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시민단체, 강제동원 피해자 지원 연대 강화
20년간 피해자 도운 일본 시민단체, 광주서 ‘3자 변제안’ 강력 비난
“존엄성 회복 위해 투쟁”…부산 단체는 양금덕 할머니에 ‘평화훈장’
“존엄성 회복 위해 투쟁”…부산 단체는 양금덕 할머니에 ‘평화훈장’
![]() ‘강제징용피해자 양금덕 할머니 부산시민 평화훈장 추진위원회’가 20일 광주시청에서 부산시민 1만497명으로부터 성금을 모아 제작한 순금 훈장과 감사패, 성금 100만원을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이국언(왼쪽) 이사장에게 전달하고 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
정부가 공탁을 통해 일제강제동원 피해자 배상금 문제를 서둘러 해결하려는 가운데 강제동원 피해자를 위한 ‘연대’ 움직임도 거세게 일고 있다.
수 십년간 일제강제동원 문제를 연구해온 일본시민단체 관계자가 광주를 방문해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부산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서명과 모금활동을 통해 제작한 ‘훈장’을 양금덕(93) 할머니에게 전달하기 위해 광주를 찾기도 했다.
지난 20년 간 일제강제동원 피해자를 돕고 있는 일본 시민사회단체 ‘제2차 후지코시 강제연행·강제노동 소송을 지원하는 호쿠리쿠연락회’ 나카가와 미유키(中川美由紀) 사무국장은 20일 오전 광주시 서구 화정동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단체는 1928년 설립돼 산업용 로봇 부품 등을 생산하는 기업인 후지코시가 일제강점기 한국인을 강제동원한 것에 대해 연구해오고 피해자들에 대한 지원을 해왔다.
후지코시는 태평양전쟁 당시 도야마현 공장에서 항공기의 부품과 탄피 등 주로 군수품을 생산했고 이 과정에서 1944년 6월부터 7월까지, 1945년 2월부터 3월까지 전남을 비롯한 11개 시도에서 한국인을 강제동원하는 등 여자 근로정신대를 가장 많이 동원한 기업으로 알려졌다.
나카가와 사무국장은 기자회견에서 전범기업인 후지코시는 한국에서 여자 근로정신대 1089명, 남자 근로정신대 535명을 동원했다고 발표했다.
또 사무국장은 단체가 지원하는 후지코시 강제동원 소송은 총 4건이며, 이중 3건은 대법원에 1건은 광주지법에 계류된 상태라고 밝혔다.
소송을 제기한 원고는 총 29명으로 생존자는 9명뿐이라는 것이 사무국장의 설명이다. 이 중 광주·전남지역에서 동원된 피해자는 총 8명(생존자 5명)에 달했다. 하지만 생존자들은 90대 이상의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이라며 밖으로 나서기 힘든 상황에 처해있다고 밝혔다.
나카가와 사무국장은 한국 정부가 강행하고 있는 ‘제3자 대위변제’ 해법에 대해 “일본과 전범기업에 ‘사죄는 필요 없다’며 책임을 면죄해줬을 뿐만 아니라 ‘제3자 대위변제’ 해법을 통해 돈으로 피해자들의 고통을 해결하려 한다”고 “자국의 피해자를 외면하는 한국 정부에 대한 놀라움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20일 부산의 시민사회단체도 광주를 찾았다.
국민훈장 서훈이 취소된 일제강제동원 피해자 양 할머니를 위해 부산지역 시민단체가 직접 제작한 평화 훈장을 양 할머니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다.
부산지역 7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강제징용피해자 양금덕할머니 부산시민 평화 훈장 추진위원회’(추진위)는 이날 오후 광주시청 시민소통실에서 징용 피해자들을 위한 시민 모금 참여를 호소하는 합동 기자회견을 열었다.
추진위는 국민훈장 서훈이 취소된 강제동원 피해자 양금덕 할머니에게 전달해달라며 순금으로 제작된 평화 훈장, 감사패, 시민모금 성금 100만원 등을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시민모임)에 전달했다.
양 할머니가 직접 참석해 훈장을 받을 예정이었지만, 건강이 좋지 못해 시민모임 측이 대신 받았다. 추진위는 부산시민 1만497명의 서명과 모금운동을 통해 성금을 모으고 훈장을 제작했다.
