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 순천의 딸’ 남수현, 올림픽 10연패 신화 쐈다…여자 양궁 단체전 金
임시현·전훈영과 슛오프 접전 끝에 중국 꺾고 우승 확정
단체전 첫 도입 1988 서울 대회부터 10번째 금메달
단체전 첫 도입 1988 서울 대회부터 10번째 금메달
![]() 한국 양궁대표팀의 양창훈 감독(왼쪽부터), 임시현, 전훈영, 남수현이 29일 프랑스 파리 레쟁발리드 양궁 경기장에서 열린 2024 파리올림픽 양궁 여자단체 결승전에서 우승을 확정한 뒤 태극기를 들고 대회 10연패를 기념하는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
한국 여자 양궁대표팀 ‘막내’ 남수현(19·순천시청)이 임시현(21·한국체대), 전훈영(30·인천시청)과 올림픽 단체전 10연패 신화를 작성했다.
한국 대표팀은 29일 프랑스 파리의 레쟁발리드에서 진행된 2024 파리 올림픽 양궁 여자 단체전 결승에서 중국과 슛오프까지 가는 접전 끝에 5-4(56-53, 55-54, 51-54, 53-55 <29-27>)로 승리하면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단체전이 처음 도입된 1988년 서울대회를 시작으로 지난 2021년 진행된 2020 도쿄 올림픽까지 빠짐없이 금메달을 명중시켰던 한국은 파리올림픽 금메달까지 차지하면서 10연패의 대위업을 달성했다.
순천여고를 졸업하고 올해 순천시청에 입단한 19세 남수현은 쟁쟁한 선배들을 제치고 첫 올림픽에 나서 ‘10연패’ 역사에 이름을 남기게 됐다.
8강 승부에서 대만을 6-2로 가볍게 제압한 한국은 준결승전에서 퀸티 로에펜, 가비 슬루서르, 라우라 판데르빈켈로 꾸려진 네덜란드를 맞아 진땀을 흘렸다.
한국은 1세트를 57-53으로 가져왔지만 2세트에서 52-53을 기록했다. 10-10으로 시작한 3세트에서도 57-58, 1점 차로 패한 한국은 2-4에서 4세트에 돌입했다.
위기가 찾아오자 한국의 집중력이 빛났다. 세 선수가 연달아 과녁 한가운데에 화살을 꽂아놓으면서 기싸움에 나섰고, 네덜란드가 흔들렸다. 6발 중 4발이 8점에 꽂히면서 59-51이 됐고, 한국이 승부를 슛오프로 끌고 갔다.
‘맏언니’ 전훈영이 가장 먼저 활시위를 당겼고, 9점을 만들었다. 네덜란드의 시작은 8점이었다. 이어 남수현이 10점을 명중시키면서 상대를 흔들었다. 네덜란드 가비 슬루서르의 화살이 7점에 꽂혔다. 임시현의 화살도 7점으로 향했지만 총점은 26점이 됐고, 15점에 그쳤던 네덜란드의 마지막 화살에 상관없이 한국의 결승행이 확정됐다.
이어진 준결승전에서 중국이 멕시코를 꺾고 결승 티켓을 따내면서, 한국과 중국의 결승 대진이 완성됐다.
맏언니의 활약이 돋보였다.
전훈영이 가장 먼저 결승선 사대에 서서 10점을 쌌다. 이어 남수현이 9점, 임시현이 9점을 만들었다.
리지아만-안치쉬안-양샤오레이로 구성된 중국은 9점으로 경기를 시작했다. 이어 중국도 10점으로 응수했지만 세 발째 8점이 기록됐다.
다시 활시위를 당긴 전훈영이 연달아 10점에 화살을 꽂았다. 남수현도 엑스텐을 성공시켰고, 임시현도 9점을 보태면서 한국은 56점을 기록하며 53점을 합작한 중국에 앞섰다.
2세트에서 중국이 먼저 27점을 만들었다. 이어 전훈영이 나서 세 번째 화살도 10점에 명중시키면서 분위기를 끌어올렸다. 임시현도 10점을 만들면서 중국을 압박했다. 이어 중국의 화살 세 발이 모두 9점으로 향했다.
