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전투기 연료 인체 영향 없다”
군공항 이전 반대단체 허위 주장 반박…이전 지역 생산유발 5조
![]() 광주공항 활주로에서 훈련을 위해 이륙하고 있는 공군 제1전투비행단 소속 전투기들. <광주일보 자료사진> |
전남도가 최근 무안지역 군 공항 이전 반대 단체에서 주장하는 전투기 연료의 발암물질 성분에 대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없고, 지역개발 효과가 없다는 것에 대해서도 생산·취업 유발효과가 매우 크다고 반박했다.
1일 전남도에 따르면 최근 전남 서남권 발전을 위해 ‘광주 민간·군 공항 동시 이전’을 선언한 이후 ‘광주 전투비행장 무안 이전을 반대하는 삼향읍 번영회’에서 ‘전투기 연료에 발암물질과 신경독 성분이 들어 있는 거 아시나요?’라는 현수막을 걸어 도민들에게 공포감을 조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공군본부 측에서는 “전투기 항공유(JP-8)는 민항기에서 사용하는 항공유(JA-1)인 등유에 부식 억제제와 방빙제가 첨가제로 추가된다”며 “전투기는 민항기보다 임무 고도가 높고 연료도 완전 연소하기 때문에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고 밝혔다.
특히 전남도가 정유회사에서 발표한 구성성분 자료를 확인한 결과 삼향읍 번영회에서 주장하는 전투기 연료 발암물질 등은 미량 함유돼 인체에 영향이 없으며, 일상생활과 밀접한 자동차에 사용하는 휘발유, 경유에도 포함된 성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전 반대 범군민대책위원회’가 최근 전남사회단체연합회 주최 군 공항 관련 강연 참석자에게 배포한 전단지에 ‘전투비행장은 생산, 소비시설 아니어서 고용효과 및 지역개발 효과가 없다’고 한 주장도 일축했다.
전남도는 지난 2016년 광주시가 국방부에 제출해 승인받은 군공항 이전 건의서를 분석한 결과 한국교통연구원이 ‘광주 군 공항 이전지역에 생산 5조1000억원, 부가가치 1조8000억원, 취업 3만8000명 유발효과가 있다’고 명시했다고 밝혔다.
한편 전남 사회단체연합회는 1일 성명을 내고 “우리는 그동안 반대만 하던 광주군 공항 이전에 대해, 전남도의 미래 100년의 발전을 고민하고 있다”면서 “정부는 무안국제공항을 민간·군 통합공항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
1일 전남도에 따르면 최근 전남 서남권 발전을 위해 ‘광주 민간·군 공항 동시 이전’을 선언한 이후 ‘광주 전투비행장 무안 이전을 반대하는 삼향읍 번영회’에서 ‘전투기 연료에 발암물질과 신경독 성분이 들어 있는 거 아시나요?’라는 현수막을 걸어 도민들에게 공포감을 조장하고 있다.
특히 전남도가 정유회사에서 발표한 구성성분 자료를 확인한 결과 삼향읍 번영회에서 주장하는 전투기 연료 발암물질 등은 미량 함유돼 인체에 영향이 없으며, 일상생활과 밀접한 자동차에 사용하는 휘발유, 경유에도 포함된 성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도는 지난 2016년 광주시가 국방부에 제출해 승인받은 군공항 이전 건의서를 분석한 결과 한국교통연구원이 ‘광주 군 공항 이전지역에 생산 5조1000억원, 부가가치 1조8000억원, 취업 3만8000명 유발효과가 있다’고 명시했다고 밝혔다.
한편 전남 사회단체연합회는 1일 성명을 내고 “우리는 그동안 반대만 하던 광주군 공항 이전에 대해, 전남도의 미래 100년의 발전을 고민하고 있다”면서 “정부는 무안국제공항을 민간·군 통합공항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