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발전특구 지정 지역인재 양성 계기로
2024년 03월 04일(월) 00:00
교육부와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는 최근 광주와 목포·나주·광양·강진·영암·무안·신안 등 전남 7개 시·군을 1차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선정했다. 교육발전특구는 지역 공교육의 질을 높이고, 지역인재 양성과 정주기반 마련을 위해 도입된 정책이다. 지자체와 교육청은 해당 지역 대학·산업체 등과 협력해 주민이 원하는 교육정책을 자율적으로 마련한다. 중앙정부는 이에 맞춰 재정 지원과 규제 해소 등 다양한 특례를 제공하게 된다.

광주시와 광주시교육청은 ‘광주형 인공지능(AI) 인재 성장 사다리 연계를 통한 인재양성’ 등 13개 전략사업을 대상으로 교육부의 컨설팅을 거쳐 세부 계획을 수립한다. 또한 전남지역은 ‘해양관광 융·복합형’(목포·무안·신안), ‘에너지중심 혁신도시형’(나주), ‘미래농생명산업형’(영암·강진), ‘신소재산업 인재형 산업’(광양) 등 특구별로 지역 특성을 반영한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한다.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광주·전남 각 지자체와 시·도·군 교육청은 많은 기대를 걸고 있다. 교육발전특구 사업 범위는 유아·돌봄부터 초·중·고, 대학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다. 시범지역은 교육부로부터 지방교육재정 특별교부금을 지원받게 된다. 각 지역은 청년층 이탈 등 경제활동인구 감소로 지역소멸 위기를 맞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해당 지역은 교육발전특구 사업을 통해 그동안 미진했던 교육 혁신을 하게 되고 나아가 지역소멸을 막을 토대를 다질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은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라고 했다. 이번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사업은 각 지역마다 산적한 육아환경 개선과 돌봄 확대, 공교육 혁신, 지역인재 양성 등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한다. 앞으로 광역·기초 지자체와 시·도·군 교육청은 장기적인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09478000765164074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11일 22:3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