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회 ‘광주·대구 아시안 게임 공동 유치’ 제동
본회의 상정 보류…정무창 의장 “충분한 공론화 거쳐달라”
국제행사 개최 계획서 제출시한 이달말…무산 가능성 높아
국제행사 개최 계획서 제출시한 이달말…무산 가능성 높아
![]() |
‘달빛동맹’ 광주시와 대구시가 추진중인 ‘2038 하계 아시안 게임’ 공동 유치가 무산 위기에 놓였다. <광주일보 10월18일자 1면>
공동 유치 동의안이 양 시의회에서 통과되어야만 후속 절차 추진이 가능한 상황에서 대구시의회에 이어, 광주시의회에서도 문턱을 넘지 못하면서 사업 추진에 ‘적신호’가 켜진 것이다.
광주시의회는 18일 제311회 임시회 6차 본회의를 열고, ‘2038 하계아시안게임 광주·대구 공동유치 동의안’을 상정 보류했다.
시의회는 이날 본회의에 앞서 전체의원 비공개 간담회를 열고 동의안 처리방식을 놓고 찬반 격론을 벌였다.
간담회에서는 미흡한 공론화 절차와 수천억 원대 지방 재정 부담 등을 우려한 신중론과 반대론이 일면서 최종적으로 보류 결정을 내렸다. 지난 7일 소관 상임위인 교육문화위원회를 통과한 지 꼬박 11일 만이다.
이날 결정은 시민단체 반발과 의회내부 신중론에다 전날 공동유치 파트너인 대구시의회가 상임위 단계에서 공론화 부족 등을 이유로 심의 유보(보류) 결정을 내린 점 등이 두루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앞서 대구시의회는 17일 열린 문화복지위원회에서 2038 하계아시안게임 광주·대구 공동유치 동의안을 논의했으나 토론 끝에 결국 유보 처리했다.
대구시의회 논의 과정에서도 막대한 예산 부담과 공론화 부족 등을 이유로 반대의견이 우세했다.
정무창 광주시의회 의장은 폐회사에서 “광주·대구 공동유치 동의안의 상정을 보류했다”며 “대한체육회와 문체부, 기재부 심의를 이유로 동의안 처리를 요구하는 것은 의회를 거수기로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번 동의안 역시 소통 부족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며 “공동 유치위원회를 재구성하고 대시민 여론조사와 합동 공청회를 열어 충분한 공론화 과정을 거쳐달라”고 당부했다.
이처럼 광주와 대구시의회에서 공동유치 동의안 처리가 무산되면서 ‘2038 하계 아시안게임’ 공동유치가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아시안게임을 공동으로 유치하려면 시의회의 동의를 반드시 받아야 하는데, 두 도시의 의회 모두 공동 유치에 부정적이기 때문이다.
광주시와 대구시는 국제경기대회 지원법에 따라 이달 말까지 시의회의 동의를 받아 국제행사 개최 계획서를 대한체육회에 제출해야 한다.
광주시의회와 대구시의회가 동의하지 않으면서 신청서 제출시한이 임박해 개최 무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이에 대해 김광진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은 “민선 7기 때부터 추진해온 사업으로, 법적 시한에 맞춰 동의안을 요청한 것으로, 의회가 동의하지 않으면 사업은 (한 발짝도) 나아갈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와 대구시는 ‘달빛 동맹’ 차원에서 지난해 5월 아시안게임 공동 유치를 선언했다.
이용섭 전 광주시장과 권영진 전 대구시장은 지난해 11월 유치준비위원회를 꾸려 의욕적으로 유치에 나섰다. 광주·대구 하계아시안게임은 45개국에서 1만5000여명이 참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사업비는 국비 3246억원, 지방비 4593억원, 사업수입 2978억원 등 총 1조817억원으로 추산된다.
광주전남연구원과 대구경북연구원이 광주 시민 506명, 대구 시민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87.9%가 찬성했다.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의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에서는 비용 대비 편익(BC)이 1.1로 나와 유치 당위성도 확보했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
공동 유치 동의안이 양 시의회에서 통과되어야만 후속 절차 추진이 가능한 상황에서 대구시의회에 이어, 광주시의회에서도 문턱을 넘지 못하면서 사업 추진에 ‘적신호’가 켜진 것이다.
시의회는 이날 본회의에 앞서 전체의원 비공개 간담회를 열고 동의안 처리방식을 놓고 찬반 격론을 벌였다.
간담회에서는 미흡한 공론화 절차와 수천억 원대 지방 재정 부담 등을 우려한 신중론과 반대론이 일면서 최종적으로 보류 결정을 내렸다. 지난 7일 소관 상임위인 교육문화위원회를 통과한 지 꼬박 11일 만이다.
이날 결정은 시민단체 반발과 의회내부 신중론에다 전날 공동유치 파트너인 대구시의회가 상임위 단계에서 공론화 부족 등을 이유로 심의 유보(보류) 결정을 내린 점 등이 두루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의회 논의 과정에서도 막대한 예산 부담과 공론화 부족 등을 이유로 반대의견이 우세했다.
정무창 광주시의회 의장은 폐회사에서 “광주·대구 공동유치 동의안의 상정을 보류했다”며 “대한체육회와 문체부, 기재부 심의를 이유로 동의안 처리를 요구하는 것은 의회를 거수기로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번 동의안 역시 소통 부족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며 “공동 유치위원회를 재구성하고 대시민 여론조사와 합동 공청회를 열어 충분한 공론화 과정을 거쳐달라”고 당부했다.
이처럼 광주와 대구시의회에서 공동유치 동의안 처리가 무산되면서 ‘2038 하계 아시안게임’ 공동유치가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아시안게임을 공동으로 유치하려면 시의회의 동의를 반드시 받아야 하는데, 두 도시의 의회 모두 공동 유치에 부정적이기 때문이다.
광주시와 대구시는 국제경기대회 지원법에 따라 이달 말까지 시의회의 동의를 받아 국제행사 개최 계획서를 대한체육회에 제출해야 한다.
광주시의회와 대구시의회가 동의하지 않으면서 신청서 제출시한이 임박해 개최 무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이에 대해 김광진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은 “민선 7기 때부터 추진해온 사업으로, 법적 시한에 맞춰 동의안을 요청한 것으로, 의회가 동의하지 않으면 사업은 (한 발짝도) 나아갈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와 대구시는 ‘달빛 동맹’ 차원에서 지난해 5월 아시안게임 공동 유치를 선언했다.
이용섭 전 광주시장과 권영진 전 대구시장은 지난해 11월 유치준비위원회를 꾸려 의욕적으로 유치에 나섰다. 광주·대구 하계아시안게임은 45개국에서 1만5000여명이 참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사업비는 국비 3246억원, 지방비 4593억원, 사업수입 2978억원 등 총 1조817억원으로 추산된다.
광주전남연구원과 대구경북연구원이 광주 시민 506명, 대구 시민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87.9%가 찬성했다.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의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에서는 비용 대비 편익(BC)이 1.1로 나와 유치 당위성도 확보했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