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무악희에 담긴 남도 연희의 원류, 토토전 '전라 유희'
광주문화재단 전통문화관 18일 연희예술공간 타:놀 출연
![]() 연희예술공간 타:놀 <광주문화재단 전통문화관 제공> |
타악, 마당극, 전라도의 전통 연희…….
광주문화재단 전통문화관이 토요상설공연 일환으로 ‘전라 유(遊)·희(戱)’를 오는 18일 오후 3시 너덜마당에서 펼친다. 전라도의 소리를 표현해 온 ‘연희예술공간 타:놀(대표 박지은·타놀)’이 출연해 호남 타악, 연희극의 진수를 보여줄 예정이다.
1부는 전라도의 소리 ‘축원고사덕담’ 중 마당밟기 소리굿으로 채워진다. 네 가지 타악기와 함께 농악 가락을 앉음반으로 구성하는 노래로 우리 전통의 신명이 깃들어 있다. 비나리나 고사 염불로도 칭하는 ‘고사 덕담’은 연희나 축제 마당에서 기원의 의미로 가락에 맞춰 부르는 소리다.
이어지는 2부 무대는 전라도의 농악 가락인 ‘호남우도’가 장식한다. 서부 평야지대를 중심으로 발달한 우도농악(右道農樂)은 나팔, 쇠납, 농기, 잡색 등으로 구성된 농악이다.
특징으로 마당밟이(지신밟이) 굿이 두드러지는 측면이 있으며 상쇠의 주도 아래 오채질굿, 오방진, 호호굿 등을 펼치기도 한다. 끝으로 3부는 연희 공연 ‘전라 유·희’라는 제목으로 연희극을 펼칠 예정이다.
총연출 및 징, 버꾸는 타놀 대표 박지은이 맡는다. 소리·쇠는 풍물연희예술단 광대 장호준 대표가, 장구는 타악그룹 타류 유송일 대표 및 빛고을영무장농악단 넌실 이상호 부단장 등이 연주한다. 이 밖에도 진도북, 태평소 등 전통악기를 만날 수 있다.
한편 전통문화관에서는 토.토전!(토요일, 토요일은 전통문화관에서 놀자)을 슬로건으로 매주 토요일 오후 1시부터 ‘고구려 벽화 속 전통 민속놀이 체험’, 3시부터 ‘판소리·산조’, ‘국악창작, 연희·무용’ 등 다양한 장르의 전통예술공연이 펼쳐진다.
전통문화관 선미영 팀장은 “연희예술공간 타:놀이 들려주는 꽹과리, 징, 북, 소고, 태평소 등 전통악기 연주에는 놀이, 노동, 음악, 무용, 연극적 요소가 버무려져 있다”며 “전라도의 종합예술 가무악희를 감상하며 남도 연희의 흥과 멋을 느꼈으면 한다”고 말했다.
무료 공연.
/최류빈 기자 rubi@kwangju.co.kr
광주문화재단 전통문화관이 토요상설공연 일환으로 ‘전라 유(遊)·희(戱)’를 오는 18일 오후 3시 너덜마당에서 펼친다. 전라도의 소리를 표현해 온 ‘연희예술공간 타:놀(대표 박지은·타놀)’이 출연해 호남 타악, 연희극의 진수를 보여줄 예정이다.
1부는 전라도의 소리 ‘축원고사덕담’ 중 마당밟기 소리굿으로 채워진다. 네 가지 타악기와 함께 농악 가락을 앉음반으로 구성하는 노래로 우리 전통의 신명이 깃들어 있다. 비나리나 고사 염불로도 칭하는 ‘고사 덕담’은 연희나 축제 마당에서 기원의 의미로 가락에 맞춰 부르는 소리다.
특징으로 마당밟이(지신밟이) 굿이 두드러지는 측면이 있으며 상쇠의 주도 아래 오채질굿, 오방진, 호호굿 등을 펼치기도 한다. 끝으로 3부는 연희 공연 ‘전라 유·희’라는 제목으로 연희극을 펼칠 예정이다.
한편 전통문화관에서는 토.토전!(토요일, 토요일은 전통문화관에서 놀자)을 슬로건으로 매주 토요일 오후 1시부터 ‘고구려 벽화 속 전통 민속놀이 체험’, 3시부터 ‘판소리·산조’, ‘국악창작, 연희·무용’ 등 다양한 장르의 전통예술공연이 펼쳐진다.
전통문화관 선미영 팀장은 “연희예술공간 타:놀이 들려주는 꽹과리, 징, 북, 소고, 태평소 등 전통악기 연주에는 놀이, 노동, 음악, 무용, 연극적 요소가 버무려져 있다”며 “전라도의 종합예술 가무악희를 감상하며 남도 연희의 흥과 멋을 느꼈으면 한다”고 말했다.
무료 공연.
/최류빈 기자 rub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