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상의 돈 선거 되풀이 조짐에 지역사회 거센 비판
25대 의원·회장 선거 앞두고 추가 회원 투표권 허용 움직임
현 집행부 3년간 전 회장 고발로 검찰수사…‘악몽’ 재연 우려
현 집행부 3년간 전 회장 고발로 검찰수사…‘악몽’ 재연 우려
![]() |
여수상공회의소가 제25대 회장 선거를 앞두고 금권선거 논란에 휩싸이면서 지역사회의 거센 비판을 불러오고 있다.
23일 여수상의 및 회원에 따르면 오는 2월 여수상공회의소 제25대 의원·회장 선거를 앞두고 일부 회원 사이에서 추가 회원 모집 및 추가 회비 납부를 양성화해 투표권을 더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특히 현 집행부의 3년 임기 동안 전 회장에 대한 고발로 인해 검찰 수사가 이어진 가운데 돈 선거가 되풀이될 경우 사정 기관의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와 함께 일부 회원들의 추가회비 납부 등의 의견은 ‘돈 선거’를 막자는 대다수 회원의 뜻과 상반돼 논란이 퍼질 전망이다.
앞서 여수상의는 지난 9월부터 5차례에 걸쳐 ‘선거 규정 개정’을 위한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회원 대다수가 과열 선거 방지 및 돈 선거를 막기 위해 추가 회원 모집과 추가 회비 납부 제한, 회비를 낸 신규 회원의 투표권 3년 유예가 필요하다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았다.
여수상의 개혁을 원하는 회원사들의 뜻이 전반적으로 반영되면서 24일 정기 의원 총회 안건으로 올라 최종 결론지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선거가 임박한 21일 여수상의 유력 회원 일부가 머리를 맞대 ‘추가 회원 모집과 추가 회비 납부를 해야 한다’는 쪽으로 담합한 것으로 알려져 지역사회의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이들이 담합한 의도대로 추가 회원 모집은 24일 의원 총회 시 선거 규정 개정에 대한 논의 자체가 이뤄지지 않을 때 가능해진다. 선거규정 개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기존 선거방식이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총회에 개정 안건이 상정될 경우에도 참석 의원 다수가 추가 회원 허용에 찬성한다면 3년 전 여수상의 회장 선거 당시와 같이 추가 회비 납부와 회원 모집으로 투표수가 증가하게 된다.
여수상의는 2021년 3월 제24대 회장 선거를 앞두고 ‘추가 회비’ 과열 납부 및 신규 회원 투표권 행사로 연 수천만 원에서 1억 원이 넘는 회비를 성실하게 납부했던 대기업과 기업들의 투표권이 유명무실했던 전례가 있다. 여수상의 회장 선거권을 가진 의원(대의원)선거단은 총 40명(일반 35명·특별 5명)으로 구성된다.
당시 의원으로 선출될 수 있는 기본 자격은 1명당 40표 정도면 가능했지만 돈 선거로 인해 1인당 확보해야 할 표가 2배 이상 급증하면서 지역사회의 거센 비판을 받았다. 실제 추가 회비 납부로 투표권 수가 지난 23대 회장 선거 때 1660여 표에서 3년이 지난 당시(24대) 3800여 표로 2배 이상 늘었다. 늘어난 표는 특정인을 밀어주기 위한 표로 분석되면서 논란으로 이어졌다.
여수상의는 이런 전례와 혼탁 선거 의혹을 떨치기 위해 제25대 회장 선거 준비 과정서 상임의원·집행부 간담회를 다섯 차례 갖고 의견을 수렴하는 등 ‘돈 선거’를 경계했지만, 선거 직전에 지난 선거와 같은 움직임이 되풀이되고 있다.
여수상의 회원사 한 관계자는 “여수상의가 지난 선거 당시 이뤄진 금권 선거의 오명을 씻기 위해 그동안 간담회를 열고 수차례 돈 선거 방지를 외쳐왔지만, 실제 뒤에서는 담합을 하고 있다는 정황들이 들려오면서 큰 배신감과 함께 실소를 금할 수 없다”며 “소수 회원이 특정인을 선출하기 위해 추가회비 납부를 통한 추가 투표권 부여 방식을 악용하는 것은 회원들을 무시하고 여수상의를 지역사회의 조롱거리로 만드는 파렴치한 행태”라고 밝혔다.
