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은 문화와 세상을 바꾼다 -고향사랑기부제
사랑 실은 나눔의 물결...고향에 희망을 심어요
연예인·정치인·예술가 기부 행렬
출향 향우인들도 고향사랑 실천
지자체는 다양한 특산물로 화답
소멸 위기의 고향 살리는 ‘마중물’
성공 정착 위해 함께 해법 찾아야
연예인·정치인·예술가 기부 행렬
출향 향우인들도 고향사랑 실천
지자체는 다양한 특산물로 화답
소멸 위기의 고향 살리는 ‘마중물’
성공 정착 위해 함께 해법 찾아야
![]() |
“큰 부자는 자기 동네에 굶는 사람이 있는 것을 부끄럽게 알았습니다. 겨울에 쌀이 떨어진 마을 사람은 눈이 내리면 부잣집 바깥마당을 쓸었습니다. 그러면 부자는 사람을 시켜 누가 마당을 쓸었는지 알아봐서 곡식을 나눠졌다고 합니다. 좋은 곳에 쓴 돈만이 진짜 내 돈이고, 돈을 쓰고 나서 마음이 기쁘면 잘 쓴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풍토가 우리나라에 널리 퍼져야 합니다. ‘고향사랑 기부제’에 많은 사람이 참여해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도민에게 새로운 희망이 되기를 바랍니다.”
충남 서천군 출신인 시인은 나태주(78) 시인은 지난 3월, ‘고향사랑 기부제’ 응원 캠페인에 동참했다. 1971년 등단해 52년 동안 시를 쓰고 있는 시인은 15살 때 공주사범학교(현 공주교대)에 진학하기 위해 고향을 떠나 50년 가깝게 공주시에서 살고 있다. 그동안 ‘김달진문학상’(2020년)과 ‘소월시문학상’(2019년), ‘정지용 문학상’(2014년) 등 많은 문학상을 수상했다.
“한국인들은 귀소(歸巢·둥지로 돌아감)본능이 강합니다. 젊을 때는 성취하기 위해 앞만 보고 가야했지만 나이 들어서 비로소 돌아갈 수 있는 곳이 고향입니다.”
시인은 남다르게 문화나눔과 고향사랑을 실천하고 있다. 시인이 받은 각종 문학상 상금을 비롯해 시집 인세, 강연료 등 사재를 털어 ‘웅진 문학상’과 ‘풀꽃 문학상’, ‘신석초 문학상’, ‘해외풀꽃 시인상’, ‘공주 문학상’, ‘풀꽃 동시상’ 등을 만들어 시상한다. 지역문학 발전과 시인들의 창작의욕 고취에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기 위해서다. 특히 지난 2016년부터 7년째 서천문화원 주최로 시상하는 ‘신석초 문학상’은 동향(同鄕)인 신석초(1909~1975·본명 신응식) 시인의 문학정신을 기리는 전국단위 문학상이다.
◇1월부터 ‘고향사랑 기부제’ 처음으로 시행=‘고향과 국민을 잇습니다.’ 지난 1월 첫 발을 뗀 ‘고향사랑 기부금’ 제도를 홍보하는 행정안전부의 포스터 문구다. 개인이 주소지를 제외한 전국 모든 지방자치단체에 기부하면 지자체는 이를 모아 주민복리 증진 등에 사용하는 제도이다. 일본이 지난 2008년부터 도입한 ‘후루사토 납세(故鄕 納稅)를 벤치마킹했다. 또한 국민공모를 통해 9월 4일을 ‘고향 사랑의 날’로 정했다.
‘고향사랑 기부제’를 도입하게 된 ‘지방 소멸’ 위기는 어느 정도일까? 국책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KIET)은 ‘인구 1000명당 종사자 수’와 ‘1인당 지역내총생산’ 등 6개 경제지표를 반영한 ‘K-지방 소멸지수’를 지난해 8월 산출했다. ‘K-지방 소멸지수’ 산출 결과에 따르면 지방소멸 위험성이 가장 높은 ‘소멸 위험지역’은 전남에서 신안군, 구례군 등 2개 지역이다. 또한 ‘소멸 우려지역’은 완도, 함평, 곡성, 영광, 영암, 보성, 진도, 강진, 해남, 고흥, 장흥군 등 11개 지역이다. 지방소멸 위기지역(소멸 위험+소멸 우려)에 속하는 전국 59개 지역가운데 전남이 13곳(22.0%), 강원도가 10곳(16.9%)을 차지했다.
행정안전부는 시민 공모를 거쳐 통합(원스톱) 정보시스템인 ‘고향사람이(e)음’(https://ilovegohyang.go.kr)을 구축했다. PC나 모바일에서 사이트에 접속에 먼저 회원가입을 한 후 ‘고향사랑 기부하기’에 들어가 기부 지자체를 선택한 후 기부할 지자체와 기부자 주소지, 기부금액, 납부방법 선택, 답례품 선택 등을 차례로 클릭해야 한다. 또한 농협 창구를 직접 방문(근무시간 오전 9~오후 3시 30분)해 대면 접수를 할 수도 있다.‘고향사랑 기부제’ 기부 상한액은 1인당 연간 500만원이다. 기부금액 10만원까지는 전액 세액공제가 되며, 10만 원 이상은 16.5% 혜택을 받는다. 특히 각 지자체는 기부금액의 30% 이내에서 답례품을 제공할 수 있다.
