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경총 4913명에게 안정적 일자리 제공, 경영 어렵겠지만 헤쳐나가자”
24일 오전 광주경영자총협회 신년인사회 양진석 회장 다짐
강기정 광주시장 특별강연 “데모노믹스, 착한소비, 착한금융, 착한일자리 등이 키워드”
강기정 광주시장 특별강연 “데모노믹스, 착한소비, 착한금융, 착한일자리 등이 키워드”
![]() 양진석 광주경총 회장이 2025년 을사년을 맞아 신년인사를 건네고 있다.<광주경총 제공> |
광주경영자총협회(광주경총)이 24일 오전 7시 광주시 서구 치평동 홀리데이인호텔 컨벤션홀에서 을사년 신년인사회를 개최했다. 이번 신년인사회에는 강기정 시장, 양진석 광주경총 회장, 지역 기초자치단체장, 국회의원, 협회·단체·연구원장, 광주경총 회원기업 관계자 등 400명이 참석해 2025 을사년의 새로운 출발을 알리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힘을 보탤 것을 다짐했다.
이날 양진석 광주경총 회장은 인삿말을 통해 “지난해 광주경총은 716개 사의 회원과 100억원을 웃도는 정부 예산을 확보함으로써 우리 지역 청년 및 중장년 4913명에게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고, 2673명에게는 직무교육을 통한 장기근속 지원 활동을 펼쳤다”며 강기정 시장을 비롯한 지역의 경제, 사회 분야 각 기관장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이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지역 기업들의 경영 환경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면서도 “광주경총 회원사들이 힘든 시기를 잘 헤쳐 나갈 수 있도록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회원 기업들의 의견이 정부와 지자체, 국회 등에 전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 참여한 민형배·박균택·조인철 국회의원과 이정선 광주시교육감, 윤종해 한국노총 의장, 박병규 광산구청장, 고병일 광주은행장, 이성룡 광주지방고용노동청장, 박광종 광주지방국세청장, 정회 해양에너지 대표이사, 박병철 대한전문건설협회 광주시회장, 김현성 경제진흥상생일자리재단 대표이사 등 각 기관장들은 이번 신년인사회 자리에서 새해를 맞아 지역 경기 활성화에 대한 다짐과 더불어 지원 방안 등을 전달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광주경총의 금요조찬포럼이 지난 35년동안 국내외 주요 이슈를 논의하고, 미래 신기술을 공유하는 등 지역 기업에게 새롭고 참신한 아이디어들을 제공하는 등 광주 경제에 큰 힘이 되고 있다”는 인삿말과 함께 ‘신년 특별강연’을 시작했다.
강 시장은 이번 ‘신년 특별강연’에서 2025년 광주경제 키워드로 ▲데모노믹스(Demonomics)<민주주의(Democracy)+경제(Economics)> ▲착한소비 ▲착한금융 ▲착한 일자리 네 가지를 제시했다.
이 중 착한 일자리 창출에 대해서는 인공지능(AI), 미래차 등의 산업 분야에서 3846명, 창업 지원 200명, 문화콘텐츠산업 고용 130명, 복합쇼핑몰 건설 고용 600명 등 총 4776명의 일자리 창출 계획에 대해 설명했다.
더불어 광주시 중점 추진 9대 대표산업(반도체·데이터·모빌리티·인공지능·문화콘텐츠·에너지·메디헬스케어·광융합·스마트뿌리)을 소개하고, 지난해보다 1412억원 증액한 국비를 AI산단, 미래차국가산단 등에 추가 반영하는 등 신산업 육성 의지를 밝혔다.
특히 광주는 최근 전 세계적인 트렌드로 떠오른 AI산업을 지난 2018년부터 육성하는 등 다른 지자체보다 최소 3년 이상 앞서있다는 장점을 살려 AI 산업을 광주 성장의 핵심으로 키우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강 시장은 “대표산업의 활성화 및 고도화를 위해서는 인재가 중요하다”며 “AI영재고, AI선도학교와 더불어 대학과 기업이 연계할 수 있는 반도체 계약학과 등 뿌리부터 튼튼한 인재 사다리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 이날 광주경총 신년 특별강연에 나선 강 시장이 2025년 광주경제 4대 키워드를 발표하고 있다.<광주경총 제공> |
![]() 24일 광주시 서구 치평동 홀리데이인호텔 컨벤션홀에서 개최된 ‘2025년 광주경총 신년인사회 및 강기정 시장 특별 강연’에 참여한 광주지역 경제·사회 분야 각 기관장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광주경총 제공> |
강 시장은 이번 ‘신년 특별강연’에서 2025년 광주경제 키워드로 ▲데모노믹스(Demonomics)<민주주의(Democracy)+경제(Economics)> ▲착한소비 ▲착한금융 ▲착한 일자리 네 가지를 제시했다.
이 중 착한 일자리 창출에 대해서는 인공지능(AI), 미래차 등의 산업 분야에서 3846명, 창업 지원 200명, 문화콘텐츠산업 고용 130명, 복합쇼핑몰 건설 고용 600명 등 총 4776명의 일자리 창출 계획에 대해 설명했다.
더불어 광주시 중점 추진 9대 대표산업(반도체·데이터·모빌리티·인공지능·문화콘텐츠·에너지·메디헬스케어·광융합·스마트뿌리)을 소개하고, 지난해보다 1412억원 증액한 국비를 AI산단, 미래차국가산단 등에 추가 반영하는 등 신산업 육성 의지를 밝혔다.
특히 광주는 최근 전 세계적인 트렌드로 떠오른 AI산업을 지난 2018년부터 육성하는 등 다른 지자체보다 최소 3년 이상 앞서있다는 장점을 살려 AI 산업을 광주 성장의 핵심으로 키우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강 시장은 “대표산업의 활성화 및 고도화를 위해서는 인재가 중요하다”며 “AI영재고, AI선도학교와 더불어 대학과 기업이 연계할 수 있는 반도체 계약학과 등 뿌리부터 튼튼한 인재 사다리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