전훈영의 결승전 4번째 화살은 9점으로 향했지만 2세트에서도 한국은 55-54로 앞서면서 2점을 챙겼다.
남은 2세트에서 동점만 기록해도 한국의 우승이 확정되는 유리한 상황이 됐지만, 감격의 순간은 쉽게 찾아오지 않았다.
중국이 먼저 활시위를 당겨 8점으로 3세트를 시작했다. 이어 10점으로 화살이 향했지만 3번째 화살은 8점으로 벗어났다.
하지만 한국도 영점이 흔들렸다. 전훈영이 8점으로 시작한 뒤 남수현이 9점을 맞혔지만, 임시현의 화살도 8점으로 향했다.
이어 중국인 9점, 9점 10점을 쏘면서 54점을 만들었다.
전훈영이 9점, 남수현이 8점을 더하면서 42점, 임시현의 점수와 상관없이 한국의 패배가 확정됐고 승부는 4세트로 이어졌다.
중국의 뒷심이 만만치 않았다. 리지아만이 첫 발을 10점으로 보낸 뒤 두 발이 9점으로 향했다.
전훈영이 다시 10점을 명중시켰지만 남수현에 이어 임시현의 화살이 8점에 가 꽂혔다.
이어 중국이 다시 3발을 쏴 55점을 채워두고 한국의 결과를 지켜보게 됐다. 우승 확정을 위해 29점이 필요했던 한국, 전훈영이 10점을 쏘면서 ‘19점’이 남았다.
남수현이 9점을 맞히면서 임시현에게 ‘10점’이 필요했지만 화살은 8점으로 향하면서 금메달 향방은 슛오프로 가려지게 됐다.
슛오프에서 전훈영이 가장 먼저 시위를 당겨 9점을 만들었고, 중국의 첫 발은 8점으로 향했다. 이어 남수현의 화살이 9점과 10점 경계에 꽂혔다.
숨 막히는 승부에서 안치쉬안이 엑스텐을 장식했다.
그러나 임시현이 침착하게 활시위를 당겼고, 이번에도 9점과 10점 라인에 화살이 꽂혔다. 중국의 마지막 화살은 9점으로 가면서 27점.
이어 사람들의 시선은 한국 과녁으로 향했다.
남수현과 임시현의 화살이 모두 9점이 된다면 앞서 10점을 쏘았던 중국에 금메달이 돌아가는 상황. 하지만 과녁을 살핀 심판은 두 개의 화살을 모두 10점으로 인정하면서 한국은 슛오프 접전에서 29-27 우승을 확정했다.
/김여울 기자 wool@kwangju.co.kr
한국 대표팀은 29일 프랑스 파리의 레쟁발리드에서 진행된 2024 파리 올림픽 양궁 여자 단체전 결승에서 중국과 슛오프까지 가는 접전 끝에 5-4(56-53, 55-54, 51-54, 53-55 <29-27>)로 승리하면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순천여고를 졸업하고 올해 순천시청에 입단한 19세 남수현은 쟁쟁한 선배들을 제치고 첫 올림픽에 나서 ‘10연패’ 역사에 이름을 남기게 됐다.
8강 승부에서 대만을 6-2로 가볍게 제압한 한국은 준결승전에서 퀸티 로에펜, 가비 슬루서르, 라우라 판데르빈켈로 꾸려진 네덜란드를 맞아 진땀을 흘렸다.
위기가 찾아오자 한국의 집중력이 빛났다. 세 선수가 연달아 과녁 한가운데에 화살을 꽂아놓으면서 기싸움에 나섰고, 네덜란드가 흔들렸다. 6발 중 4발이 8점에 꽂히면서 59-51이 됐고, 한국이 승부를 슛오프로 끌고 갔다.