◇전국 140 지자체 평균 5300만원 모금=시행 이후 4개월 동안 얼마나 기부금이 모금됐을까? 국민의힘 이만희 의원(경북 영천·청도)이 전국 228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고향사랑기부제 현황을 조사해보니 지자체간 모금액 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모금액 실적 공개를 거부한 지자체 88곳을 제외한 나머지 140곳 데이터를 취합했다.) 올해 1분기 모금액 상위 30위 지자체의 평균 모금액은 1억4100만원, 평균 기부건수는 296.3건, 1인당 평균 기부금액은 19.6만원으로 나타났다.(전국 228개 지자체 가운데 자료를 공개한 140곳의 1분기 평균 모금액은 5300만원이었다. 일부 지자체는 불과 200만원을 모금할 정도로 편차가 심했다.) 모금액 실적을 공개한 지자체 가운데 임실군이 3억1500만원(기부건수 941건)을 모금해 전국 1위를 기록해 눈길을 끌었다. 2위는 제주시(3억1400만원), 3위는 전북 순창군(2억7400만원)이 차지했다. 모금액 상위 30위 지자체 가운데 경북권 12곳, 경남권 5곳, 전북권 5곳, 충남권 4곳이 포함됐다. 전남권에서는 해남군(모금금액 1억5400만원, 1인당 평균 기부금액 28만원)만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모금액과 답례품 간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답례품 운용 상위 30위 지자체 가운데 11곳이 모금액 상위 30위 지자체 순위에도 포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답례품 제공 기준 상위 30위 지자체는 평균 45.5개의 답례품을 제공하고 있다. 답례품은 크게 ▲특산물 ▲지역사랑 상품권 ▲체험형 답례품으로 구분된다.
◇‘고향사랑 기부제’ 성공적으로 뿌리내리려면=과열을 우려했던 제도 시행 초기와 달리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저조한 기부금 실적을 거둔 까닭으로 ‘홍보 부족’을 꼽는다. 개별전화나 전자 전송매체를 이용한 홍보, 호별 방문, 향우회·동창회 등 사적모임에서 적극적으로 기부를 권유·독려할 수 없도록 제한을 두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실적을 올리기 위해 공무원들에게 모금을 강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자체는 기금 모금과 답례품 제공에 멈춰서는 안 된다. ‘고향세’를 보육과 교육 등에 집중 투자해 인구를 늘린 일본 홋카이도 가미시호로(上士愰) 마을과 같이 지역 특성에 맞는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도전이 필요해 보인다. 자신이 낸 기부금이 어떤 사업에 의미 있게 집행되는지 투명하게 공개돼야 한다.
‘고향사랑 기부금’ 제도가 안착하기 위해서는 4개월 동안 파악한 미비점을 장기적으로 보완해야 할 것이다. 남원시의회는 지난 4월 중순 제258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를 열고 “기부자·기부대상·홍보방식 등에 엄격히 제한을 둔 현행 제도로는 기부금을 모으는데 상당한 제약이 뒤따른다”면서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촉구 건의안’을 채택했다. 행정안전부와 시·도지사협의회, 시장·군수·구청장 협의회 주관으로 지난달 13일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고향사랑기부제 시행 100일 긴급진단 토론회’에서도 제도 개선 필요성이 제기됐다.
‘고향사랑 기부제’가 지역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만능 ‘도깨비 방망이’는 될 수 없다. 그렇지만 ‘고향사랑 기부제’가 소멸위기에 처한 고향을 살리기 위한 ‘마중물’ 역할을 톡톡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기부제의 안착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 민간이 머리를 맞대고 해결책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타인능해(他人能解)의 철학, 기부문화가 고향을 살리고 새로운 미래를 연다.
/송기동 기자 song@kwangju.co.kr
시인은 남다르게 문화나눔과 고향사랑을 실천하고 있다. 시인이 받은 각종 문학상 상금을 비롯해 시집 인세, 강연료 등 사재를 털어 ‘웅진 문학상’과 ‘풀꽃 문학상’, ‘신석초 문학상’, ‘해외풀꽃 시인상’, ‘공주 문학상’, ‘풀꽃 동시상’ 등을 만들어 시상한다. 지역문학 발전과 시인들의 창작의욕 고취에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기 위해서다. 특히 지난 2016년부터 7년째 서천문화원 주최로 시상하는 ‘신석초 문학상’은 동향(同鄕)인 신석초(1909~1975·본명 신응식) 시인의 문학정신을 기리는 전국단위 문학상이다.
