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케치북에 ACC와 광주 동구의 역사를 담다
ACC-광주어반스케치&드로잉, ‘ACC에 반한 스케치’ 전
오는 7일까지 문화정보원 대나무 정원서 200여점 선봬
오는 7일까지 문화정보원 대나무 정원서 200여점 선봬
![]() 서채은 작 ‘ACC에 반한 스케치’ |
국립아시아문화전당(전당장 이강현, ACC)은 매력 있는 공간을 품고 있다. 사시사철 달라지는 풍경은 방문객들에게 공간에 대한 새로운 감성을 선사한다.
어린이문화원 앞의 달팽이 모양의 조형물과 설치작품은 동화적 상상력을, 상상마당의 이색적인 작품과 푸른 나무는 아이들에게 문화예술에 대한 꿈을 갖게 한다.
ACC의 다양한 풍경을 스케치에 담은 작품전이 열리고 있어 눈길을 끈다.
ACC는 광주어반스케치&드로잉(대표 서동환)과 함께 ‘ACC에 반한 스케치’ 전시를 연다. 오는 7일까지 문화정보원 대나무 정원에서 진행 중인 이번 전시는 ACC와 동구의 오래된 모습을 소환한다. 모두 200여 점 작품은 ACC를 중심으로 어제와 오늘의 시간을 돌아보게 한다.
‘어반스케쳐스’는 거주하는 곳이나 여행하는 현장을 그리는 단체로 전 세계 주요 도시에 수 백여 개의 지부를 두고 있는 단체다. 지난 2020년 결성된 ‘광주어반스케치&드로잉’은 광주 옛 거리와 건물, 현재를 그리고 있으며 현재 100여 명이 활동하고 있다.
이번 전시를 위해 ‘광주어반스케치&드로잉’ 회원 40여 명은 지난 2월 ACC를 방문해 스케치를 했다. 지난 3~4월에는 어반스케쳐스 작가들을 초청, ACC 전시 관람과 함께 공간을 둘러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전시 작품 가운데 서동환 작가 그림은 푸르름과 낭만이 깃든 어린이창작실험실 앞 풍경을 담아 눈길을 끈다. 작가의 어린이문화원에 남다른 애착이 느껴진다.
서채은 작가는 지난해 8월 열린 월드뮤직페스티벌의 프로그램이 내걸린 장면을 섬세하게 풀어냈다. 수많은 스케치로 구현된 민주평화교류원 뒷 벽면은 정치하면서도 특유의 아우라를 발한다.
한편 이강현 전당장은 “이번 ‘ACC에 반한 스케치’전은 오늘의 ACC가 있기까지의 지난 시간의 역사와 현재의 모습을 함께 생각하고 나누는 자리”라며 “ACC는 앞으로도 도시, 공간 등을 모티브로 지역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협력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어린이문화원 앞의 달팽이 모양의 조형물과 설치작품은 동화적 상상력을, 상상마당의 이색적인 작품과 푸른 나무는 아이들에게 문화예술에 대한 꿈을 갖게 한다.
ACC는 광주어반스케치&드로잉(대표 서동환)과 함께 ‘ACC에 반한 스케치’ 전시를 연다. 오는 7일까지 문화정보원 대나무 정원에서 진행 중인 이번 전시는 ACC와 동구의 오래된 모습을 소환한다. 모두 200여 점 작품은 ACC를 중심으로 어제와 오늘의 시간을 돌아보게 한다.
‘어반스케쳐스’는 거주하는 곳이나 여행하는 현장을 그리는 단체로 전 세계 주요 도시에 수 백여 개의 지부를 두고 있는 단체다. 지난 2020년 결성된 ‘광주어반스케치&드로잉’은 광주 옛 거리와 건물, 현재를 그리고 있으며 현재 100여 명이 활동하고 있다.
이번 전시 작품 가운데 서동환 작가 그림은 푸르름과 낭만이 깃든 어린이창작실험실 앞 풍경을 담아 눈길을 끈다. 작가의 어린이문화원에 남다른 애착이 느껴진다.
![]() 서동환 작 ‘ACC에 반한 스케치’ |
한편 이강현 전당장은 “이번 ‘ACC에 반한 스케치’전은 오늘의 ACC가 있기까지의 지난 시간의 역사와 현재의 모습을 함께 생각하고 나누는 자리”라며 “ACC는 앞으로도 도시, 공간 등을 모티브로 지역문화예술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협력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