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취약계층 겨울나기 지원 더욱 촘촘히
2023년 01월 31일(화) 00:05
기록적인 한파와 영하권 추위가 이어지는 가운데 가스·전기 요금 인상으로 취약계층 서민들이 힘겨운 겨울나기를 하고 있다.

광주일보 취재팀은 지난 주말 광주 지역 독거노인·기초생활수급자 등 에너지 취약계층을 찾아 난방비 폭등 이후 생활상을 살펴보았다. 남구의 기초생활수급자인 고 모(83) 씨는 다섯 평 남짓한 단칸방에서 내복에 패딩 점퍼는 물론 목도리와 털모자로 중무장한 채 온몸을 이불로 둘러싸고 하루하루 버티고 있었다. 영하의 날씨에도 치솟은 난방비 때문에 보일러를 맘 놓고 틀 수 없는 처지이기 때문이다.

서구에서 10년 이상 셋방살이를 하고 있는 박 모(72) 씨는 도시 가스비를 감당하지 못해 난방을 아예 꺼 놓고 살고 있다. 대신 전기장판과 히터를 켜고 이불을 뒤집어 쓴 채 추위를 견디고 있다. 보일러를 틀지 않은 탓에 집안의 모든 배관이 얼어 세탁기조차 돌릴 수 없는 상황이다.

다른 취약계층의 겨울나기도 이들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지난해 말 기준 광주 지역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는 6만 3392명, 차상위 계층은 3만 7684명에 이른다. 에너지 취약계층이 10만 명을 넘는 셈이다. 한데 광주의 도시가스 요금이 지난해에 비해 35.8%, 전기요금은 18.4%나 올랐으니 이들의 비명 소리가 커지는 건 당연하다. 연간 10여만 원 수준인 에너지 바우처로는 폭등한 난방비를 대기에 턱없이 부족하다.

이런 상황에서 취약계층에겐 혹독한 추위가 어서 빨리 풀리기를 기다리는 수밖에 별다른 도리가 없다. ‘난방비 대란’에 정부는 올겨울 한시적으로 에너지바우처 지급액과 사회적 배려 대상자에 대한 가스비 할인 폭을 두 배 늘리기로 했다. 광주시와 전남도도 정부의 지원이 닿지 않는 기초생활 수급자와 차상위 가구에 대해 난방비를 긴급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와 지자체는 추위에 고통받는 취약계층이 없도록 대상을 확대해 보다 촘촘한 지원에 나서야 할 것이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675091100748158074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01일 23:0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