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봄 날씨 변덕 심했다
광주·전남 나흘에 한 번 비
평균기온 1도 이상 높아져
벚꽃 가장 빠른 3월 18일 개화
평균기온 1도 이상 높아져
벚꽃 가장 빠른 3월 18일 개화
![]() 광주 낮 최고기온이 33도를 기록하는 등 올들어 가장 더운 날씨를 보인 8일 오후 동구 금남로 5·18광장 분수가 시원스레 물을 뿜어내고 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
올해 봄은 나흘에 한 번꼴로 광주·전남에 비가 내렸다. 또 평균 기온이 평년보다 1도 이상 높아지면서 추위와 더위를 오가는 변덕스러운 날씨를 보였다.
광주지방기상청은 8일 내놓은 ‘광주·전남 2021년 봄철(3∼5월) 기후특성’ 자료에서 3월은 이상고온이 지속됐고 4월은 저온과 고온현상이 번갈아 나타났으며, 5월에는 대류 불안정으로 우박과 번개가 잇따랐다고 밝혔다.
월별 기온을 보면 3월은 평균기온(9.9도)과 최고기온(15.5도), 최저기온(5.0도) 모두 1973년 이후 가장 높았다. 이 영향으로 봄꽃이 빠르게 개화하면서 광주 벚꽃은 1939년 관측 이래 가장 이른 3월 18일 개화했다.
4월은 한파와 초여름 날씨가 동시에 나타나다가 중순 이후에는 흐리고 선선한 날이 많았고, 5월 6일 광주·전남 일 최저기온이 6.5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 지역에서 최저기온이 10도 이하를 나타냈다. 서쪽에서 발달한 저기압이 주기적으로 접근하면서 전국 강수량은 1973년 이후 7번째로 많은 330.5㎜를 기록했다. 광주·전남에선 4일에 한 번 꼴로 비가 내렸지만, 강수량은 312.3㎜ 로 평년과 비슷했다. 비가 내린 날짜도 평년보다 2.7일이 적었다.특히 5월에는 상층의 차고 건조한 공기가 자주 내려와 3일에 한 번꼴로 비가 내렸으며, 상·하층의 대기의 불안정으로 우박과 낙뢰도 잦았다.
기상청은 올해 봄철 전반기 기온이 높고 비가 많이 온 이유에 대해 “북극 기온이 평년보다 낮은 가운데 강한 극소용돌이(양의 북극진동)와 제트기류(강한 바람띠)가 고위도 지역에 형성되면서 북극의 찬 공기를 가두는 역할을 해 시베리아 고기압의 강도가 약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기상청은 봄철 후반기 선선하고 비가 자주 온 원인과 관련해선 “일시적으로 북극 기온이 오르면서 제트기류가 약해졌고 우랄산맥 부근에 따뜻한 공기 덩어리(블로킹)가 정체하면서 차고 건조한 공기가 중위도까지 남하하기 쉬운 조건이 형성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광주지방기상청은 8일 내놓은 ‘광주·전남 2021년 봄철(3∼5월) 기후특성’ 자료에서 3월은 이상고온이 지속됐고 4월은 저온과 고온현상이 번갈아 나타났으며, 5월에는 대류 불안정으로 우박과 번개가 잇따랐다고 밝혔다.
4월은 한파와 초여름 날씨가 동시에 나타나다가 중순 이후에는 흐리고 선선한 날이 많았고, 5월 6일 광주·전남 일 최저기온이 6.5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 지역에서 최저기온이 10도 이하를 나타냈다. 서쪽에서 발달한 저기압이 주기적으로 접근하면서 전국 강수량은 1973년 이후 7번째로 많은 330.5㎜를 기록했다. 광주·전남에선 4일에 한 번 꼴로 비가 내렸지만, 강수량은 312.3㎜ 로 평년과 비슷했다. 비가 내린 날짜도 평년보다 2.7일이 적었다.특히 5월에는 상층의 차고 건조한 공기가 자주 내려와 3일에 한 번꼴로 비가 내렸으며, 상·하층의 대기의 불안정으로 우박과 낙뢰도 잦았다.
기상청은 봄철 후반기 선선하고 비가 자주 온 원인과 관련해선 “일시적으로 북극 기온이 오르면서 제트기류가 약해졌고 우랄산맥 부근에 따뜻한 공기 덩어리(블로킹)가 정체하면서 차고 건조한 공기가 중위도까지 남하하기 쉬운 조건이 형성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