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25개 출자 출연기관, 22개로 줄여
2023년 12월 20일(수) 16:30
전남도 출자·출연한 공공기관 25곳 중 3곳이 줄고 각 기관별 일자리·에너지·환경 분야 유사·중복 업무가 한 곳으로 조정된다. 기관별 몸집 줄이기와 인력 재배치도 본격화되는 등 공공기관 개혁 행보가 본격화된다.

20일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 18일 도청 서재필에서 열린 ‘전남도 공공기관 경영효율화 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통해 공공기관 축소, 통·폐합, 기능조정, 기관별 경영 개선에 대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됐다.

이번 연구용역은 행안부의 공공기관 구조개혁 가이드라인에 따른 조치로, 용역을 진행한 한국산업관계연구원은 전남도 25개 산하기관(1개 공기업, 24개 출연기관)을 대상으로 공공기관 주요사업, 조직·기능·인력 등을 분석하고 유사·중복 기능 수행 등으로 인한 비효율성 여부를 검토해 기관 간 기능 통폐합이나 조정, 기관별 경영개선안 등을 담은 경영효율화 방안을 검토했다.

용역 결과, 지난 2016년 세계친환경디자인박람회를 치른 뒤 별도 계획 없이 출연기관 형태로 유지하고 있는 전남세계친환경디자인박람회는 해산하고 관광 행사 기능이 중복되는 명량대첩기념사업회, 남도음식문화큰잔치는 관광재단으로 통합하는 안을 제시했다.

세계친환경디자인박람회는 출연기관으로서 운영하는 데 효율성이 없다는 게 진단 결과다. 명량대첩, 남도음식문큰잔치는전남도 차원의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시·군 등 관계 기관과의 연계 협업해야하는 중요성을 감안하면 관광재단으로 기관 통합을 통한 경영 효율성을 도모하는 게 지역 관광 진흥 역할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게 용역을 맡은 한국산업관계연구원 판단이다.

전남테크노파크, 녹색에너지연구원, 환경산업진흥원, 전남정보문화진흥원, 중소기업일자리경제진흥원 간 유사·중복 업무의 기능 조정의 필요성도 제시되면서 향후 기관 간 업무 조정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용역은 전남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적극적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테크노파크(첨단산업), 바이오산업진흥원(바이오산업), 녹색에너지연구원(재생에너지산업), 환경산업진흥원(환경산업), 정보문화진흥원(정보문화산업)의 산업별 특화지원 분야를 제외한 일자리 지원 업무와 기업들의 비R&D 분야 지원 업무는 중소기업일자리경제진흥원으로 집중해 서비스 질을 높이고 통합트롤타워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쪽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테크노파크가 진행해온 소상공인 및 전통시장·상점가 등 디자인개발 지원 사업이나 바이오진흥원의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 녹색에너지연구원의 청년마을로 2023 사업, 정보문화산업진흥원의 기업멘토형 청년창업지원사업 등은 중소기업일자리경제진흥원이 맡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산업 분야는 녹색에너지연구원이 정책 기획 및 공모 사업 분야에 적극 대응하는 방향에서 중점 추진하고 광범위하게 확장되는 에너지 분야의 전남지역 경쟁력 확보를 위해 유관기관과 에너지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 지역 에너지산업 진흥 기능을 강화하게 된다.

환경산업진흥원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운영되는 환경산업 진흥기관인 만큼 기존 환경 산업 진흥을 중심으로 하는 기능 뿐 아니라 기후변화 대응 및 탄소중립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정관 및 기관 명칭을 바꿔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방안도 제시됐다.

기관 간 협력체계가 필요한 분야로는 ▲전남연구원과 전 출연기관 간 정책연구를 위한 협업 ▲전남청소년미래재단과 인재평생교육진흥원 간 청소년 대상 문화교류 활동 ▲경진원과 전남테크노파크의 위기 징후 중소기업 지원 연계방안 등이 꼽혔다.

용역보고서는 기관별 경영 개선을 위한 사안으로 ▲전남개발공사 경영기획실 인력 감축 및 재배치 ▲녹색에너지연구원의 수소에너지실 폐지 ▲환경산업진흥원 감사 전담기구 부재로 인한 부서 신설 ▲전남신용보증재단 6개 지점이 운영중인 4개 사무소의 단계적 축소 ▲전남여성가족재단 교육사업팀 폐지 ▲한국학호남진흥원 수장고 확보 방안 마련 등이 필요하다는 결과도 내놓았다.

전남도 관계자는 “전남도 산하 공공기관에 대한 진단과 심도있는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경영 혁신과 체질 개선을 통해 공공서비스 질 제고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03057400762098004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05일 03:3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