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민심 이반…총선 앞둔 지역 국회의원 ‘전전긍긍’
전남 22개 시군 중 7곳 무소속 단체장 당선
광주 ‘단체장 싹쓸이’에도 역대 최저 득표율
지방선거 ‘막장 공천’ 조사 등 혁신 바람 예고
광주 ‘단체장 싹쓸이’에도 역대 최저 득표율
지방선거 ‘막장 공천’ 조사 등 혁신 바람 예고
![]() 지방선거에서 참패한 더불어민주당이 혁신 바람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광주·전남의 민심 이반을 확인한 지역국회의원들에게 시선이 쏠리고 있다. 사진은 지난 2일 더불어민주당 윤호중ㆍ박지현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을 비롯한 비상대책위원들이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총사퇴 기자회견을 마친 후 인사하는 모습. <국회사진기자단> |
지난 6·1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에 대한 광주·전남지역 민심 이반이 심각한 것으로 확인된 가운데 ‘586 용퇴론’ 등 민주당 내의 혁신 바람도 거세게 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차기 총선을 앞두고 광주·전남지역 국회의원들의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특히, 당내에 혁신 비대위 및 혁신위가 꾸려진다면 이번 지방선거에서의 전남지역 막장 공천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우선 지방선거 결과를 놓고 보자면 광주보다는 전남지역 국회의원들의 마음이 급하다.
전남지역 22개 시·군 가운데 무소속 단체장이 당선된 곳이 목포, 순천, 광양, 강진, 진도, 무안, 영광 등 7곳에 이른다.
특히, 전남지역 5대 도시 가운데 3곳에서 무소속 단체장이 당선된 것은 지역 민심이 공천 결과에 대한 강한 반감과 함께 지역 국회의원에 대한 경고를 보낸 것으로 해석된다.
인구가 적은 기초단체에 비해 5대 도시는 유권자가 10만 이상이라는 점에서 조직 선거가 힘을 발휘하기보다 민심의 흐름이 선거 결과를 좌우하기 때문이다. 이를 반영하듯, 무소속 후보가 큰 격차로 민주당 후보를 제친 목포의 김원이 의원과 순천의 소병철 의원은 차기 총선을 앞두고 재선 가도에 비상등이 켜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역대 지방선거에서 무소속 후보가 초강세를 보였던 광양은 이번에도 같은 결과가 나왔다. 무공천 지역이었던 강진을 제외하고 영광·무안·진도 등도 예상을 뒤엎고 무소속 후보가 당선됐다. 민주당 후보가 그만큼 지역 민심의 눈높이에 부합하지 못했다는 점을 반영하고 있다. 또 지역 국회의원들에 대한 민심 이반도 상당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공천 논란 지역의 일부 국회의원들은 선거에 도움이 안 된다는 점에서 지원 유세에도 제대로 나서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무소속 후보가 당선되진 못했지만 40% 이상의 득표율을 올려 민주당 후보와 지역 국회의원의 간담을 서늘케 한 지역도 담양(43.26%) 장성(45.96%), 곡성(46.40%), 고흥(47.02%), 장흥(42.82%) 등 5곳에 이른다.
이에 광주·전남지역 최다선인 3선의 이개호 의원(영광·장성·담양·함평)과 김승남 의원(고흥·보성·장흥·강진)의 차기 총선 전망에 먹구름이 짙어지고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1심에서 실형을 받은 후보가 공천(신안군수)됐다는 점에서 서삼석 의원(무안·신안·영암)은 ‘원칙 있는 패배’보다는 ‘현실과의 타협’을 선택했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신안군수가 추후 이뤄지는 항소심 등에서 직위 상실형을 받게 된다면 ‘책임론’을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광양을 무소속에 내주고 곡성의 무소속 후보가 40% 이상을 득표함에 따라 서동용 의원(순천·광양·곡성·구례 을)과 진도를 빼앗긴 윤재갑 의원(해남·진도·완도)도 차기 총선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말이 나온다. 신정훈 의원(나주·화순)은 나주의 공천 잡음 등으로 뒷말이 나오고 있어 차기 총선에 부담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광주는 민주당이 단체장을 싹쓸이하고 광역·기초의원 선거에서도 과거와 같이 완승했다. 하지만 광주 민심이 역대 최저 득표율을 보인 점이 뼈 아프다. 광주 민심이 사실상 민주당에 대한 정치적 탄핵을 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야심차게 추진했던 청년·여성 광역의원 공천도 지역 민심과의 소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기대만큼의 공감을 만들어 내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특히, 민주당 내에서 ‘586 용퇴론’ 등 혁신 바람이 현실화된다면 차기 총선에서 광주 국회의원들이 주요 ‘타겟’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공천=당선’이라는 구도가 곧 기득권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호남 정치권의 존재감 부재에 대한 지역 민심의 눈총도 점차 거세지고 있다.
