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바로 알기- 알레르기 비염] 환절기 불청객 ‘비염’ 정확한 원인 파악 중요…방치시 합병증
류찬,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이비인후과 전문의
꽃가루·진드기·동물 털·곰팡이 등
원인 다양…3~4월 환자 발생 급증
축농증·후각 장애 등 합병증 위험
습도 50~60% 유지 수분 섭취 도움
2025년 04월 13일(일) 19:40
류찬 전문의
따뜻해진 날씨로 야외 활동이 늘어나는 봄은 알레르기 비염 환자에게는 고통스러운 시기이다. 꽃가루, 집먼지진드기, 동물의 털, 곰팡이 등 다양한 알레르겐이 원인이며 증상을 방치하면 축농증, 중이염, 후각 장애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알레르기 비염 환자 수는 1월과 2월 각각 90만명대를 기록했는데 3월 들어 127만명으로 급격히 증가했고 4월은 146만명으로 환자 수는 3월보다 더 늘었다. 특히 0-9세 아동 환자가 전체 23%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알레르기 비염과 감기의 차이

알레르기 비염은 집먼지진드기, 동물 털, 곰팡이, 꽃가루 등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항원)에 코 점막이 과민 반응을 일으켜 나타나는 질환이며, 증상이 코감기와 유사해 방치하면 축농증, 중이염 등으로 발전할 수 있어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

콧물과 재채기 등 주요 증상이 코감기와 비슷하지만 두 질환은 발병 원인부터 다르다. 알레르기 비염은 코점막이 특정 물질에 과민하게 반응하며 나타난다. 반면 코감기 원인은 바이러스다.

알레르기 비염은 발작적 재채기와 맑은 콧물, 코막힘, 가려움증이 주 증상이며 이외에 눈이나 코 가려움, 눈 충혈, 두통, 후각 감퇴 등 증상이 동반된다. 반면 코감기는 인후통, 몸살, 발열 등 전신 증상이 일반적이다.

단순 감기로 오인해 감기약만 복용하거나 방치하면 합병증 또는 증상이 악화할 수 있어 전문 진료를 받아야 한다. 2주 이상 콧물이 나오거나 봄철 같은 특정 계절 환경에서 증상이 나타나고 심해진다면 알레르기 비염을 의심해야 한다.

◇알레르기 비염 치료와 환경 관리

알레르기 비염 환자 중 30% 는 천식을 동반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유아는 성장하면서 비염, 천식, 아토피 피부염 등 알레르기 질환이 순차적으로 발생하거나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알레르기 행진 양상을 보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일반적인 치료제는 비강 스테로이드 스프레이, 항히스타민제가 대표적이며 원인 알레르겐 (알레르기 원인 항원) 을 소량부터 차츰 농도를 높여 투여해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면역요법과 수술요법 등이 있다.

주변 환경 관리도 중요하다. 알레르기 원인이 되는 집먼지진드기를 없애기 위해 청소, 세탁이 필요하다. 또한, 카펫, 담요 사용은 삼가야 하고 꽃가루가 날리고, 미세먼지가 심한 날은 외출을 피해야 한다. 건조한 환경은 증상 악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실내 온도 20~22도, 습도는 50~60%로 유지하고, 충분한 수분 섭취가 도움이 된다.

알레르기 비염은 정확한 원인 파악이 중요하며, 면역글로불린E 검사와 피부반응 검사를 통해 알레르겐을 확인하고 증상에 맞는 약물치료와 환경 관리가 필요하다.

/서승원 기자 swseo@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44540800782597025
프린트 시간 : 2025년 04월 30일 21:4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