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공원 이름 바꿔라” 광주서 서명운동
경남 합천 군민-광주 시민단체 등 연합…17·18일 금남로·5월 묘역서
2025년 05월 15일(목) 20:45
5·18 광주 학살의 주범 전두환씨의 고향인 경남 합천군 주민들이 광주서 이른바 ‘전두환 공원’의 명칭 변경을 요구하는 서명운동을 전개한다.

15일 5·18기념재단에 따르면 생명의숲되찾기 합천군민운동본부(운동본부)는 오는 17일 광주시 동구 금남로에서, 18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전두환 잔재 청산 법안 마련 등을 촉구하는 서명운동을 펼친다.

서명운동에는 광주시민단체협의회 5·18특별위원회(광주YMCA, 광주YWCA, 광주흥사단, 광주전남불교환경연대)와 5·18기념재단이 동참할 예정이다.

운동본부는 경남 합천군 합천읍 합천리에 있는 ‘일해공원’의 명칭을 변경하라는 취지로 시민 운동을 전개해 왔다. 공원 이름 ‘일해’는 전두환씨의 아호 일해(日海)에서 따 왔다.

일해공원은 지난 2004년 ‘새천년 생명의 숲’이라는 이름으로 문을 연 5만3724㎡ 규모의 공원으로, 합천군은 2007년 공원 이름을 일해공원으로 바꿨다. 공원 표지석에는 지금도 ‘전두환 대통령이 출생하신 자랑스런 고장임을 후세에 영원히 기념한다’는 문구도 쓰여있다.

운동본부는 지난 12일 합천군 합천읍 3·1독립운동기념탑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치권에 ‘일해공원 폐지와 전두환 기념물 조성 금지 법안을 즉각 발의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오는 18일까지 단식 농성을 이어가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고동의 운동본부 간사는 “지난해 10만 명 넘는 국민이 일해공원 폐지와 전두환 기념물 조성 금지 법안제정에 참여했지만, 지금까지 단 한 명의 국회의원도 이 정의로운 법안을 발의하지 않았다”며 “입법이 멈췄다는 현실을 온몸으로 고발하기 위해 단식을 하고 있으며, 시민의 뜻을 외면한 채 또다시 전두환을 미화하는 침묵이 반복돼선 안 된다”고 밝혔다.

한편 운동본부는 지난해 11월 일해공원 명칭 변경 등을 골자로 하는 국회전자청원을 내 최종 10만 5685명의 동의를 받았다.

청원은 지난해 12월 9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 회부돼 같은달 18일 상정됐으나, 국회는 최근 ‘입법정책적 고려가 필요한 사항으로 심도 있는 심사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심사 기간을 지난 3월에서 오는 12월 31일까지로 연장했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47309500784066006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16일 05:5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