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 처리’가 되레 영산강 수질 악화시킨다니
2021년 12월 30일(목) 00:00
광주시가 하수 정화를 위해 만든 하수처리장이 되레 영산강 수질을 악화시키는 주범으로 지목돼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상강유역환경청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영산강 수질 악화 원인을 분석한 결과, 광주 제1하수처리장 방류수에서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가 높게 나타나 영산강의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을 증가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영산강 수질이 최상류인 담양에서 1급수를 유지하다 광주시를 지나면서 4급수로 악화됐고 광산구 신촌동에서 BOD가 7.5㎎/L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비춰볼 때 광주 제1하수처리장의 방류수가 원인이라는 얘기다. 실제로 광주 제1하수처리장 방류수는 방류 시 BOD(5.0㎎/L)와 T-N(총질소) 등 수질 기준에 적합했지만, BOD가 가장 높았던 극락교 지점의 물을 분석해 본 결과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가 총질소의 73%나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영산강의 평균 BOD는 4.8㎎/L로, 낙동강(2㎎/L), 한강(1.2㎎/L) 등에 비해 최대 일곱 배가량 높은 실정이다. 영산강의 수질이 최악의 수준으로 나빠진 것은 광주시의 세심하지 못한 하수처리 방식 때문인데, 지난 2008년 하수처리장 내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시설을 절반으로 줄이면서 크게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영산강의 수질 개선이 단기간에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시는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를 낮추기 위해 2027년 완공을 목표로 15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시설 개선에 착수한 상황이지만, 향후 5년간은 영산강 수질 악화를 바라보고만 있어야 하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시설 개선 사업의 국비 비율을 높인다면 완공 시기를 좀 더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이유다. 영산강은 지방하천이 아닌 국가하천인만큼 정부가 수질 관리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640790000731404074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01일 07:4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