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나주 출신 저항시인 이석성·정우채 조명 심포지엄
나주학생운동기념관
![]() 이석성(왼쪽)과 정우채 시인 |
나주 출신 저항시인 이석성·정우채의 삶과 문학을 조명하는 한·일 심포지엄이 오는 14일 오후 2시 나주학생운동기념관에서 열린다.
‘조선 저항시인과 탈식민주의’라는 주제로 열리는 심포지엄은 나주학생독립운동기념관과 문병란시인기념사업회가 공동 주최한다.
이석성 시인과 정우채 시인은 일제 강점기 민족해방 정신을 추구했던 나주의 대표 문인이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와타나베 스미코(다이토분카대) 명예교수가 ‘식민지시대 조선에서의 국민문학’에 대해서 발제한다.
이어 김춘식 동신대 교수 사회로 ‘신채호의 혁명문예론’(김주현 경북대 교수), ‘조선 식민지기의 아나키즘 독립운동’(가메다 히로시 역사학자), ‘나주 출신의 시인, 그 문학과 의의’(김정훈 전남과학대 교수)가 진행된다.
무엇보다 이석성(본명 이창신)의 1932년 발굴시 ‘우리들의 선구자 말라테스타를 애도한다’에 대한 논문이 처음 소개되며,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주역인 정우채 시인의 ‘단결하자’를 비롯한 저항시도 논의될 예정이다.
시 낭송 시간에는 문병란의 ‘식민지의 국어시간’, 이석성의 ‘우리들의 선구자 말라테스타를 애도한다’, 정우채의 ‘단결하자’가 낭송된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조선 저항시인과 탈식민주의’라는 주제로 열리는 심포지엄은 나주학생독립운동기념관과 문병란시인기념사업회가 공동 주최한다.
이석성 시인과 정우채 시인은 일제 강점기 민족해방 정신을 추구했던 나주의 대표 문인이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와타나베 스미코(다이토분카대) 명예교수가 ‘식민지시대 조선에서의 국민문학’에 대해서 발제한다.
무엇보다 이석성(본명 이창신)의 1932년 발굴시 ‘우리들의 선구자 말라테스타를 애도한다’에 대한 논문이 처음 소개되며,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주역인 정우채 시인의 ‘단결하자’를 비롯한 저항시도 논의될 예정이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