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광주 광산갑, 박균택·이용빈 2인 경선
공관위, 4차 경선지역 발표
![]() 왼쪽부터 박균택, 이용빈 후보. |
더불어민주당은 21일 광주 광산갑 지역구를 비롯한 전국 18개 지역구에 대해 단수 공천 및 경선 지역을 발표했다.
민주당 공천관리위원회는 이날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이러한 내용의 4차 심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심사는 총 18개 지역구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단수공천 지역은 10곳, 경선 지역은 8곳으로 분류됐다.
이 가운데 광주·전남지역은 광주 광산갑 1곳만 경선지역으로 발표됐다.
두 명이 공천을 신청했음에도, 그동안 경선지역으로 발표되지 않아 수 많은 억측이 나돌았던 광주 광산갑 지역구는 결국 박균택 당대표 법률특보와 이용빈 국회의원이 2인 경선으로 맞붙는다. 두 후보 모두 친명(친 이재명)계로 분류된다.
이로써 광주지역은 광주 서구갑 선거구와 중앙당이 전략선거구로 지정한 광주 서구을 2곳만이 공천 심사가 남았으며, 전남은 10개 선거구 중 이날까지 단 한 곳도 발표되지 않았다.
민주당 공관위는 또 이날 김병욱(경기 성남분당을)·박재호(부산 남을)·박정(경기 파주을)·이해식(서울 강동을)·전재수(부산 북강서갑·이상 재선)·이소영(경기 의왕과천·초선) 등 현역 의원 6명을 기존 지역구에 단수 공천하기로 했다.
원외 인사가 단수공천된 4곳은 부산 남갑(박재범 전 부산남구청장), 경북 고령성주칠곡(정석원 신라대 겸임교수), 경남 통영고성(강석주 전 통영시장), 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우서영 경남도당 대변인)이다.
경선 지역은 광주 광산갑을 포함해 서울 용산에서 강태웅 전 서울시 행정1부시장과 성장현 전 용산구청장이, 서울 금천은 현역 최기상 의원과 조상호 당 법률위원회 부위원장이 각각 맞대결한다.
당의 험지로 꼽히는 부산 해운대을과 부산 사상에서는 3인 경선이 치러지며 결선투표는 열리지 않는다. 해운대을에선 ▲윤용조 전 경기도청 평화대변인 ▲윤준호 전 의원 ▲이명원 전 해운대구의회 의장이, 사상에선 ▲김부민 전 부산시의원 ▲배재정 전 의원 ▲서태경 전 대통령비서실 행정관이 각각 대결한다.
부산 중·영도에서는 김비오 전 대통령비서실 행정관과 박영미 전 지역위원장이 경선을 벌인다.
경기 용인병에서는 정춘숙 의원과 부승찬 전 국방부 대변인이, 남양주갑에서는 임윤태 전 당 정책위 부의장과 최민희 전 의원이 각각 격돌한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
민주당 공천관리위원회는 이날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이러한 내용의 4차 심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심사는 총 18개 지역구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단수공천 지역은 10곳, 경선 지역은 8곳으로 분류됐다.
두 명이 공천을 신청했음에도, 그동안 경선지역으로 발표되지 않아 수 많은 억측이 나돌았던 광주 광산갑 지역구는 결국 박균택 당대표 법률특보와 이용빈 국회의원이 2인 경선으로 맞붙는다. 두 후보 모두 친명(친 이재명)계로 분류된다.
이로써 광주지역은 광주 서구갑 선거구와 중앙당이 전략선거구로 지정한 광주 서구을 2곳만이 공천 심사가 남았으며, 전남은 10개 선거구 중 이날까지 단 한 곳도 발표되지 않았다.
민주당 공관위는 또 이날 김병욱(경기 성남분당을)·박재호(부산 남을)·박정(경기 파주을)·이해식(서울 강동을)·전재수(부산 북강서갑·이상 재선)·이소영(경기 의왕과천·초선) 등 현역 의원 6명을 기존 지역구에 단수 공천하기로 했다.
경선 지역은 광주 광산갑을 포함해 서울 용산에서 강태웅 전 서울시 행정1부시장과 성장현 전 용산구청장이, 서울 금천은 현역 최기상 의원과 조상호 당 법률위원회 부위원장이 각각 맞대결한다.
당의 험지로 꼽히는 부산 해운대을과 부산 사상에서는 3인 경선이 치러지며 결선투표는 열리지 않는다. 해운대을에선 ▲윤용조 전 경기도청 평화대변인 ▲윤준호 전 의원 ▲이명원 전 해운대구의회 의장이, 사상에선 ▲김부민 전 부산시의원 ▲배재정 전 의원 ▲서태경 전 대통령비서실 행정관이 각각 대결한다.
부산 중·영도에서는 김비오 전 대통령비서실 행정관과 박영미 전 지역위원장이 경선을 벌인다.
경기 용인병에서는 정춘숙 의원과 부승찬 전 국방부 대변인이, 남양주갑에서는 임윤태 전 당 정책위 부의장과 최민희 전 의원이 각각 격돌한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