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 4계] 가는 해 오는 해, 백리섬섬길
여수와 고흥을 잇는 명품 해양관광도로 ‘백리섬섬길’
해넘이의 ‘낭만’과 해돋이의 ‘희망’이 넘실넘실
쪽빛 바다와 은빛 파도, 아름다운 섬들을 만나는 남도 여행
해넘이의 ‘낭만’과 해돋이의 ‘희망’이 넘실넘실
쪽빛 바다와 은빛 파도, 아름다운 섬들을 만나는 남도 여행
![]() 백리섬섬길 노을 |
한 해의 마지막 여행을 고르는 일은 쉽지 않다. 일 년을 마무리하는 시기이니 만큼 의미 있는 곳으로 여행을 떠나고 싶었다. 한참을 고민한 끝에 시작과 끝이 공존하는 여행지를 골랐다.
왠지 모를 아쉬움이 남았던 12월, 남해바다 여수에서 그간 열심히 달려온 길을 되짚고 새로운 길을 바라봤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다도해국립해상공원과 한려해상국립공원이 맞닿아 있는 여수는 아름다운 항구도시로 이름난 곳이지만 알고 보면 섬의 도시다. 천사섬 신안만큼은 아니지만 유인도와 무인도를 합해서 무려 365개의 섬을 품고 있다. 여수와 고흥을 잇는 연륙·연도교 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면서 섬과 섬들이 하나의 길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여수 돌산에서 고흥 영남까지 총 39.1㎞의 길로 연결된 ‘백리섬섬길’이 남해바다 해양관광 랜드마크로 주목받고 있다.
여수에서 고흥 간 거리인 ‘백리(100리)’에 섬과 섬을 잇는 길이라는 순우리말 ‘섬섬길’을 더한 백리섬섬길은 2028년 완공을 목표로 11개의 해상 교량이 건설중이다. 현재 여수 백야대교에서 고흥 우주발사전망대가 있는 팔영대교까지 개통되면서 하나의 길로 이어져 있다.
백리섬섬길 여행에 나섰다면 코스 설정부터 해야 한다. 어느 방향으로 달릴지, 어디서 무엇을 볼지 결정하려면 백리섬섬길에 놓인 연륙·연도교부터 차근차근 훑어봐야 한다.
2020년까지 개통한 다리는 조화대교(화양~조발), 둔병대교(조발~둔병), 낭도대교(둔병~낭도), 적금대교(낭도~적금)다. 2016년에 개통한 팔영대교(적금~고흥)까지 합치면 총 길이 12㎞로 약 20분 남짓 달릴 수 있는 드라이브 코스다.
많은 여행객이 여수에서 고흥 방향의 코스를 선택한다. 여수를 찾는 사람이 더 많아서이기도 하지만 다리 이름을 통해 다음 넘어갈 섬 이름을 자연스럽게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여수 화양면에서 고흥 영남면까지 다리로 연결된 섬은 모두 네 곳이다. 조발도와 둔병도, 낭도와 적금도까지 각 섬들마다 아름다운 다도해 풍광을 자랑하며 백리섬섬길을 찾은 여행자들에게 넉넉한 품을 내어준다.
특히 여우를 닮은 섬 ‘낭도’는 백리섬섬길에서 가장 큰 섬이자 인기가 가장 많은 곳이다. 다리가 놓이기 전부터 백패커들과 낚시 여행객들이 자주 찾았던 낭도는 백리섬섬길 개통과 함께 육지와 가까워졌다. 여수항에서 뱃길로 한 시간 넘게 걸렸던 길이지만 이제 여수 화양면에서 출발하는 찻길로 10분이면 도착할 수 있다.
낭도는 섬을 한 바퀴 둘러볼 수 있는 ‘낭만 낭도 둘레길’을 따라 트래킹 여행을 즐기기 좋다. 총 12㎞의 둘레길은 천천히 섬을 구경하면서 걸어도 하루면 충분하다.
둘레길은 포구가 있는 선창마을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은데 다리가 없을 때 육지와 연결되는 유일한 통로였기 때문에 각종 편의시설이 집중돼 있다.
선착장은 낭도산 등산로가 시작되는 출발점으로 사도가 보이는 쉼판터 전망대와 등산로 3개가 교차하는 역기미 분기점을 지나 낭도산 최고봉인 상산(278.9m)으로 이어진다. 등산로 입구가 상산과 먼 탓에 오르막과 내리막이 반복되는데, 길 폭이 비교적 넓고 가파른 구간이 적어서 초보자도 쉽게 오를 수 있다.
바다를 곁에 두고 사박사박 걷는 낭만 낭도 둘레길 1·2코스는 백사장이 길게 뻗어있는 장사금 해변과 괴석 위에 홀로 자리한 남포등대 등 볼거리다 풍부하다.