◇1월부터 ‘고향사랑 기부제’ 처음으로 시행=‘고향과 국민을 잇습니다.’ 지난 1월 첫 발을 뗀 ‘고향사랑 기부금’ 제도를 홍보하는 행정안전부의 포스터 문구다. 개인이 주소지를 제외한 전국 모든 지방자치단체에 기부하면 지자체는 이를 모아 주민복리 증진 등에 사용하는 제도이다. 일본이 지난 2008년부터 도입한 ‘후루사토 납세(故鄕 納稅)를 벤치마킹했다. 또한 국민공모를 통해 9월 4일을 ‘고향 사랑의 날’로 정했다.
‘고향사랑 기부제’를 도입하게 된 ‘지방 소멸’ 위기는 어느 정도일까? 국책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KIET)은 ‘인구 1000명당 종사자 수’와 ‘1인당 지역내총생산’ 등 6개 경제지표를 반영한 ‘K-지방 소멸지수’를 지난해 8월 산출했다. ‘K-지방 소멸지수’ 산출 결과에 따르면 지방소멸 위험성이 가장 높은 ‘소멸 위험지역’은 전남에서 신안군, 구례군 등 2개 지역이다. 또한 ‘소멸 우려지역’은 완도, 함평, 곡성, 영광, 영암, 보성, 진도, 강진, 해남, 고흥, 장흥군 등 11개 지역이다. 지방소멸 위기지역(소멸 위험+소멸 우려)에 속하는 전국 59개 지역가운데 전남이 13곳(22.0%), 강원도가 10곳(16.9%)을 차지했다.
![]() 송가인 |
◇전국 140 지자체 평균 5300만원 모금=시행 이후 4개월 동안 얼마나 기부금이 모금됐을까? 국민의힘 이만희 의원(경북 영천·청도)이 전국 228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고향사랑기부제 현황을 조사해보니 지자체간 모금액 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모금액 실적 공개를 거부한 지자체 88곳을 제외한 나머지 140곳 데이터를 취합했다.) 올해 1분기 모금액 상위 30위 지자체의 평균 모금액은 1억4100만원, 평균 기부건수는 296.3건, 1인당 평균 기부금액은 19.6만원으로 나타났다.(전국 228개 지자체 가운데 자료를 공개한 140곳의 1분기 평균 모금액은 5300만원이었다. 일부 지자체는 불과 200만원을 모금할 정도로 편차가 심했다.) 모금액 실적을 공개한 지자체 가운데 임실군이 3억1500만원(기부건수 941건)을 모금해 전국 1위를 기록해 눈길을 끌었다. 2위는 제주시(3억1400만원), 3위는 전북 순창군(2억7400만원)이 차지했다. 모금액 상위 30위 지자체 가운데 경북권 12곳, 경남권 5곳, 전북권 5곳, 충남권 4곳이 포함됐다. 전남권에서는 해남군(모금금액 1억5400만원, 1인당 평균 기부금액 28만원)만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모금액과 답례품 간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답례품 운용 상위 30위 지자체 가운데 11곳이 모금액 상위 30위 지자체 순위에도 포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답례품 제공 기준 상위 30위 지자체는 평균 45.5개의 답례품을 제공하고 있다. 답례품은 크게 ▲특산물 ▲지역사랑 상품권 ▲체험형 답례품으로 구분된다.
◇‘고향사랑 기부제’ 성공적으로 뿌리내리려면=과열을 우려했던 제도 시행 초기와 달리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저조한 기부금 실적을 거둔 까닭으로 ‘홍보 부족’을 꼽는다. 개별전화나 전자 전송매체를 이용한 홍보, 호별 방문, 향우회·동창회 등 사적모임에서 적극적으로 기부를 권유·독려할 수 없도록 제한을 두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실적을 올리기 위해 공무원들에게 모금을 강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자체는 기금 모금과 답례품 제공에 멈춰서는 안 된다. ‘고향세’를 보육과 교육 등에 집중 투자해 인구를 늘린 일본 홋카이도 가미시호로(上士愰) 마을과 같이 지역 특성에 맞는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도전이 필요해 보인다. 자신이 낸 기부금이 어떤 사업에 의미 있게 집행되는지 투명하게 공개돼야 한다.
‘고향사랑 기부금’ 제도가 안착하기 위해서는 4개월 동안 파악한 미비점을 장기적으로 보완해야 할 것이다. 남원시의회는 지난 4월 중순 제258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를 열고 “기부자·기부대상·홍보방식 등에 엄격히 제한을 둔 현행 제도로는 기부금을 모으는데 상당한 제약이 뒤따른다”면서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촉구 건의안’을 채택했다. 행정안전부와 시·도지사협의회, 시장·군수·구청장 협의회 주관으로 지난달 13일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고향사랑기부제 시행 100일 긴급진단 토론회’에서도 제도 개선 필요성이 제기됐다.
‘고향사랑 기부제’가 지역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만능 ‘도깨비 방망이’는 될 수 없다. 그렇지만 ‘고향사랑 기부제’가 소멸위기에 처한 고향을 살리기 위한 ‘마중물’ 역할을 톡톡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기부제의 안착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 민간이 머리를 맞대고 해결책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타인능해(他人能解)의 철학, 기부문화가 고향을 살리고 새로운 미래를 연다.
/송기동 기자 song@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