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항 겪는 해상풍력발전, 특별법으로 돌파구를
2023년 02월 17일(금) 00:20
전남의 핵심 현안인 8.2GW의 신안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자연자원 훼손 등을 이유로 지역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는 데다 지자체와 정부 부처마저 엇박자를 내고 있는 탓이다.

영광군은 최근 전남도에 ‘해상풍력 공동 접속설비 건설사업’ 관련 공문을 보내 건설 예정지 변경을 요구했다. 해상풍력 발전단지가 신안 자은·임자도 일대에 들어서면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외부로 송전하기 위해 구축할 고압(345㎸) 송전선과 철탑 66개가 영광군내 염산·군남·불갑·묘량·대마 등 다섯 개 면을 통과한다는 게 그 이유다. 이들 지역에는 태청산과 불갑저수지 등 영광의 핵심 관광사업 대상지들이 자리하고 있는 만큼 건설 예정지를 무안~함평 방향으로 변경해야 한다는 것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국방부도 군사 작전에 장애가 된다며 풍력 발전기 높이를 전남도 요구의 절반 수준인 500피트(152m) 이내로 조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사업 착공 시기가 예정보다 1년 이상 지연되는가 하면 올 상반기 착공 예정이었던 99㎿ 규모의 발전 사업 두 건도 내년 하반기로 늦춰졌다.

신안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은 전남의 풍부한 해상풍력 자원과 조선 및 발전 기술 등을 바탕으로 세계 최대 수준의 신재생 에너지 단지를 조성하는 프로젝트다. 10년간 사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400개 이상 관련 기업 유치와 12만 명의 고용 효과가 예상되는 한국판 그린 뉴딜 사업이다.

하지만 해상풍력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선 정부와 정치권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정치권은 이익 공유 등을 통한 주민 수용성 확보와 인허가 간소화 등을 골자로 한 ‘풍력 발전 보급 촉진 특별법’이 조속히 국회에서 통과되도록 힘을 모아야 한다. 전남도 역시 지역민들을 대상으로 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노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676560800748776074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09일 22:2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