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값 인상분 미반영…레미콘 업계 “납품할 수록 손해”
광주·전남 업계 “이달부터 m3 당 6000원 인상키로 합의”
단가 인상 안되면 영세업체 줄도산…납품 차질 등 혼란
단가 인상 안되면 영세업체 줄도산…납품 차질 등 혼란
![]() /클립아트코리아 |
봄철 건설 성수기를 맞았지만 일부 건설사들이 약속한 레미콘 가격 인상분을 반영해주지 않아 지역 레미콘업계의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다.
23일 광주와 나주, 장성, 담양, 화순 등 광주·전남지역 레미콘업계에 따르면 레미콘업계는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와 올해 1월 납품분부터 시멘트 인상분을 우선 반영해 ㎥당 5000원을 인상, 이달부터는 기타 원가 인상분을 반영해 ㎥당 6000원을 인상키로 합의했다.
당시 치솟는 원자재 가격에 20% 인상이 필요했으나, 지역 레미콘업계는 건설업계와 고통을 분담하고 상생하는 차원에서 13% 수준인 ㎥ 당 1만1000원만 인상했다.
하지만 지역 내 일부 건설사들은 원자재 가격이 계속해 오르고 있음에도 이달부터 올려주기로 한 레미콘 납품대금 인상분을 반영해주지 않으면서 레미콘업계가 경영위기에 처하는 등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실제 광주권레미콘사장단협의회는 최근 2회에 걸쳐 해당 건설사 레미콘 구매 담당자들에게 이달 납품분부터 단가 변경을 적용해달라는 내용의 업무협조 문서를 발송했으나, 아직까지 반영되지 않으면서 “팔면 팔수록 적자 폭이 눈덩이처럼 불어나 최악의 경영난을 겪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업계에 확산하고 있다.
특히 올해 시멘트 수급이 불안하다는 점에서 업계의 불안감은 더 크다. 화물연대 파업과 따뜻한 날씨로 겨울철 돌관공사가 증가한 데다, 지난해 말 강화된 품질관리로 콘크리트 제조에 들어가는 시멘트 단위 수요량이 12% 늘었다. 일부 건설사들도 레미콘업체에 ‘시멘트를 시방서보다 5% 더 넣으라’는 주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시멘트 수급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납품단가 인상분을 반영해주지 않는 ‘저단가 건설현장’의 경우 불가피하게 납품중단까지 검토할 수밖에 없다는 게 레미콘업계의 분위기다.
또 광주·전남의 레미콘업체는 5개의 중견업체를 빼놓고 모두 소규모로, 지역 업체의 영업이익 또한 매출 대비 3% 수준을 밑돌고 있어 원자재 가격 상승분이 납품단가에 반영되지 않으면 심각한 경영위기에 처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의 한 레미콘업체 측은 “적자를 보고 경영난에 몰리면서까지 건설사에 레미콘을 납품할 수는 없지 않느냐”며 “단가가 인상되지 않으면 영세한 지역 업체들의 줄도산으로 이어질 수 있고, 결국 지역 관급공사와 산업건설 현장의 납품 차질 등 혼란이 따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
23일 광주와 나주, 장성, 담양, 화순 등 광주·전남지역 레미콘업계에 따르면 레미콘업계는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와 올해 1월 납품분부터 시멘트 인상분을 우선 반영해 ㎥당 5000원을 인상, 이달부터는 기타 원가 인상분을 반영해 ㎥당 6000원을 인상키로 합의했다.
하지만 지역 내 일부 건설사들은 원자재 가격이 계속해 오르고 있음에도 이달부터 올려주기로 한 레미콘 납품대금 인상분을 반영해주지 않으면서 레미콘업계가 경영위기에 처하는 등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실제 광주권레미콘사장단협의회는 최근 2회에 걸쳐 해당 건설사 레미콘 구매 담당자들에게 이달 납품분부터 단가 변경을 적용해달라는 내용의 업무협조 문서를 발송했으나, 아직까지 반영되지 않으면서 “팔면 팔수록 적자 폭이 눈덩이처럼 불어나 최악의 경영난을 겪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업계에 확산하고 있다.
이처럼 시멘트 수급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납품단가 인상분을 반영해주지 않는 ‘저단가 건설현장’의 경우 불가피하게 납품중단까지 검토할 수밖에 없다는 게 레미콘업계의 분위기다.
또 광주·전남의 레미콘업체는 5개의 중견업체를 빼놓고 모두 소규모로, 지역 업체의 영업이익 또한 매출 대비 3% 수준을 밑돌고 있어 원자재 가격 상승분이 납품단가에 반영되지 않으면 심각한 경영위기에 처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의 한 레미콘업체 측은 “적자를 보고 경영난에 몰리면서까지 건설사에 레미콘을 납품할 수는 없지 않느냐”며 “단가가 인상되지 않으면 영세한 지역 업체들의 줄도산으로 이어질 수 있고, 결국 지역 관급공사와 산업건설 현장의 납품 차질 등 혼란이 따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