 ‘한국지방신문협회’가 24~25일 서울을 제외한 각 지역을 대상으로 진행한 ‘공동기획-21대 대선 민심 르포’ 취재 결과 이같은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대선까지 8일이 남아있고 보수층의 결집이 강화되고 있어 일단 김 후보가 이 후보를 추격하는 구도는 더 선명해지고 있다. 또 김 후보와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의 단일화 카드라는 변수가 있다는 변동론에 맞서 막판 단일화가 이뤄지더라도 고공행진 중인 이 후보의 지지를 넘어서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전국 최대 유권자가 모인 수도권은 이 후보가 우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김 후보의 추격세가 만만치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중도층은 아직 최종 결정을 하지 못하고 후보들의 공약을 저울질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지정당이 없는 수도권 중도층 대다수는 이번 대선 역시 ‘혐오 대선’으로, 차선책을 택해야 하는 선거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스팅 보터 충청 민심’은 아직 변동성이 커 예측이 어려운 상황이다. 지역 실익을 우선 순위에 두겠다는 유권자들이 많다는 점에서 민생회복에 방점을 둔 후보에게 충청 표심이 쏠릴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의 유권자 상당수는 아직 표심을 정하지 못하는 분위기가 감지됐고, 진보와 보수의 이념이 충돌하는 울산은 결과를 예측하기 힘들 정도로 민심이 요동치고 있었다. 반면, 전통적 보수 강세지역인 경남 민심이 흔들리고 있어 정권교체 요구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었다.

보수 지지세가 강한 대구경북(TK)과 강원에서는 민주당 지지세가 상승기류였지만, 대선이 다가올수록 보수결집 움직임이 거세지고 있다.

‘민주당의 텃밭’ 전북 민심은 국민의힘에 분노하고 민주당 쪽으로 기운 분위기다. 제주에서는 민생 경제를 살리고, 지방 소멸 위기를 극복할 정책과 공약을 두고 보겠다는 유권자가 많아 살얼음판 경쟁을 벌이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광주·전남 민심은 21대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의 압승이 당연시되는 분위기다. 대선기간 내내 12·3 내란’ 심판론이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불법적인 비상계엄을 두둔하고, 극우 보수단체 등과 함께 윤석열 탄핵을 반대해 오며 그동안 국민 갈등을 일으켜 온 국민의힘에 대한 ‘반감’이 그 어느 때보다 큰 분위기다.

과거 전두환 정권의 계엄으로 80년 5·18 당시 수 많은 시민들이 피를 흘리고 죽임을 당했던 광주·전남지역에서는 윤석열의 ‘12·3 비상 계엄’이 또 한번 ‘계엄 트라우마’를 소환해서다.

‘이번 대선에서 누구를 뽑을 거냐’는 질문에 25일 광주시 남구 봉선동 토박이인 김형용(45)씨는 “전략적 선택을 하는 봉선동도 지난 대선과의 분위기는 다르다”면서 “표심은 일방적으로 기운 것 같다”고 말했다. 20대 대선 당시 광주에서 유일하게 국민의힘에게 20%대의 표를 줬던 ‘광주의 강남’으로 불리는 남구 봉선동 주민들의 분위기도 예전과 같지 않다.

목포에서 만난 최영준(68)씨는 “지난 대선 결과도 그랬지만, 호남이라고 맹목적으로 민주당만 지지하는 시대는 지났지만, 올해만큼은 다르다”면서 “광주와 전남은 5·18이라는 계엄 트라우마를 가진 지역이어서 이번 선거 만큼은 ‘내란’에 대한 강한 유권자들의 심판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이번 대선에서 광주·전남지역 득표율을 90% 이상 목표로 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과거 김대중(94.61%), 노무현(93.38%) 전 대통령의 득표율을 넘어서는 결과가 나올수 있다는 조심스런 전망도 나온다. 이를 위해 민주당 광주시당과 전남도당, 민주당 소속 지방의원들은 선거전까지 투표율과 득표율 높이기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지역 선대위를 꾸리고 선거운동에 나섰지만, 지난 대선과 비교해 동력이 떨어진 것 같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 대선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2030’을 중심으로 높은 지지를 받았던 것과 달리, 이미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광주·전남에서 김문수 후보의 대선 공약 및 선거 전략이 지역민들 설득시키기엔 부족하다는 분석이 나오면서다.

다만, 사전투표와 선거 당일 광주·전남지역 유권자들의 발길이 투표소로 이어질 것인지 여부가 결과를 가를 것으로 보인다.

/특별취재단=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특별취재단=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48185200784500277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26일 07:1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