이에 따라 광주 국회의원들은 남은 임기 동안 각종 현안에 대해 강력한 정치적 목소리를 내는 것은 물론 입법 활동 등에도 전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 일부 국회의원들은 최고위원 도전 및 고위 당직 진출 등을 통해 정치적 존재감 높이기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임동욱 선임기자 tuim@kwangju.co.kr
전남지역 22개 시·군 가운데 무소속 단체장이 당선된 곳이 목포, 순천, 광양, 강진, 진도, 무안, 영광 등 7곳에 이른다.
특히, 전남지역 5대 도시 가운데 3곳에서 무소속 단체장이 당선된 것은 지역 민심이 공천 결과에 대한 강한 반감과 함께 지역 국회의원에 대한 경고를 보낸 것으로 해석된다.
인구가 적은 기초단체에 비해 5대 도시는 유권자가 10만 이상이라는 점에서 조직 선거가 힘을 발휘하기보다 민심의 흐름이 선거 결과를 좌우하기 때문이다. 이를 반영하듯, 무소속 후보가 큰 격차로 민주당 후보를 제친 목포의 김원이 의원과 순천의 소병철 의원은 차기 총선을 앞두고 재선 가도에 비상등이 켜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무소속 후보가 당선되진 못했지만 40% 이상의 득표율을 올려 민주당 후보와 지역 국회의원의 간담을 서늘케 한 지역도 담양(43.26%) 장성(45.96%), 곡성(46.40%), 고흥(47.02%), 장흥(42.82%) 등 5곳에 이른다.
이에 광주·전남지역 최다선인 3선의 이개호 의원(영광·장성·담양·함평)과 김승남 의원(고흥·보성·장흥·강진)의 차기 총선 전망에 먹구름이 짙어지고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1심에서 실형을 받은 후보가 공천(신안군수)됐다는 점에서 서삼석 의원(무안·신안·영암)은 ‘원칙 있는 패배’보다는 ‘현실과의 타협’을 선택했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신안군수가 추후 이뤄지는 항소심 등에서 직위 상실형을 받게 된다면 ‘책임론’을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광양을 무소속에 내주고 곡성의 무소속 후보가 40% 이상을 득표함에 따라 서동용 의원(순천·광양·곡성·구례 을)과 진도를 빼앗긴 윤재갑 의원(해남·진도·완도)도 차기 총선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말이 나온다. 신정훈 의원(나주·화순)은 나주의 공천 잡음 등으로 뒷말이 나오고 있어 차기 총선에 부담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광주는 민주당이 단체장을 싹쓸이하고 광역·기초의원 선거에서도 과거와 같이 완승했다. 하지만 광주 민심이 역대 최저 득표율을 보인 점이 뼈 아프다. 광주 민심이 사실상 민주당에 대한 정치적 탄핵을 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야심차게 추진했던 청년·여성 광역의원 공천도 지역 민심과의 소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기대만큼의 공감을 만들어 내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특히, 민주당 내에서 ‘586 용퇴론’ 등 혁신 바람이 현실화된다면 차기 총선에서 광주 국회의원들이 주요 ‘타겟’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공천=당선’이라는 구도가 곧 기득권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호남 정치권의 존재감 부재에 대한 지역 민심의 눈총도 점차 거세지고 있다.
이에 따라 광주 국회의원들은 남은 임기 동안 각종 현안에 대해 강력한 정치적 목소리를 내는 것은 물론 입법 활동 등에도 전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 일부 국회의원들은 최고위원 도전 및 고위 당직 진출 등을 통해 정치적 존재감 높이기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임동욱 선임기자 tu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