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 사과 줄까 노란 사과 줄까... ‘장성 사과’ 주세요
장성, 탑푸르트 재배단지 선정
만생종 부사, 시나노골드 재배
단단한 과육, 아삭한 식감 자랑
비타민C 등 풍부 알칼리성 식품
2023년 08월 09일(수) 20:05
전남 최대 사과 주산지 장성은 농촌진흥청 ‘탑푸르트 사과 재배단지’로 선정되며 우수성을 인정받았고, 장성군 농협연합사업단 품질 관리사의 깐깐한 감독 아래 엄격한 선별·상품화 과정을 거쳐 ‘명품 사과’ 위상을 지키고 있다. <장성군 제공>
장성은 전남 최대 사과 생산지이다.

‘명품 사과’를 재배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는 ‘햇볕’이다.

이 때문에 농민들은 사과색이 잘 들도록 열매를 이리저리 돌려주고, 열매에 그늘이 지지 않도록 잎과 가지치기를 한다.

장성은 일교차가 크고 햇볕이 잘 드는 덕분에 과즙이 풍부하고 아삭아삭한 식감이 살아있다.

‘사과의 명품’으로 꼽히는 장성 사과는 저장성이 우수해 오래 두고 먹을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장성을 ‘탑푸르트 사과 재배단지’로 선정하며 우수성을 인정했다.

장성군 농협연합사업단 소속 품질 관리사의 깐깐한 감독 아래 엄격한 선별·상품화 과정을 거쳐 ‘명품 사과’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장성 사과는 수십 년간 축적한 재배기술 덕분에 당도가 수박(11브릭스·Brix)과 샤인머스캣(15브릭스)보다 높은 16~17브릭스에 달한다.

단단한 과육과 특유의 향긋한 내음이 장성 사과가 지닌 매력을 더한다.

사과는 알칼리성 식품으로, 비타민C·칼륨·칼슘 등 영양소가 풍부하다. 섬유질이 많아 소화와 배변 활동을 도와주고, 철분 흡수율을 높이는 효과도 지녔다. 긴장을 풀어주는 진정 작용 덕분에 불면증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고, 빈혈·두통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예로부터 사과를 식초로 만들어 화상과 두드러기 등을 치료하는 데 쓰기도 했다.

장성의 대표 농산물 사과를 재배하는 지역 농가는 279가구에 달한다. 주로 삼서면과 삼계면에 사과 과수원이 많다. 지난해 3757t을 생산했으며, 10a(100㎡)당 생산량은 1.6t으로 조사됐다. 재배 면적은 227㏊로, 축구장(7140㎡) 318개에 달하는 면적에서 사과를 생산하고 있다.

장성 농가가 가장 많이 생산하는 사과 품종은 만생종인 부사(후지)이다.

181가구가 재배하는 부사 면적은 193㏊로, 전체 사과 재배 면적의 85%를 차지한다. 수확 기간은 11월 말께부터 12월 초순까지로, 지난해에는 3337t의 부사 사과가 생산됐다. 서리가 내린 뒤 수확하는 부사는 당도와 강도가 매우 뛰어나다. 오늘날 장성 사과의 명성을 있게 한 품종으로, 전국적으로 고른 소비자층을 확보하고 있다.

장성군은 ‘황금사과’라 불리는 시나노골드 품종도 재배하고 있다.
부사에 이어 ‘황금사과’라 불리는 시나노골드가 7%(16㏊) 비중을 차지하고, 홍로는 5%(11㏊)로 집계됐다. 루비에스와 아리수, 아오리, 썸머킹 등 다른 품종도 지난해 총 7㏊ 면적에서 97t 생산됐다.

장성군은 황금사과 재배에도 열심이다. 노란색을 띤 황금사과의 출하 시기는 9월 말부터 10월 초순으로, 부사보다 한 달 넘게 빠르다.

껍질이 얇고 과육이 단단하며, 단맛과 신맛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것이 특징이다. 오랫동안 저장해두고 먹을 수 있고, 껍질을 깎았을 때 갈색으로 변하는 갈변 현상이 더뎌 소비자로부터 인기를 끌고 있다.

황금사과는 면역력을 높이고 빈혈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장성에서 나는 사과를 일찍 맛보고 싶으면 이달 말부터 수확을 앞둔 홍로 품종을 찾으면 된다. 홍로는 국내 육성 품종으로, 진한 빨간색을 띤다. 단맛이 강하고 신맛이 적어 찾는 이들이 많다.

일본 품종인 아오리(쓰가루)를 대체하기 위한 국산 품종 ‘썸머킹’은 초여름에 나온다.

썸머킹은 농촌진흥청 사과연구소가 2010년 개발한 대표적인 초록 사과이다.

7월 중순 붉은색이 살짝 든 초록색 상태로 맛이 들어 따로 색들임 관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 색들임을 관리할 필요가 없어 노동력이 적게 들고 다른 품종보다 빨리 수확하므로 재배 기간이 짧은 장점이 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장성=김용호 기자 yongho@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691579100756169316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10일 02:3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