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격수·영원한 리베로·그라운드의 여우·라이언킹…‘K리그 명예의 전당’ 초대 헌액자 선정
최순호·홍명보·신태용·이동국 세대별 ‘역대 최고의 선수’등극
김정남·故 박태준 포스코 명예 회장, 지도자·공헌자 부문 선정
김정남·故 박태준 포스코 명예 회장, 지도자·공헌자 부문 선정
![]() |
‘저격수’ 최순호, ‘영원한 리베로’ 홍명보, ‘그라운드의 여우’ 신태용, ‘라이언킹’ 이동국이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렸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이 16일 프로축구 출범 40주년을 기념해 올해 신설한 ‘K리그 명예의 전당’ 초대 헌액자 6명의 명단을 발표했다.
전당은 ▲선수 ▲지도자 ▲공헌자(HONORS) 3개 부문으로 구성되며, 2023년을 시작으로 2년마다 헌액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전당이 신설된 올해 선수 부문 헌액자는 프로축구 출범 40주년을 맞아 10년의 세대별로 역대 최고의 선수 1명씩 총 4명이 선정됐다. 지도자와 공헌자는 각 1명씩 포함됐다.
선수 부문은 선정위원회가 추천한 세대별 15인씩 후보를 대상으로 자체 투표(25%), 구단 대표 및 감독 투표(25%), 미디어 투표(25%), 온라인 팬 투표(25%)를 거쳐 최종 4인이 선정됐다. 지도자·공헌자 부문은 선정위원회 내부 합의로 헌액자가 선정됐다.
1세대 헌액자는 최순호 수원FC 단장이 됐다.
1980년 실업팀 포항제철축구단에 입단한 그는 프로축구가 출범한 1983년부터 1991년까지 포항제철과 럭키금성에서 활약하며 K리그의 역사를 열었다. 최순호는 K리그 통산 100경기 23골 19도움을 기록했으며, 1986년 팀의 리그 우승을 이끌었고 1984년에는 K리그 베스트일레븐에 올랐다.
최순호는 합산 득표점수 30.472점을 받아 선정위, 구단, 미디어, 팬 투표 모두에서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다. 2위는 15.165점의 최강희였다.
2세대에서는 ‘영원한 리베로’ 홍명보 울산현대 감독이 선정됐다.
그는 1992년 포항에서 데뷔해 첫 시즌부터 리그 우승, 베스트일레븐, MVP를 경험했다. K리그 통산 156경기에 나와 14골 8도움을 기록했고, 리그 우승 1회(1992), 리그컵 우승 1회(1993)을 경험했다. 또 베스트일레븐에 5차례(1992·1994·1995·1996·2002) 이름을 올렸고, 리그 MVP도 수상했다. 합산 투표점수는 31.091점, 2위는 23.339점을 받은 김주성이었다.
3세대 헌액자의 영예는 ‘그라운드의 여우’ 신태용 인도네시아 대표팀 감독에게 돌아갔다.
1992년 일화천마에서 K리그에 데뷔한 그는 신인상을 수상하며 화려하게 등장했다. 1993년부터 1995년까지 리그 3연속 우승을 차지한 일화에서 핵심 미드필더로 활약했고, 1995년에는 리그 MVP에도 등극했다. 2001~2003년 또 한 번의 팀의 리그 3연패를 경험한 신태용은 2004년을 끝으로 K리그 무대를 떠날 때까지 401경기 99골 68도움을 기록했다.
K리그 베스트일레븐 최다 수상(9회) 대기록을 보유한 신태용의 합산 투표점수는 21.881점. 유상철(16.404점)이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했다.
4세대 주인공은 ‘라이언킹’ 이동국 대한축구협회 부회장이다.
1998년 포항에서 데뷔한 이동국은 안정환, 고종수와 함께 트로이카를 이루며 K리그의 르네상스를 이끌었다.
유럽 무대 도전 후 K리그에 복귀한 이동국은 2008년 일화를 거쳐 2009년 전북현대에 입단, 2020시즌을 마지막으로 은퇴할 때까지 8개의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또 통산 548경기 228골 77도움을 장식해 K리그 역대 최다 득점과 최다 공격포인트, 필드플레이어 중 최다 출장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이동국은 합산 투표점수 40.957점을 받아 2위 이천수(11.414점)를 크게 앞섰다.
