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적자 겪는 한우농가 살릴 대책 마련 시급
2024년 06월 12일(수) 00:00
전국 한우 농가들이 다음 달 초 서울에서 대규모 ‘한우반납 집회’를 열기로 했다. 이에 따라 12년 만에 전남을 비롯한 전국 한우 농가들이 정부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며 한우를 차에 싣고 상경하려 시도하고, 경찰이 고속도로 톨게이트 등지에서 이를 저지하는 모습이 재연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 2012년에도 한우 농가들이 정부의 미국산 소고기 수입 조치에 항의하며 상경 시위를 추진한 바 있다.

한우 농가들은 사료비·인건비 등 생산비 증가와 한우 가격 하락으로 인한 만성 적자를 호소하고 있다. 한우 농가들에 따르면 송아지 구입비로 평균 350만 원과 28~30개월간의 사료비로 600만 원 등 출하할 때까지 총 950만 원의 비용이 들어간다. 그렇지만 한우 한 마리를 팔면 700만~900만 원 밖에 받지 못한다. 국제 곡물가격 상승에 따른 배합사료비 증가, 인건비 인상 등으로 인해 소를 키우는데 드는 비용도 급증했다. 반면 한우 고기 공급 과잉으로 도매 가격은 3년 전보다 30%가깝게 하락했다. 한우를 키울수록 손해를 보는 실정이다. 심각한 경영 위기를 겪고 있는 전남 한우 농가 20% 정도가 폐업 수순을 밟고 있다고 한다.

한우 농가들은 지난 21대 국회에서 야당 단독으로 통과시킨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을 위한 지원법’(한우법)에 한 가닥 기대를 걸었다. 하지만 윤석열 대통령은 타 축산 품목들과의 형평성을 이유로 거부권을 행사했다. 정부는 만성 적자를 겪는 한우 농가를 살리고 축산업 발전을 위한 근본적이고 실효성있는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또한 정부는 거부권 행사 때 약속한 대로 축산법을 조속히 개정해 한우 농가 지원책을 마련 하길 바란다. 정부와 한우 농가가 협력해 공급 과잉을 해소하기 위해 사육 규모를 줄이는 노력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18118000769367074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04일 15:2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