추진위 관계자는 “정부가 제안하고 있는 변제안과 공탁은 ‘돈을 벌게 해주겠다’, ‘공부시켜 주겠다’는 감언이설로 조선 청년들을 꾀어 침략전쟁 강제노동에 동원했던 일본 제국주의의 행위와 다를바 없다”면서 “오히려 배상금을 국민들이 직접 드리자는 ‘역사정의를 위한 시민모금’운동이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고 말했다.
관계자는 이어 “양금덕 할머니가 국가인권상 수상을 거부당했다는 소식을 접한 부산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뜻을 모아 평화훈장을 드리게 됐다”면서 “양 할머니와 끝까지 함께 하겠다고 다짐한 만큼 부산시민들은 그 약속을 반드시 지킬 것이다”고 밝혔다.
/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
수 십년간 일제강제동원 문제를 연구해온 일본시민단체 관계자가 광주를 방문해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부산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서명과 모금활동을 통해 제작한 ‘훈장’을 양금덕(93) 할머니에게 전달하기 위해 광주를 찾기도 했다.
단체는 1928년 설립돼 산업용 로봇 부품 등을 생산하는 기업인 후지코시가 일제강점기 한국인을 강제동원한 것에 대해 연구해오고 피해자들에 대한 지원을 해왔다.
후지코시는 태평양전쟁 당시 도야마현 공장에서 항공기의 부품과 탄피 등 주로 군수품을 생산했고 이 과정에서 1944년 6월부터 7월까지, 1945년 2월부터 3월까지 전남을 비롯한 11개 시도에서 한국인을 강제동원하는 등 여자 근로정신대를 가장 많이 동원한 기업으로 알려졌다.
또 사무국장은 단체가 지원하는 후지코시 강제동원 소송은 총 4건이며, 이중 3건은 대법원에 1건은 광주지법에 계류된 상태라고 밝혔다.
소송을 제기한 원고는 총 29명으로 생존자는 9명뿐이라는 것이 사무국장의 설명이다. 이 중 광주·전남지역에서 동원된 피해자는 총 8명(생존자 5명)에 달했다. 하지만 생존자들은 90대 이상의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이라며 밖으로 나서기 힘든 상황에 처해있다고 밝혔다.
나카가와 사무국장은 한국 정부가 강행하고 있는 ‘제3자 대위변제’ 해법에 대해 “일본과 전범기업에 ‘사죄는 필요 없다’며 책임을 면죄해줬을 뿐만 아니라 ‘제3자 대위변제’ 해법을 통해 돈으로 피해자들의 고통을 해결하려 한다”고 “자국의 피해자를 외면하는 한국 정부에 대한 놀라움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20일 부산의 시민사회단체도 광주를 찾았다.
국민훈장 서훈이 취소된 일제강제동원 피해자 양 할머니를 위해 부산지역 시민단체가 직접 제작한 평화 훈장을 양 할머니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다.
부산지역 7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강제징용피해자 양금덕할머니 부산시민 평화 훈장 추진위원회’(추진위)는 이날 오후 광주시청 시민소통실에서 징용 피해자들을 위한 시민 모금 참여를 호소하는 합동 기자회견을 열었다.
추진위는 국민훈장 서훈이 취소된 강제동원 피해자 양금덕 할머니에게 전달해달라며 순금으로 제작된 평화 훈장, 감사패, 시민모금 성금 100만원 등을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시민모임)에 전달했다.
양 할머니가 직접 참석해 훈장을 받을 예정이었지만, 건강이 좋지 못해 시민모임 측이 대신 받았다. 추진위는 부산시민 1만497명의 서명과 모금운동을 통해 성금을 모으고 훈장을 제작했다.
추진위 관계자는 “정부가 제안하고 있는 변제안과 공탁은 ‘돈을 벌게 해주겠다’, ‘공부시켜 주겠다’는 감언이설로 조선 청년들을 꾀어 침략전쟁 강제노동에 동원했던 일본 제국주의의 행위와 다를바 없다”면서 “오히려 배상금을 국민들이 직접 드리자는 ‘역사정의를 위한 시민모금’운동이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고 말했다.
관계자는 이어 “양금덕 할머니가 국가인권상 수상을 거부당했다는 소식을 접한 부산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뜻을 모아 평화훈장을 드리게 됐다”면서 “양 할머니와 끝까지 함께 하겠다고 다짐한 만큼 부산시민들은 그 약속을 반드시 지킬 것이다”고 밝혔다.
/장윤영 기자 zzang@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