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군, 전국 최초 반달가슴곰 해설사 5명 탄생
반달가슴곰 증식·복원 사업 20주년…5년여 교육과정 이수 해설사 지정
동물 보금자리 ‘생츄어리’ 올해 말 준공…사육곰 50여 마리 보호·관리
동물 보금자리 ‘생츄어리’ 올해 말 준공…사육곰 50여 마리 보호·관리
![]() 전국 최초의 반달가슴곰 생츄어리가 다음 달 말 완공을 앞두고 있다.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지리산 산록에 자리잡은 반달가슴곰 생츄어리. |
지리산 권역에서 본격적으로 추진된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반달가슴곰의 증식·복원 사업이 올해로 20주년을 맞는 가운데 반달가슴곰과 구례군에 대한 해설을 전담할 반달가슴곰해설사 5명이 탄생했다.
구례군은 19일 “올해 말 준공을 눈앞에 두고 있는 전국 최초의 구례군 반달가슴곰 생츄어리(동물 보금자리)<광주일보 2020년 11월 5일자 13면>에서 활약할 반달가슴곰해설사 5명이 5년여의 교육과정을 마치고 해설사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구례군은 2020년부터 주민 30여 명을 대상으로 벌인 반달가슴곰해설사 양성 교육을 올해까지 진행하고 해설사를 배출했다. 이들 반달가슴곰해설사는 생태관광해설·환경·야생동물·수의, 국립공원공단, 곰복원팀 등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강사진에게 기본교육과 심화 과정 교육을 이수했다.
최종 수료한 5명의 반달가슴곰해설사는 주부와 전직 공무원, 교육·행정공무원, 숲해설가, 언론인 등 다양한 분야의 군민으로, 앞으로 생츄어리를 찾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반달가슴곰과 구례군에 대한 해설을 전담하게 된다.
구례군 반달가슴곰 생츄어리는 1980년대 초부터 일본 등지에서 곰을 수입해 웅담 채취 등을 목적으로 전국에서 사육해 온 반달가슴곰 50여 마리를 한곳에 모아 수명이 다할 때까지 보호·관리 하는 곳이다.
구례군과 환경부에서 2021년부터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지리산 산록의 2만4000㎡ 부지에 90여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추진한 이 사업은 오는 12월 말에 준공을 앞두고 있다.
또 정부는 구례군과 함께 충남 서천군에도 100여 마리를 수용할 반달가슴곰 생츄어리 조성 사업을 추진 중이다. 현재 전국에는 300여 마리의 반달가슴곰이 사육되고 있으며, 이 중 150여 마리는 구례와 서천의 생츄어리에 수용하고 나머지는 미국 등 해외로 보낼 계획이다. 2025년 말 이후에는 곰 사육이 법률적으로 전면 금지되기 때문이다.
한편, 20년 전부터 지리산에서 진행 중인 야생 반달가슴곰 복원 사업은 89마리로 늘어나 성공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서식지 포화 상태와 정확한 개체 수 파악이 불투명해 정부가 복원사업의 방향 전환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마지막 교육을 맡았던 동물보호단체 ‘곰보금자리 프로젝트’ 최태규 대표는 “우리 정부는 1980년대 농가소득을 위해 곰 사육을 장려했는데, 이는 결국 잘못된 정책으로 판가름났다”며 “어떤 정책이든 잘못된 정책 결정은 큰 책임이 뒤따른다는 것을 깨닫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구례=이진택 기자 lit@kwangju.co.kr
구례군은 19일 “올해 말 준공을 눈앞에 두고 있는 전국 최초의 구례군 반달가슴곰 생츄어리(동물 보금자리)<광주일보 2020년 11월 5일자 13면>에서 활약할 반달가슴곰해설사 5명이 5년여의 교육과정을 마치고 해설사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최종 수료한 5명의 반달가슴곰해설사는 주부와 전직 공무원, 교육·행정공무원, 숲해설가, 언론인 등 다양한 분야의 군민으로, 앞으로 생츄어리를 찾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반달가슴곰과 구례군에 대한 해설을 전담하게 된다.
![]() 반달가슴곰. |
또 정부는 구례군과 함께 충남 서천군에도 100여 마리를 수용할 반달가슴곰 생츄어리 조성 사업을 추진 중이다. 현재 전국에는 300여 마리의 반달가슴곰이 사육되고 있으며, 이 중 150여 마리는 구례와 서천의 생츄어리에 수용하고 나머지는 미국 등 해외로 보낼 계획이다. 2025년 말 이후에는 곰 사육이 법률적으로 전면 금지되기 때문이다.
한편, 20년 전부터 지리산에서 진행 중인 야생 반달가슴곰 복원 사업은 89마리로 늘어나 성공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서식지 포화 상태와 정확한 개체 수 파악이 불투명해 정부가 복원사업의 방향 전환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마지막 교육을 맡았던 동물보호단체 ‘곰보금자리 프로젝트’ 최태규 대표는 “우리 정부는 1980년대 농가소득을 위해 곰 사육을 장려했는데, 이는 결국 잘못된 정책으로 판가름났다”며 “어떤 정책이든 잘못된 정책 결정은 큰 책임이 뒤따른다는 것을 깨닫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구례=이진택 기자 lit@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