실제 많은 회원사와 지역 경제계 등은 현 이용규 회장의 임기 내내 이뤄진 전 회장 고발로 압수수색 등 검찰 수사를 받아 온 여수상의가 ‘돈 선거·금권선거’에 휘말리면 다시 수사 선상에 오를까 염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2021년 제24대 여수상의 회장 선거에서 추가 회비 50만원당 1표라는 점을 악용해 10억원의 추가 회비가 납부되면서 표가 급증했다. 당시 연 1억5000만원의 회비를 납부한 대기업이 의원 선거에서 낙선하면서 ‘돈 선거’ 논란이 커진 바 있다.
/여수=김창화 기자·동부취재본부장 chkim@kwangju.co.kr
23일 여수상의 및 회원에 따르면 오는 2월 여수상공회의소 제25대 의원·회장 선거를 앞두고 일부 회원 사이에서 추가 회원 모집 및 추가 회비 납부를 양성화해 투표권을 더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특히 현 집행부의 3년 임기 동안 전 회장에 대한 고발로 인해 검찰 수사가 이어진 가운데 돈 선거가 되풀이될 경우 사정 기관의 표적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앞서 여수상의는 지난 9월부터 5차례에 걸쳐 ‘선거 규정 개정’을 위한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회원 대다수가 과열 선거 방지 및 돈 선거를 막기 위해 추가 회원 모집과 추가 회비 납부 제한, 회비를 낸 신규 회원의 투표권 3년 유예가 필요하다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았다.
하지만 선거가 임박한 21일 여수상의 유력 회원 일부가 머리를 맞대 ‘추가 회원 모집과 추가 회비 납부를 해야 한다’는 쪽으로 담합한 것으로 알려져 지역사회의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이들이 담합한 의도대로 추가 회원 모집은 24일 의원 총회 시 선거 규정 개정에 대한 논의 자체가 이뤄지지 않을 때 가능해진다. 선거규정 개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기존 선거방식이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총회에 개정 안건이 상정될 경우에도 참석 의원 다수가 추가 회원 허용에 찬성한다면 3년 전 여수상의 회장 선거 당시와 같이 추가 회비 납부와 회원 모집으로 투표수가 증가하게 된다.
여수상의는 2021년 3월 제24대 회장 선거를 앞두고 ‘추가 회비’ 과열 납부 및 신규 회원 투표권 행사로 연 수천만 원에서 1억 원이 넘는 회비를 성실하게 납부했던 대기업과 기업들의 투표권이 유명무실했던 전례가 있다. 여수상의 회장 선거권을 가진 의원(대의원)선거단은 총 40명(일반 35명·특별 5명)으로 구성된다.
당시 의원으로 선출될 수 있는 기본 자격은 1명당 40표 정도면 가능했지만 돈 선거로 인해 1인당 확보해야 할 표가 2배 이상 급증하면서 지역사회의 거센 비판을 받았다. 실제 추가 회비 납부로 투표권 수가 지난 23대 회장 선거 때 1660여 표에서 3년이 지난 당시(24대) 3800여 표로 2배 이상 늘었다. 늘어난 표는 특정인을 밀어주기 위한 표로 분석되면서 논란으로 이어졌다.
여수상의는 이런 전례와 혼탁 선거 의혹을 떨치기 위해 제25대 회장 선거 준비 과정서 상임의원·집행부 간담회를 다섯 차례 갖고 의견을 수렴하는 등 ‘돈 선거’를 경계했지만, 선거 직전에 지난 선거와 같은 움직임이 되풀이되고 있다.
여수상의 회원사 한 관계자는 “여수상의가 지난 선거 당시 이뤄진 금권 선거의 오명을 씻기 위해 그동안 간담회를 열고 수차례 돈 선거 방지를 외쳐왔지만, 실제 뒤에서는 담합을 하고 있다는 정황들이 들려오면서 큰 배신감과 함께 실소를 금할 수 없다”며 “소수 회원이 특정인을 선출하기 위해 추가회비 납부를 통한 추가 투표권 부여 방식을 악용하는 것은 회원들을 무시하고 여수상의를 지역사회의 조롱거리로 만드는 파렴치한 행태”라고 밝혔다.
실제 많은 회원사와 지역 경제계 등은 현 이용규 회장의 임기 내내 이뤄진 전 회장 고발로 압수수색 등 검찰 수사를 받아 온 여수상의가 ‘돈 선거·금권선거’에 휘말리면 다시 수사 선상에 오를까 염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2021년 제24대 여수상의 회장 선거에서 추가 회비 50만원당 1표라는 점을 악용해 10억원의 추가 회비가 납부되면서 표가 급증했다. 당시 연 1억5000만원의 회비를 납부한 대기업이 의원 선거에서 낙선하면서 ‘돈 선거’ 논란이 커진 바 있다.
/여수=김창화 기자·동부취재본부장 ch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