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산산·불불불…광주·전남도 ‘초긴장’
산청·의성·울산 등 전국 산불
광주시, 소방 장비·인력 지원
2025년 03월 23일(일) 21:30
경남 산청과 경북 의성, 울산 울주 등 전국 동시다발적인 산불로 인한 피해가 확산하면서 광주와 전남도의 산불 경계 수위도 높아지고 있다. 당장 주말 사이 광주·전남 곳곳에서 산불이 발생하면서 지역민도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산불 피해범위가 겉잡을수 없이 늘어나는 데다 전국적인 산불 발생이 잇따르면서 정부와 정치권도 산불 진화와 예방에 총력을 쏟고 있다.

2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낸 상황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1일 산청군에서 시작한 동시다발 산불로 4명이 숨지고 5명이 다쳤다. 사망자는 모두 산청에서 발생했다. 산림 피해는 이날 오전 8시 기준 3286.11㏊지만 불길이 잡히지 않으면서 피해 면적의 증가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광주와 전남에서도 22~23일 고흥을 비롯해 보성, 광산구, 북구 등에서 5건의 산불이 났다.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건조한 날씨 속에 산불 발생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당장 올해 전남에서는 12건의 산불이 발생, 3개월 만에 지난해 산불발생건수(16건)의 75% 수준까지 다가섰다. 광주는 3월까지 4건으로 지난해 발생건수(2건)을 넘어섰다.

정부와 정치권도 산불 조기 진화와 대응에 나섰다.

대통령실은 23일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 주재로 수석비서관회의를 열고 전국적으로 확산 중인 산불의 조기 진화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언론 공지를 통해 “대통령실은 화재 직후 국정상황실 중심으로 전국 산불 대응 상황을 지속해 모니터하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다.

우원식 국회의장도 23일 전국에서 곳곳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과 관련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최우선”이라며 “국가의 모든 재난 대응 역량을 모아 피해를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야도 각각 피해 복구와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광주시소방안전본부는 산청으로 펌프차, 물탱크차, 회복지원차 등 26대와 소방인력 62명을 지원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42733000781605006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26일 12:5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