‘맏언니’ 전훈영이 가장 먼저 활시위를 당겼고, 9점을 만들었다. 네덜란드의 시작은 8점이었다. 이어 남수현이 10점을 명중시키면서 상대를 흔들었다. 네덜란드 가비 슬루서르의 화살이 7점에 꽂혔다. 임시현의 화살도 7점으로 향했지만 총점은 26점이 됐고, 15점에 그쳤던 네덜란드의 마지막 화살에 상관없이 한국의 결승행이 확정됐다.
이어진 준결승전에서 중국이 멕시코를 꺾고 결승 티켓을 따내면서, 한국과 중국의 결승 대진이 완성됐다.
맏언니의 활약이 돋보였다.
전훈영이 가장 먼저 결승선 사대에 서서 10점을 쌌다. 이어 남수현이 9점, 임시현이 9점을 만들었다.
리지아만-안치쉬안-양샤오레이로 구성된 중국은 9점으로 경기를 시작했다. 이어 중국도 10점으로 응수했지만 세 발째 8점이 기록됐다.
다시 활시위를 당긴 전훈영이 연달아 10점에 화살을 꽂았다. 남수현도 엑스텐을 성공시켰고, 임시현도 9점을 보태면서 한국은 56점을 기록하며 53점을 합작한 중국에 앞섰다.
2세트에서 중국이 먼저 27점을 만들었다. 이어 전훈영이 나서 세 번째 화살도 10점에 명중시키면서 분위기를 끌어올렸다. 임시현도 10점을 만들면서 중국을 압박했다. 이어 중국의 화살 세 발이 모두 9점으로 향했다.
전훈영의 결승전 4번째 화살은 9점으로 향했지만 2세트에서도 한국은 55-54로 앞서면서 2점을 챙겼다.
남은 2세트에서 동점만 기록해도 한국의 우승이 확정되는 유리한 상황이 됐지만, 감격의 순간은 쉽게 찾아오지 않았다.
중국이 먼저 활시위를 당겨 8점으로 3세트를 시작했다. 이어 10점으로 화살이 향했지만 3번째 화살은 8점으로 벗어났다.
하지만 한국도 영점이 흔들렸다. 전훈영이 8점으로 시작한 뒤 남수현이 9점을 맞혔지만, 임시현의 화살도 8점으로 향했다.
이어 중국인 9점, 9점 10점을 쏘면서 54점을 만들었다.
전훈영이 9점, 남수현이 8점을 더하면서 42점, 임시현의 점수와 상관없이 한국의 패배가 확정됐고 승부는 4세트로 이어졌다.
중국의 뒷심이 만만치 않았다. 리지아만이 첫 발을 10점으로 보낸 뒤 두 발이 9점으로 향했다.
전훈영이 다시 10점을 명중시켰지만 남수현에 이어 임시현의 화살이 8점에 가 꽂혔다.
이어 중국이 다시 3발을 쏴 55점을 채워두고 한국의 결과를 지켜보게 됐다. 우승 확정을 위해 29점이 필요했던 한국, 전훈영이 10점을 쏘면서 ‘19점’이 남았다.
남수현이 9점을 맞히면서 임시현에게 ‘10점’이 필요했지만 화살은 8점으로 향하면서 금메달 향방은 슛오프로 가려지게 됐다.
슛오프에서 전훈영이 가장 먼저 시위를 당겨 9점을 만들었고, 중국의 첫 발은 8점으로 향했다. 이어 남수현의 화살이 9점과 10점 경계에 꽂혔다.
숨 막히는 승부에서 안치쉬안이 엑스텐을 장식했다.
그러나 임시현이 침착하게 활시위를 당겼고, 이번에도 9점과 10점 라인에 화살이 꽂혔다. 중국의 마지막 화살은 9점으로 가면서 27점.
이어 사람들의 시선은 한국 과녁으로 향했다.
남수현과 임시현의 화살이 모두 9점이 된다면 앞서 10점을 쏘았던 중국에 금메달이 돌아가는 상황. 하지만 과녁을 살핀 심판은 두 개의 화살을 모두 10점으로 인정하면서 한국은 슛오프 접전에서 29-27 우승을 확정했다.
/김여울 기자 wool@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