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갯벌 생태계 서비스 가치 높인다
갯벌 보전관리 종합계획 착수
세계유산 생태·환경적 보존
미래가치 발굴 등 정책 선도
2022년 06월 23일(목) 19:10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전남 서남해안 갯벌의 이용·보전 방안과 새로운 미래가치 발굴을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가 본격화된다. 사진은 보성·순천 갯벌에서 뻘배를 이용해 작업하고 있는 지역민들 모습. 〈광주일보 자료사진〉
전국 최대 규모 갯벌을 보유한 전남도가 23일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갯벌의 보전·관리를 위해 종합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생태·환경적인 보존과 함께 지속적 이용 방안 마련, 새로운 미래가치 발굴 등이 과제다.

세계자연유산 ‘한국의 갯벌’ 면적은 총 1284.11㎢다. 이 가운데 신안이 1100.86㎢로 전체의 85.5%를 차지하고 있고, 그다음으로 보성·순천 59.85㎢(4.6%), 충남 서천 68.09㎢(5.3%), 전북 고창 55.31㎢(4.3%) 순이다. 또 국내 갯벌 면적은 총 2482㎢로, 이 중 전남이 1053.7㎢로 42.5%를 차지하고 있다.

연구용역은 재단법인 한국자치경제연구원과 한국수산회 수산정책연구소, ㈜연안관리기술연구소가 공동으로 12개월간 수행한다.

주요 내용은 ▲갯벌 및 주변 지역의 현황과 여건 분석 ▲갯벌의 용도별 관리구역 설정과 맞춤형 관리 수단 마련 ▲갯벌 생태관광 활성화 및 가치 확산 방안 ▲갯벌 인식 증진 및 국내외 협력에 대한 실행계획 등이다. 갯벌 생태계 서비스 가치 확대에 중점을 뒀다.

‘갯벌생태계서비스’란 인간이 생태계로부터 얻는 혜택이다. 수산물과 수자원 같은 유형적 생산물의 ‘공급서비스’, 대기정화·탄소흡수·재해방지 등 ‘환경조절서비스’, 생태관광과 휴양 등 ‘문화서비스’, 서식지 제공과 물질 순환 같은 자연 유지 기능의 ‘지지서비스’ 등이 있다.

새 정부 국정과제인 ‘갯벌 습지정원’ 조성과 한국의 갯벌 ‘세계유산통합관리센터’ 전남도 유치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맞춤형 사업 내용을 구체화하는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갯벌 습지정원은 2023년부터 2028년까지 5000억원을 들여 해양정원을 조성할 예정이다. 탄소흡수원 확대, 해양 생태계 관리시스템 구축, 지역민 소득 창출 프로그램 운영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세계유산통합관리센터는 2023년부터 2027년까지 450억원을 들여 한국의 갯벌 세계유산 통합관리 기구로 출범할 예정이다.

최정기 전남도 해양수산국장은 “세계자연유산 갯벌의 현명한 보전과 이용을 위한 지역 의견이 정부 정책으로 채택되도록 토대를 만들 것”이라며 “전남이 갯벌의 보전부터 활용까지 콘트롤 타워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광역지자체 최초로 올해 1월 ‘갯벌보전관리추진단’을 신설했다.

그동안 2022 세계 습지의 날 기념식 개최, 갯벌 생태계 복원, 식생 조성사업을 추진하는 등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를 인정받은 전남 갯벌의 위상에 걸맞은 보전관리 정책 마련에 온 힘을 쏟고 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655979000740255006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02일 14:3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