뿔제비갈매기, 영광 육산도에 ‘번식 둥지’
전 세계 200마리 안팎…지난 봄 찾아온 7마리 2020년부터 확인
![]() |
전 세계를 통틀어도 200마리도 안 되는 철새 ‘뿔제비갈매기’<사진>가 무인도인 영광군 육산도를 번식터전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화제다.
국립생태원은 “지난 3~6월 영광군 육산도에서 발견된 뿔제비갈매기 7마리는 2020년부터 매년 찾아오는 개체로 확인됐다”고 7일 밝혔다.
중국 동해안에서 번식해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진 뿔제비갈매기는 관련 정보가 거의 없을 정도로 매우 희귀한 새로 꼽힌다.
뿔제비갈매기는 특히 1937년 멸종된 것으로 추정됐다가 63년 만인 2000년 중국 남부 한 섬에서 4쌍이 발견됐으며, 이후 중국이 복원사업을 벌이면서 지난해 가을 중국 칭다오에서 최대 124마리가 확인됐다. 뿔제비갈매기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에 멸종위험 정도가 ‘절멸’(야생 절멸) 직전 단계인 ‘위급’으로 규정돼 있으며, 국내에서는 지난해 1급 멸종위기 야생생물에 지정됐다.
육산도에 찾아오는 뿔제비갈매기를 폐쇄회로(CC)TV와 무인 센서 카메라 등으로 관찰한 결과, 3월 중순에서 하순 사이 국내 번식지에 도래해 4월 말 번식을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을 낳기 전까지는 밤에만 섬에 머무르고 산란 후엔 먹이활동을 할 때 빼고는 섬에 있는 것으로도 확인됐다. 알은 1개만 낳는 것으로 파악됐으며, 국내 산란 시기는 4월 15~19일로 중국에서보다 50일 정도 빨랐다.
어미 새가 알을 품은 뒤 26~28일이 지나면 새끼가 부화했으며, 새끼는 태어난 지 37~43일 만에 어미 새와 함께 비행을 시작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 뿔제비갈매기가 번식지를 떠나는 시점은 7월 중·하순, 한국을 떠나 중국 산둥반도 쪽으로 이동하는 시점은 8월 초로 조사됐으며, 올해 육산도에서는 한 뿔제비갈매기의 ‘비밀스러운 사생활’도 발견됐다.
뿔제비갈매기 암컷 1마리와 수컷 2마리는 2016년부터 육산도에서 번식활동을 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암컷은 2016년부터 6년간 같이 번식 활동을 한 짝이 살아있음에도 올해 다른 수컷과 번식 활동을 한 것으로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갈매기 등 바닷새는 번식에 성공하면 짝은 바꾸지 않는다는 점에서, 매우 희귀한 사례라고 생태원 측은 밝혔다.
육산도에 뿔제비갈매기가 찾아온다는 것이 처음 확인된 것은 2016년으로, 이때부터 한 번이라도 육산도에 도래한 적 있는 뿔제비갈매기는 2020년부터 매년 오는 7마리를 포함해 총 9마리다.
육산도는 영광군 7개 무인도를 묶어 부르는 ‘칠산도’ 가운데 하나로 2016년 뿔제비갈매기 번식지로 확인돼 특정도서로 지정됐으며, 괭이갈매기·노랑부리백로·저어새 등 멸종위기 새의 주요 번식지인 칠산도 전체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돼있다. 육산도는 뿔제비갈매기 번식지 ‘북방한계선’과 같다는 공통점도 있다.
뿔제비갈매기가 멸종위기에 처한 원인으로 인간의 알 채취, 태풍, 큰제비갈매기와 교잡 등이 꼽힌다. 다행히 육산도는 특정도서여서 사람의 출입이 제한되고, 뿔제비갈매기 번식기(4~6월)에 태풍이 영향을 끼치는 일이 드물며 괭이갈매기가 대부분 서식해 ‘유리한 번식지’로 분석되고 있다는 게 국립생태원의 설명이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국립생태원은 “지난 3~6월 영광군 육산도에서 발견된 뿔제비갈매기 7마리는 2020년부터 매년 찾아오는 개체로 확인됐다”고 7일 밝혔다.
중국 동해안에서 번식해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진 뿔제비갈매기는 관련 정보가 거의 없을 정도로 매우 희귀한 새로 꼽힌다.
육산도에 찾아오는 뿔제비갈매기를 폐쇄회로(CC)TV와 무인 센서 카메라 등으로 관찰한 결과, 3월 중순에서 하순 사이 국내 번식지에 도래해 4월 말 번식을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을 낳기 전까지는 밤에만 섬에 머무르고 산란 후엔 먹이활동을 할 때 빼고는 섬에 있는 것으로도 확인됐다. 알은 1개만 낳는 것으로 파악됐으며, 국내 산란 시기는 4월 15~19일로 중국에서보다 50일 정도 빨랐다.
국내 뿔제비갈매기가 번식지를 떠나는 시점은 7월 중·하순, 한국을 떠나 중국 산둥반도 쪽으로 이동하는 시점은 8월 초로 조사됐으며, 올해 육산도에서는 한 뿔제비갈매기의 ‘비밀스러운 사생활’도 발견됐다.
뿔제비갈매기 암컷 1마리와 수컷 2마리는 2016년부터 육산도에서 번식활동을 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암컷은 2016년부터 6년간 같이 번식 활동을 한 짝이 살아있음에도 올해 다른 수컷과 번식 활동을 한 것으로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갈매기 등 바닷새는 번식에 성공하면 짝은 바꾸지 않는다는 점에서, 매우 희귀한 사례라고 생태원 측은 밝혔다.
육산도에 뿔제비갈매기가 찾아온다는 것이 처음 확인된 것은 2016년으로, 이때부터 한 번이라도 육산도에 도래한 적 있는 뿔제비갈매기는 2020년부터 매년 오는 7마리를 포함해 총 9마리다.
육산도는 영광군 7개 무인도를 묶어 부르는 ‘칠산도’ 가운데 하나로 2016년 뿔제비갈매기 번식지로 확인돼 특정도서로 지정됐으며, 괭이갈매기·노랑부리백로·저어새 등 멸종위기 새의 주요 번식지인 칠산도 전체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돼있다. 육산도는 뿔제비갈매기 번식지 ‘북방한계선’과 같다는 공통점도 있다.
뿔제비갈매기가 멸종위기에 처한 원인으로 인간의 알 채취, 태풍, 큰제비갈매기와 교잡 등이 꼽힌다. 다행히 육산도는 특정도서여서 사람의 출입이 제한되고, 뿔제비갈매기 번식기(4~6월)에 태풍이 영향을 끼치는 일이 드물며 괭이갈매기가 대부분 서식해 ‘유리한 번식지’로 분석되고 있다는 게 국립생태원의 설명이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