지도자 부문의 초대 헌액자로는 K리그 통산 210승 168무 159패를 기록한 ‘그라운드 신사’ 김정남 감독이 선정됐다. 공헌자 부문에는 한국 축구의 선각자 역할을 했던 故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이 이름을 올렸다.
연맹은 5월 중 헌액식을 열고 헌액자들에게 트로피와 헌액증서를 수여할 예정이다.
/김여울 기자 wool@kwangju.co.kr
한국프로축구연맹이 16일 프로축구 출범 40주년을 기념해 올해 신설한 ‘K리그 명예의 전당’ 초대 헌액자 6명의 명단을 발표했다.
전당은 ▲선수 ▲지도자 ▲공헌자(HONORS) 3개 부문으로 구성되며, 2023년을 시작으로 2년마다 헌액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선수 부문은 선정위원회가 추천한 세대별 15인씩 후보를 대상으로 자체 투표(25%), 구단 대표 및 감독 투표(25%), 미디어 투표(25%), 온라인 팬 투표(25%)를 거쳐 최종 4인이 선정됐다. 지도자·공헌자 부문은 선정위원회 내부 합의로 헌액자가 선정됐다.
1세대 헌액자는 최순호 수원FC 단장이 됐다.
최순호는 합산 득표점수 30.472점을 받아 선정위, 구단, 미디어, 팬 투표 모두에서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다. 2위는 15.165점의 최강희였다.
2세대에서는 ‘영원한 리베로’ 홍명보 울산현대 감독이 선정됐다.
그는 1992년 포항에서 데뷔해 첫 시즌부터 리그 우승, 베스트일레븐, MVP를 경험했다. K리그 통산 156경기에 나와 14골 8도움을 기록했고, 리그 우승 1회(1992), 리그컵 우승 1회(1993)을 경험했다. 또 베스트일레븐에 5차례(1992·1994·1995·1996·2002) 이름을 올렸고, 리그 MVP도 수상했다. 합산 투표점수는 31.091점, 2위는 23.339점을 받은 김주성이었다.
3세대 헌액자의 영예는 ‘그라운드의 여우’ 신태용 인도네시아 대표팀 감독에게 돌아갔다.
1992년 일화천마에서 K리그에 데뷔한 그는 신인상을 수상하며 화려하게 등장했다. 1993년부터 1995년까지 리그 3연속 우승을 차지한 일화에서 핵심 미드필더로 활약했고, 1995년에는 리그 MVP에도 등극했다. 2001~2003년 또 한 번의 팀의 리그 3연패를 경험한 신태용은 2004년을 끝으로 K리그 무대를 떠날 때까지 401경기 99골 68도움을 기록했다.
K리그 베스트일레븐 최다 수상(9회) 대기록을 보유한 신태용의 합산 투표점수는 21.881점. 유상철(16.404점)이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했다.
4세대 주인공은 ‘라이언킹’ 이동국 대한축구협회 부회장이다.
1998년 포항에서 데뷔한 이동국은 안정환, 고종수와 함께 트로이카를 이루며 K리그의 르네상스를 이끌었다.
유럽 무대 도전 후 K리그에 복귀한 이동국은 2008년 일화를 거쳐 2009년 전북현대에 입단, 2020시즌을 마지막으로 은퇴할 때까지 8개의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또 통산 548경기 228골 77도움을 장식해 K리그 역대 최다 득점과 최다 공격포인트, 필드플레이어 중 최다 출장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이동국은 합산 투표점수 40.957점을 받아 2위 이천수(11.414점)를 크게 앞섰다.
지도자 부문의 초대 헌액자로는 K리그 통산 210승 168무 159패를 기록한 ‘그라운드 신사’ 김정남 감독이 선정됐다. 공헌자 부문에는 한국 축구의 선각자 역할을 했던 故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이 이름을 올렸다.
연맹은 5월 중 헌액식을 열고 헌액자들에게 트로피와 헌액증서를 수여할 예정이다.
/김여울 기자 wool@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