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폐기물 처리의 새로운 길 - 고무일 한국폴리텍대학 전남캠퍼스 에너지설비자동화과 교수
2025년 04월 30일(수) 00:00
광주시와 전남도는 대한민국 남부 지역을 대표하는 중추적 도시권이자, 환경·경제적 전환의 중요한 축을 맡고 있다. 2023년 광주와 전남의 폐기물 발생량은 각각 234만 톤, 1743만 톤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지역의 경제활동 증가와 도시화의 직접적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광주는 생활폐기물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전남은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이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지역별 폐기물 특성은 향후 폐기물 처리 정책 수립에 있어 맞춤형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2030년부터 전면 시행될 ‘가연성 폐기물 직매립 금지’ 정책은 광주·전남 지역에 중대한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기존처럼 단순 매립에 의존할 수 없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으며 재활용이 어려운 가연성 폐기물의 적정 처리는 지역사회 전체의 환경보전과 탄소중립 실현과 직결된다.

광주는 하루 평균 약 1300톤의 생활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다. 이 중 상당량이 종량제 봉투로 배출되는 혼합쓰레기로, 플라스틱 등 재활용이 어려운 가연성 폐기물이 주류를 이룬다. 전남 지역 역시 사업장 및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중 재활용이 어려운 비율이 상당히 높다. 광주·전남 모두 가연성 폐기물의 체계적 처리 없이는 2030년 탄소중립 정책에 부합할 수 없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소각시설 확충은 폐기물 문제 해결에 있어 필수적인 수단이다. 현대식 소각시설은 폐기물 부피를 약 90%까지 줄이고 고형 잔재물만을 소량 매립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소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활용해 지역난방, 발전, 산업용 에너지로 전환함으로써 에너지 자립도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광주시는 현재 신규 자원회수시설(소각장)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 시설은 하루 650톤 처리 규모로 광역권 차원의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계획된 사업이다. 전남 역시 시군 단위에서 소각시설 신설과 기존 시설 현대화를 병행 추진하고 있다. 특히 일부 지역에서는 주민 편익시설과 연계한 복합단지 개발을 통해 소각시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극복하려는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소각시설 확충을 둘러싼 시민들의 우려도 여전히 존재한다. 건강 피해에 대한 불안, 부동산 가치 하락 우려, 환경오염 가능성 등은 쉽게 해소되지 않는다. 과거 일부 노후 소각시설에서 발생한 악취와 미세먼지 문제는 주민들의 부정적 기억으로 남아 있는데 이는 현재 진행 중인 소각시설 신설 사업에도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하다. 우선 사전 환경영향평가를 철저히 수행하고 결과를 주민들과 투명하게 공유해야 한다. 소각시설 운영 과정에서도 배출가스, 악취 농도, 미세먼지 수치 등을 실시간 공개하고 독립적 감시기구를 통해 모니터링하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주민참여형 운영위원회를 구성해 시설 운영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고 문제 발생 시 즉각적인 개선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 하나 중요한 점은 소각시설을 단순한 폐기물 처리장이 아니라 지역사회에 도움이 되는 복합기능시설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체육관, 수영장, 도서관 등 주민 편익시설과 연계해 지역 커뮤니티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소각시설이 지역 자산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실제로 일본, 독일 등에서는 이러한 방식을 통해 소각시설에 대한 시민 거부감을 상당 부분 해소하는 데 성공한 사례가 다수 존재한다.

탄소중립이라는 거대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광주와 전남이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폐기물 처리방식의 근본적 전환이 필수적이다. 소각시설 확충은 단기적 불편을 감수하고 장기적 편익을 얻는 투자이자 다음 세대를 위한 책임 있는 선택이다.

지금 필요한 것은 두려움이 아니라 과감하고도 신중한 결단이다. 광주와 전남이 탄소중립 사회로 진입하는 데 있어 소각시설 확충과 주민과의 신뢰 구축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우리는 더 나은 지역사회를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할 책임이 있다. 광주·전남은 준비된 변화를 통해 지속가능성과 번영을 동시에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45938800783349131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01일 11:0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