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재 부족’ 지하철 등 광주·전남 대규모 공사 스톱 우려
광주·전남 레미콘회사 사용 모래 49.4% 전북에서 공급 받아
주민 민원·환경훼손 논란에 인허가 어려움…건설업계 ‘악재’
2024년 07월 21일(일) 19:50
도시철도 2호선, 호남고속철도 2구간 등 광주·전남 대규모 공사 현장들이 골재가 없어 줄줄이 공정을 멈출 수 있다는 경고등이 들어왔다. 지역 내에서의 골재 채취가 주민 민원, 환경 훼손 논란 등으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상당량의 골재를 타 지역에서 들여오고 있으며, 운송비 상승으로 인해 가격이 오르고 공급량 또한 계속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건축비·인건비 상승에 고금리 등을 겪고 있는 건설업계가 또다른 악재로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21일 중소기업중앙회 광주전남레미콘공업협동조합에 따르면 지난해 이들 조합 권역 내 레미콘 회사 44곳에서 사용한 모래의 49.4%가 전북에서 수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레미콘은 시멘트와 자갈, 모래로 구성되는데, 모래가 평균 40%를 차지하는 주재료다. 지난해 레미콘 제조에 사용된 모래는 총 280만㎡로 권역 내에서는 함평(28.9%)과 곡성(9.9%), 영광(7.1%)에서 주로 수급됐다. 레미콘 회사들은 지난해 전체 모래의 남원(29.5%)과 고창(14.8%), 순창(5.1%)에서 가져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물량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게 조합의 설명이다. 특히 권역 내 주산지인 함평은 채취량 제한으로 전년 대비 모래 생산량이 절반가량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모래 수급이 어려워지면서 가격은 급등하고 있다. 4년 전 함평 모래 가격은 ㎥당 1만5800원이었지만, 올 7월 기준 2만2500원으로 42.2% 증가했다. 남원 모래의 경우는 4년 전 2만3000원에서 2만9000원까지 뛰었다.

레미콘 업계는 “골재 채취업자가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한 모래 가격을 계속 올리는 것도 문제”라며 “모래 가격 상승은 결국 건설비 상승으로 이어져 시민들에게 부담을 지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골재 부족 사태는 어려운 골재 채취 인허가 과정과 맞닿아 있다. 골재 채취 인허가 권한은 일선 자치구와 시·군에 있으나 주민 민원과 환경단체의 반발 등으로 신규 인허가를 꺼리고 있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광주에서는 광산구에서 골재 채취 인허가 신청이 있었다가 무산된 뒤 5년 간 채취 허가가 없었다.

레미콘 업계는 올 초 국토교통부와 광주시, 전남도를 찾아 골재 채취 수급 현황과 탄원서를 제출했지만, 전남도를 제외하고는 별다른 답변을 받지 못했다.

레미콘 업계는 골재채취법에 골재수급계획(5조)과 연도별 골재수급계획(6조)을 국토부와 시·도지사가 협의해 수립해야 하는 만큼 이들 지자체가 적정한 골재 채취를 허가해 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레미콘이 민간공사 뿐만 아니라 관급공사에도 투입되기 때문이다. 광주·전남의 경우 도시철도 2호선 공사, 연구개발특구 부지 조성, 호남고속철도 2단계 등 대규모 건설공사가 진행되고 있거나 앞두고 있다.

건설업계에서는 비수기인 장마가 끝난 후 골재 부족 사태는 더 심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무엇보다 업계에서는 최근 불량 시공 이슈가 불거지는 가운데, 골재 부족 사태가 부실 시공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박명한 광주전남레미콘공업협동조합 부장은 “장기적으로 ‘골재 대란’을 완화하기 위해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며 “필요하다면 골재수급대책 용역을 통해 지역 내 골재 수급을 위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21559000771219005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07일 08:4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