백미는 태고의 신비를 간직한 천선대와 신선대다. 천선대는 퇴적층이 겹겹이 쌓여 기암 절벽을 이루고 신선대는 주상절리와 해식동굴이 어우러져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신선이 살 만한 곳’이라는 이름의 의미가 전혀 어색하지 않은 절경이다. 천선대에서는 썰물 때 모습을 드러내는 공룡 발자국 화석이 남아있다. 자연스레 수백만 년전, 낭도 갯바위를 걸어다녔을 공룡들이 상상된다.
‘노을 맛집’으로 소문난 백리섬섬길에서 단연 최고를 자랑하는 일몰 명소는 낭도와 적금도를 잇는 길이다.
길 어디에서나 멋진 일몰을 만날 수 있지만 편안하게 노을을 즐기고 싶다면 일몰 시간에 맞춰 적금도 전망대에 자리잡고 기다리면 된다. 쪽빛 바다를 붉게 물들인 노을을 배경 삼아 다도해 사이로 떨어지는 해를 보고 있노라면 ‘이너피스(Inner peace)’, 마음의 평안이 찾아온다.
/서민경 기자 minky@kwangju.co.kr
/사진=정지효 작가 1018hyohyo@gmail.com
왠지 모를 아쉬움이 남았던 12월, 남해바다 여수에서 그간 열심히 달려온 길을 되짚고 새로운 길을 바라봤다.
![]() 백리섬섬길 시작점, 여수 백야도등대길 |
2020년까지 개통한 다리는 조화대교(화양~조발), 둔병대교(조발~둔병), 낭도대교(둔병~낭도), 적금대교(낭도~적금)다. 2016년에 개통한 팔영대교(적금~고흥)까지 합치면 총 길이 12㎞로 약 20분 남짓 달릴 수 있는 드라이브 코스다.
![]() 백리섬섬길 ‘조화대교’와 ‘둔병대교’ |
여수 화양면에서 고흥 영남면까지 다리로 연결된 섬은 모두 네 곳이다. 조발도와 둔병도, 낭도와 적금도까지 각 섬들마다 아름다운 다도해 풍광을 자랑하며 백리섬섬길을 찾은 여행자들에게 넉넉한 품을 내어준다.
특히 여우를 닮은 섬 ‘낭도’는 백리섬섬길에서 가장 큰 섬이자 인기가 가장 많은 곳이다. 다리가 놓이기 전부터 백패커들과 낚시 여행객들이 자주 찾았던 낭도는 백리섬섬길 개통과 함께 육지와 가까워졌다. 여수항에서 뱃길로 한 시간 넘게 걸렸던 길이지만 이제 여수 화양면에서 출발하는 찻길로 10분이면 도착할 수 있다.
![]() 백리섬섬길 ‘낭도대교’ |
둘레길은 포구가 있는 선창마을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은데 다리가 없을 때 육지와 연결되는 유일한 통로였기 때문에 각종 편의시설이 집중돼 있다.
선착장은 낭도산 등산로가 시작되는 출발점으로 사도가 보이는 쉼판터 전망대와 등산로 3개가 교차하는 역기미 분기점을 지나 낭도산 최고봉인 상산(278.9m)으로 이어진다. 등산로 입구가 상산과 먼 탓에 오르막과 내리막이 반복되는데, 길 폭이 비교적 넓고 가파른 구간이 적어서 초보자도 쉽게 오를 수 있다.
바다를 곁에 두고 사박사박 걷는 낭만 낭도 둘레길 1·2코스는 백사장이 길게 뻗어있는 장사금 해변과 괴석 위에 홀로 자리한 남포등대 등 볼거리다 풍부하다.
백미는 태고의 신비를 간직한 천선대와 신선대다. 천선대는 퇴적층이 겹겹이 쌓여 기암 절벽을 이루고 신선대는 주상절리와 해식동굴이 어우러져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신선이 살 만한 곳’이라는 이름의 의미가 전혀 어색하지 않은 절경이다. 천선대에서는 썰물 때 모습을 드러내는 공룡 발자국 화석이 남아있다. 자연스레 수백만 년전, 낭도 갯바위를 걸어다녔을 공룡들이 상상된다.
‘노을 맛집’으로 소문난 백리섬섬길에서 단연 최고를 자랑하는 일몰 명소는 낭도와 적금도를 잇는 길이다.
길 어디에서나 멋진 일몰을 만날 수 있지만 편안하게 노을을 즐기고 싶다면 일몰 시간에 맞춰 적금도 전망대에 자리잡고 기다리면 된다. 쪽빛 바다를 붉게 물들인 노을을 배경 삼아 다도해 사이로 떨어지는 해를 보고 있노라면 ‘이너피스(Inner peace)’, 마음의 평안이 찾아온다.
/서민경 기자 minky@kwangju.co.kr
/사진=정지효 작가 1018hyohyo@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