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내년 대중교통 할인제도 도입
모든 시민 생애주기별 차등 지원
‘K-패스’ 연계 ‘광주-패스’ 시행
‘K-패스’ 연계 ‘광주-패스’ 시행
![]() |
광주시가 내년 하반기 새로운 대중교통 할인시스템인 ‘광주-패스’(가칭)를 도입하기로 해 기대를 모으고 있다.
광주시는 14일 “대중교통 활성화와 재정난 등을 고려해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의 ‘K-패스(기존 알뜰교통카드)’를 연계한 대중교통비 절감 정책 ‘광주-패스’(가칭)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동안 어린이·청소년 교통지원을 추진했던 광주시는 유례 없는 역대급 세수 부족 등 재정난을 고려해 어린이 교통지원부터 우선 시행할 계획이었으나, 시의회에서 관련 예산 전액(13억원)이 삭감됨에 따라 K-패스와 접목한 ‘광주-패스’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내년 7월부터 시행 예정인 K-패스는 19세 이상 성인이 전국 어디서나 월 21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1회 차부터 최대 60회까지 일정액을 환급해 주는 제도다.
‘광주-패스’는 K-패스 제도를 기반으로 지원 대상과 환급액을 추가로 확대하는 게 핵심이다. 우선 K-패스 대상이 아닌 어린이와 청소년을 지원 대상에 추가하고, 반값 할인 혜택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또 성인에 포함된 어르신을 분류해 추후 추가 지원하는 등 ‘어린이-청소년-청년-성인-어르신-저소득’ 으로 연결되는 광주만의 전 생애주기 대중교통 지원 정책도 마련한다.
광주시는 K-패스 제도 도입시 현 교통카드 이용요금 기준 월 20~53%의 교통비를 절감하고, 광주-패스 제도까지 더한다면 최대 70% 이상 절감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내년 하반기 도입을 목표로 한 광주시는 국가 중심의 K-패스 시스템 안정화와 시범 운영 결과 등을 확인한 뒤 광주-패스 도입 시기를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시는 특히 정책의 신뢰성과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와 적극 조율하고, 시의회, 시 교육청 등 유관기관·단체와도 지속적으로 소통·협력에 나서기로 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에 어린이부터 대중교통 무임정책을 단계적으로 시행하려 했으나, 시의회의 예산 전액 삭감으로 좌절돼 안타깝다”면서도 “시민의 어려움 등을 감안해 대안으로 국가 대중교통 지원정책인 ‘K-패스’와 연계한 광주-패스를 도입하기로 했으며, 국가 시스템을 접목하는 만큼 기존 계획 대비 예산절감 효과 등 긍정적인 면도 많다”고 강조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광주시는 14일 “대중교통 활성화와 재정난 등을 고려해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의 ‘K-패스(기존 알뜰교통카드)’를 연계한 대중교통비 절감 정책 ‘광주-패스’(가칭)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내년 7월부터 시행 예정인 K-패스는 19세 이상 성인이 전국 어디서나 월 21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1회 차부터 최대 60회까지 일정액을 환급해 주는 제도다.
‘광주-패스’는 K-패스 제도를 기반으로 지원 대상과 환급액을 추가로 확대하는 게 핵심이다. 우선 K-패스 대상이 아닌 어린이와 청소년을 지원 대상에 추가하고, 반값 할인 혜택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또 성인에 포함된 어르신을 분류해 추후 추가 지원하는 등 ‘어린이-청소년-청년-성인-어르신-저소득’ 으로 연결되는 광주만의 전 생애주기 대중교통 지원 정책도 마련한다.
내년 하반기 도입을 목표로 한 광주시는 국가 중심의 K-패스 시스템 안정화와 시범 운영 결과 등을 확인한 뒤 광주-패스 도입 시기를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시는 특히 정책의 신뢰성과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와 적극 조율하고, 시의회, 시 교육청 등 유관기관·단체와도 지속적으로 소통·협력에 나서기로 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에 어린이부터 대중교통 무임정책을 단계적으로 시행하려 했으나, 시의회의 예산 전액 삭감으로 좌절돼 안타깝다”면서도 “시민의 어려움 등을 감안해 대안으로 국가 대중교통 지원정책인 ‘K-패스’와 연계한 광주-패스를 도입하기로 했으며, 국가 시스템을 접목하는 만큼 기존 계획 대비 예산절감 효과 등 긍정적인 면도 많다”고 강조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