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극복·한강노벨상 수상 계기…5·18 세계화 지금이 적기
5·18 45주년 광주에서 세계로 <5>5·18, 국경 너머로
참배 외국인 등 매년 증가세
5·18기념재단 ‘광주인권상’
광주시 ‘세계인권도시포럼’
외국인도 자국서 전파 노력
‘세계화’ 개념은 재점검해야
2025년 05월 08일(목) 20:25
5·18민주화운동 45주년을 맞은 현재 5·18의 전국화를 넘어 ‘세계화’가 당면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5·18 광주를 떠올리게 하는 윤석열 정권의 ‘12·3 비상계엄 사태’와 5·18을 다룬 책 ‘소년이 온다’를 쓴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받는 등 어느 때보다 5·18에 대한 관심이 높은 지금이야말로 “5·18 세계화의 적기”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광주 안팎에서는 5·18기념재단(재단)을 중심으로 5·18의 세계화를 위한 시도가 이어져 왔다.

재단이 국제 연대활동 일환으로 매년 5·18 정신과 맥을 같이 하며 인권 증진과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한 개인(단체)을 선정해 ‘광주인권상’을 수여해온 것이 대표적이다.

재단은 2025년도 광주인권상 수상자로 인도네시아 인권단체 ‘아시아 정의와 권리(AJAR)’를 선정했다고 8일 밝혔다. AJAR는 인도네시아가 동티모르를 점령했던 24년간 납치된 아이들의 가족을 찾아주는 등 활동을 인정받았다.

광주시도 5·18 국제화 흐름에 발맞춰 오는 15일부터 3일간 유네스코 등과 협력해 ‘세계인권도시포럼’을 진행키로 했다. 시비 5억 5000만원을 투입해 전세계의 600여명 인권·평화 활동가와 학자 등과 함께 국제인권연수 특강 등 7개 분야 총 27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한강 작가, 12·3 비상 계엄 등을 계기 삼아 해외로 5·18 정신을 전파하고자 하는 이들도 늘고 있다.

도쿄에서 활동 중인 그래픽디자이너 ‘탐’은 지난달 12일 발간된 ‘이토록 평범한 내가 광장의 빛을 만들 때까지’ 책 저자로 참여하며 12·3 계엄을 통해 떠올린 5월 민주주의에 대한 경험을 풀어놨다.

탐은 일본 각지에서 열린 ‘도쿄 윤석열 퇴진 집회’에서 부총괄을 맡았으며 12월 6일 신오쿠보에 열린 집회에 일본인 등 30여 명과 참가했다. 이외 12월 7일 우에노 공원, 12월 14일 신주쿠 일대, 같은 날 도쿄에서 열린 집회에서도 목소리를 냈다.

5·18을 배우고 싶어 광주를 찾는 외국인도 늘고 있다. 5·18민주묘지를 참배한 외국인 수는 2022년 2140명→2023년 3559명→2024년 5047명으로 증가세다. 올해도 4월까지 민주묘지에 방문한 외국인은 총 958명으로 집계돼 전년 동기(708명) 대비 35%나 늘었다.

이 같은 흐름은 12·3 계엄 등으로 인해 전 세계인들이 민주화운동의 성지로 광주 5·18을 주목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12월 덴마크, 체코, 튀르키예 등 세계 각국 재외동포 1만여 명은 ‘재외 동포 시국선언문’을 내고 “5·18이 우리에게 남긴 것은 너무나 강력하다”며 12·3 계엄과 5·18의 연관성을 모색하기도 했다.

반면 5·18과 국제 사회를 연결하는 ‘국제연대활동’ 중에서는 지역사회의 무관심으로 좌초 위기에 놓인 사례도 적지 않다.

2016년부터 광주시, 5·18기념재단, 5·18연구소 등이 추진해온 ‘5·18 민주인권 인적교류 프로젝트(GNMP)’는 지난 2023년 광주시의회로부터 ‘실효성’ 지적을 들은 뒤 기념재단의 사업 포기로 이어졌다.

재단이 해외에서 추진했던 ‘5·18 국제사진전’도 2018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2019년 독일, 인도네시아, 2020년 미국, 독일, 프랑스 등에서 열리다 올해 2월에는 대만2.28교류회와 함께 국내 사진전을 여는 데 그쳤다.

지난해 ‘힌츠페터 국제보도상’도 일반회계 예산을 ‘0원’으로 편성하면서 사라질 뻔한 위기에 놓이기도 했다.

5·18 학자들 사이에서는 현 시점에서 세계화의 의미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단순 역사적 사실 전파부터 국제 교류, 문화 전파 등을 뭉뚱그려 ‘세계화’라고 해석하다 보니 일치된 방향성을 갖지 못했다는 것이다.

김희송 전남대 5·18연구소 교수는 “5·18 세계화에 대한 성과가 그동안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5·18 45주년을 맞은 이 시점에서 ‘세계화’에 대한 개념부터 다시 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각 기관과 단체들이 모두 ‘세계화’에 대한 상을 동일하게 그려 왔는지 돌아봐야 지역사회의 추진력이 한 데 모일 수 있을 것이다”고 했다.<끝>

/최류빈 기자 rubi@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46703500783724112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09일 02:4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