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의 열망은 균형발전·경제도약
[광주일보 창간 73년 제안]
산업화시대 ‘기울어진 운동장’ AI 첨단시대에는 차별 없어야
사람·기업 몰리고 문화예술 꽃피워 공동체의 정·매력 넘치는 지역으로
산업화시대 ‘기울어진 운동장’ AI 첨단시대에는 차별 없어야
사람·기업 몰리고 문화예술 꽃피워 공동체의 정·매력 넘치는 지역으로
![]() 인공지능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17일 광주시 북구 첨단 3지구 AI(인공지능)집적단지에 설치된 ‘드라이빙 시뮬레이터’가 가동을 앞두고 있다. 국내에서 광주와 과천 국토교통연구인프라 운용원이 보유하고 있는 이 설비의 가격은 112억원에 달한다. 인공지능을 접목해 이동 수단 등의 자율주행 기능을 개발하고 검증하는 첨단 인프라다. 360도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
‘12·3 비상계엄 사태’는 윤석열 정권의 몰락으로 이어졌고 광주 5·18 정신을 다시 소환하는 계기가 됐다. 전국민이 80년 비상계엄으로 촉발된 5·18을 주목하고 광주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대민민국 민주주의의 거대한 흐름을 이끌어낸 광주는 재정자립도가 전국 최하위권이고 산업인프라가 취약한 도시다. 광주와 전남은 일제강점기 식민지 수탈의 상징이었고, 해방 이후 근대화 과정에서는 낙후의 대명사였다. 역대 정권에서 경부축 중심의 정부 경제정책에서 소외되면서 성장은 더뎠고, 호남인들은 먹고 살기 위해 고향을 등지고 전국 각지로 흩어져야 했다.
취약한 산업인프라에다 수도권 편중정책으로 밀려난 탓에 현재도 청년의 이탈이 가속화하고, 농촌에는 빈집이 늘고 있다. 전남은 지난해 3월 처음으로 인구가 180만 명 이하로 내려간 이후 지속적인 감소추세다. 인구감소 지역에 전국 최다인 16개 군이 지정됐으며, 고령화율도 전국 1위(26.5%)로 지방소멸 위기가 심각하다. 대도시 광주는 인구 정체, 전남과 전북은 인구 소멸 위기의 어두운 그림자가 짙게 드리운 총체적 난국이다. 전남은 국립중앙의료원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국 의료취약지 98곳 가운데 17곳으로 가장 많다. 소아과, 산부인과 등 필수 의료 공백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몰락한 윤석열 정부도 수도권 편중정책을 펴면서 호남의 낙후는 개선되지 않고 오히려 고착됐다.
광주·전남지역민은 12·3 비상계엄 사태로 치러지는 21대 ‘6·3 장미 대선’을 각별히 주목한다. 경제 기반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호남의 한계를 극복하며, 도약을 맞기 위한 전기가 될 것이라는 믿음이다.
광주와 전남은 이번 대선을 겨냥해 각당과 대권 주자들에게 공약사업을 전달했다. 산업화 시대의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벗어나 AI 첨단산업 시대에는 광주와 전남이 우뚝서기를 바라는 여망이 응축된 청사진이다. 지역민은 이들 공약이 차기 정부에서 국책사업과 정부지원 사업으로 결실 맺기를 고대하고 있다.
광주시의 핵심 현안은 인공지능(AI) 중심의 도약과 미래 모빌리티(Mobillity)로 지속가능한 미래의 먹거리 창출이다.
시는 세계적 규모의 국가AI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등 인공지능 집적단지 1단계 인프라 사업을 마무리하고, 2단계 사업을 준비중이지만 국비 지원 문제가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과 서비스를 직접 실증하는 이른바 ‘인공지능 실증도시’ 구축이 핵심이다.
전남도는 국립의대 설립이야말로 모든 도민들의 관심사이자 바람이다. 전남은 세종을 제외한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의과대학이 없는 지역이다. 전남 국립의대 설립은 30년 넘은 지역의 숙원사업이자, 국립 의대 설립을 위해 그동안 통합 의지를 보이지 않았던 두 대학(목포·순천대)이 손을 맞잡은 것에서 알수 있는 것처럼 동·서부권 통합의 출발점이 될 수 있는 최대 현안이다.
광주·전남 지역민은 차기 정부에서 호남의 현안이 국책사업 채택과 정부의 전폭 지원으로 이어져 실천되기를 고대하고 있다. 사람과 기업이 몰리고, 문화예술이 꽃을 피우며, 후한 인심과 공동체의 정이 살아 있고, 공간의 개성과 매력이 넘쳐 생기가 도는 지역으로 거듭나기를 간절히 염원하고 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하지만, 대민민국 민주주의의 거대한 흐름을 이끌어낸 광주는 재정자립도가 전국 최하위권이고 산업인프라가 취약한 도시다. 광주와 전남은 일제강점기 식민지 수탈의 상징이었고, 해방 이후 근대화 과정에서는 낙후의 대명사였다. 역대 정권에서 경부축 중심의 정부 경제정책에서 소외되면서 성장은 더뎠고, 호남인들은 먹고 살기 위해 고향을 등지고 전국 각지로 흩어져야 했다.
광주와 전남은 이번 대선을 겨냥해 각당과 대권 주자들에게 공약사업을 전달했다. 산업화 시대의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벗어나 AI 첨단산업 시대에는 광주와 전남이 우뚝서기를 바라는 여망이 응축된 청사진이다. 지역민은 이들 공약이 차기 정부에서 국책사업과 정부지원 사업으로 결실 맺기를 고대하고 있다.
광주시의 핵심 현안은 인공지능(AI) 중심의 도약과 미래 모빌리티(Mobillity)로 지속가능한 미래의 먹거리 창출이다.
시는 세계적 규모의 국가AI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등 인공지능 집적단지 1단계 인프라 사업을 마무리하고, 2단계 사업을 준비중이지만 국비 지원 문제가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과 서비스를 직접 실증하는 이른바 ‘인공지능 실증도시’ 구축이 핵심이다.
전남도는 국립의대 설립이야말로 모든 도민들의 관심사이자 바람이다. 전남은 세종을 제외한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의과대학이 없는 지역이다. 전남 국립의대 설립은 30년 넘은 지역의 숙원사업이자, 국립 의대 설립을 위해 그동안 통합 의지를 보이지 않았던 두 대학(목포·순천대)이 손을 맞잡은 것에서 알수 있는 것처럼 동·서부권 통합의 출발점이 될 수 있는 최대 현안이다.
광주·전남 지역민은 차기 정부에서 호남의 현안이 국책사업 채택과 정부의 전폭 지원으로 이어져 실천되기를 고대하고 있다. 사람과 기업이 몰리고, 문화예술이 꽃을 피우며, 후한 인심과 공동체의 정이 살아 있고, 공간의 개성과 매력이 넘쳐 생기가 도는 지역으로 거듭나기를 간절히 염원하고 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