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자금줄’ 중기공제기금 늘려야
광주·전남 지난해 기금 대출액 440억…전년비 29% 늘어
지자체 예산 소진에 신규 대출 안돼…중기 대책 마련 요구
지자체 예산 소진에 신규 대출 안돼…중기 대책 마련 요구
![]() |
고금리와 경기불황으로 자금난에 처한 광주·전남지역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이 ‘중소기업 공제기금’ 대출에 몰리고 있다.
하지만 지자체의 이차보전 지원 예상이 소진되면서 더 이상 기금 대출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이들의 자금난을 돕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3일 중소기업중앙회 광주전남지역본부 등에 따르면 광주·전남지역 중소기업공제기금 대출액은 2020년 277억원에서 2021년 341억원으로 23.1%(64억원) 증가했다. 이어 지난해 440억원으로 전년 대비 29.0% 늘어나는 등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공제기금은 가입자가 매월 일정금액의 부금을 납입하고 부금잔액의 일정 배수까지 대출이 가능한 제도다. 중소기업의 도산방지와 경영안정을 목적으로 중소기업 협동조합법에 의거 1984년 도입돼 중기중앙회가 운영 중이다. 광주·전남에서는 1500여개(광주 900개·전남 600개) 업체가 이용하고 있다.
공제기금 대출이 증가한 것은 금융권의 대출 문턱이 높아지고 금리가 급등한 것이 주요 원인이다.
현재 공제기금은 무보증 신용대출 가입자의 경우 단기운영자금(신용·담보) 대출, 어음이나 수표의 현금화가 힘든 경우 어음수표 대출, 상업어음이 부도 처리된 경우 부도어음 대출을 이용할 수 있다.
또 광주시와 전남도에서 대출이자의 일부(2%포인트)를 지원해주고, 중도상환 수수료도 없어 지역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들의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이처럼 시중은행의 금리 상승으로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으나, 대출 증가에 따른 광주시, 전남도의 이차보전 지원 예산은 모두 소진돼 신규 대출은 이뤄지지 못해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상공인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실제 이차보전은 대출업체에 1년간 매월 대출이자 2%포인트를 차감해주는 방식으로 지원되는데, 올 예산(광주 2억5000만원·전남 1억원)은 지난해 대출업체의 잔여기간과 올해 신규업체 대출 지원으로 지난 2월 이미 조기 소진된 상태다. 예산이 모두 소진되면서 기업들의 신규 대출 지원도 중단된 것으로 파악됐다.
순천의 한 중소기업은 “자금 상황이 좋지 않던 중 지인 소개로 중소기업 공제기금 대출을 받으려 했으나 예산이 소진됐다는 소식을 들었다”며 “‘3고’(高)로 자금난을 호소하는 중소기업이 많다는 점에서 공제기금을 활용할 수 있게 관련 예산이 대폭 확대됐으면 한다”고 토로했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
하지만 지자체의 이차보전 지원 예상이 소진되면서 더 이상 기금 대출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이들의 자금난을 돕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3일 중소기업중앙회 광주전남지역본부 등에 따르면 광주·전남지역 중소기업공제기금 대출액은 2020년 277억원에서 2021년 341억원으로 23.1%(64억원) 증가했다. 이어 지난해 440억원으로 전년 대비 29.0% 늘어나는 등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공제기금 대출이 증가한 것은 금융권의 대출 문턱이 높아지고 금리가 급등한 것이 주요 원인이다.
또 광주시와 전남도에서 대출이자의 일부(2%포인트)를 지원해주고, 중도상환 수수료도 없어 지역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들의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이처럼 시중은행의 금리 상승으로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으나, 대출 증가에 따른 광주시, 전남도의 이차보전 지원 예산은 모두 소진돼 신규 대출은 이뤄지지 못해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상공인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실제 이차보전은 대출업체에 1년간 매월 대출이자 2%포인트를 차감해주는 방식으로 지원되는데, 올 예산(광주 2억5000만원·전남 1억원)은 지난해 대출업체의 잔여기간과 올해 신규업체 대출 지원으로 지난 2월 이미 조기 소진된 상태다. 예산이 모두 소진되면서 기업들의 신규 대출 지원도 중단된 것으로 파악됐다.
순천의 한 중소기업은 “자금 상황이 좋지 않던 중 지인 소개로 중소기업 공제기금 대출을 받으려 했으나 예산이 소진됐다는 소식을 들었다”며 “‘3고’(高)로 자금난을 호소하는 중소기업이 많다는 점에서 공제기금을 활용할 수 있게 관련 예산이 대폭 확대됐으면 한다”고 토로했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