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권생물자원관 목포서 녹조 원인물질 없애는 미세조류 발견
바이오 연료 소재 활용 가능
녹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인 질소와 인을 없애는 미세조류가 발견됐다.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연구진은 지난해 5월부터 최근까지 ‘섬·연안 야생생물자원 활용 응용기술 개발 연구’를 통해 목포시 일대의 섬과 토양에서 이번 미세조류를 찾아냈다고 23일 밝혔다.
이 미세조류는 수생태계에 부영양화인 녹조를 일으키는 질소와 인을 영양분으로 삼아 없애는 동시에 바이오연료 소재를 만들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목포시 고하도를 포함한 21개 섬의 해수, 갯벌, 토양에서 발견한 미세조류 21종 중 진도군에서 확보한 배양체에서 신종 ‘클로렐라 소로키니아나(Chlorella sorokiniana) JD1-1’을 선별했다.
이 미세조류의 생활하수 및 축산폐수 처리 능력을 실험한 결과 총질소 57.1∼204.2mg/ℓ의 폐수는 12일 동안 82%까지, 총인 0.3∼12mg/ℓ의 폐수는 7일 동안 99%까지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미세조류는 질소와 인을 영양분으로 삼아 배양액 1g당 약 7∼10%의 지질이 함유된 ‘생물 에너지원(바이오매스)’을 생산했다.
연구진은 이 미세조류를 대량으로 배양한다면 바이오디젤 등 바이오연료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 미세조류는 광합성 과정에서 1ℓ당 하루에 0.06∼0.1g의 이산화탄소를 소모하는 것으로 나타나 온실가스 저감을 이끌어내는 생물자원으로 잠재성도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가능한 이번 연구 결과 논문은 환경 분야 국제학술지인 ‘환경관리저널(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월호에 게재할 예정이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연구진은 지난해 5월부터 최근까지 ‘섬·연안 야생생물자원 활용 응용기술 개발 연구’를 통해 목포시 일대의 섬과 토양에서 이번 미세조류를 찾아냈다고 23일 밝혔다.
이 미세조류는 수생태계에 부영양화인 녹조를 일으키는 질소와 인을 영양분으로 삼아 없애는 동시에 바이오연료 소재를 만들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미세조류의 생활하수 및 축산폐수 처리 능력을 실험한 결과 총질소 57.1∼204.2mg/ℓ의 폐수는 12일 동안 82%까지, 총인 0.3∼12mg/ℓ의 폐수는 7일 동안 99%까지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미세조류는 질소와 인을 영양분으로 삼아 배양액 1g당 약 7∼10%의 지질이 함유된 ‘생물 에너지원(바이오매스)’을 생산했다.
가능한 이번 연구 결과 논문은 환경 분야 국제학술지인 ‘환경관리저널(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월호에 게재할 예정이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