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광양항 선박 속도 줄여 미세먼지 확 줄였다
항만공사 저속 운항 프로그램 운영
선박 7408척 중 2216척 참여
오염물질 5.4%, 탄소 1769t 감축
연간 소나무 10만 그루 심는 효과
선박 7408척 중 2216척 참여
오염물질 5.4%, 탄소 1769t 감축
연간 소나무 10만 그루 심는 효과
![]() 여수·광양항을 이용하는 선박을 대상으로 ‘선박 저속운항 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대기오염 물질을 줄이는 효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광양항 전경. <광주일보 자료사진> |
“선박속도 줄이니 미세먼지가 확 줄었어요.”
28일 여수광양항만공사에 따르면 여수·광양항을 이용하는 선박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해 ‘선박 저속운항 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연간 소나무 약 10만 그루를 심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12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선박 저속운항 프로그램 대상 선박 7408척 중 2216척이 참여해 29.9% 수준의 참여율을 기록했다.
이 중 2120척의 선박이 저속운항을 준수해 95.6%의 준수율을 보였다.
이를 통해 선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은 5.4% 저감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산화탄소(CO) 1769t, 초미세먼지(PM2.5) 2.7t, 질소산화물(NOx) 135t, 황산화물(SOx) 5.66t이 감축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같은 오염물질 감축은 연간 소나무 약 10만 그루를 심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공사는 분석했다.
공사는 지난해 선박 저속운항 프로그램 검증 결과에 따라 7억5000만원 범위에서 다음달 인센티브를 지원할 계획이다.
인센티브는 신청 선박이 연간 총 입항 횟수의 60% 이상 저속운항을 준수할 경우 선종별 선박 입·출항료(t당 111원)를 차등 감면하는 방식으로 지급된다. 컨테이너선 30%, 일반 화물선과 LNG운반선, 자동차 운반선, 세미컨테이너선 등은 15%의 감면율을 적용받는다.
공사는 5월 1일부터는 자동차 운반선이 ‘선박 저속운항 프로그램’ 대상 선종으로 포함돼 더 많은 선박의 저속운항 참여가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김선종 여수광양항만공사 부사장(운영본부장)은 “대상 선종 추가를 통해 더욱 더 많은 선박이 선박 저속운항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홍보를 통해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방침이며, 배출물질 저감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양=김대수 기자 kds@kwangju.co.kr
선박 저속운항 프로그램
선박이 일정 속도 이하로 입항 시 항만시설 사용료를 감면해 주는 제도로, 미국의 로스앤젤레스항과 롱비치항 등지에서 해양환경 개선을 위해 2001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제도다.
28일 여수광양항만공사에 따르면 여수·광양항을 이용하는 선박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해 ‘선박 저속운항 프로그램’을 운영한 결과, 연간 소나무 약 10만 그루를 심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12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선박 저속운항 프로그램 대상 선박 7408척 중 2216척이 참여해 29.9% 수준의 참여율을 기록했다.
이를 통해 선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은 5.4% 저감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산화탄소(CO) 1769t, 초미세먼지(PM2.5) 2.7t, 질소산화물(NOx) 135t, 황산화물(SOx) 5.66t이 감축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같은 오염물질 감축은 연간 소나무 약 10만 그루를 심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공사는 분석했다.
공사는 지난해 선박 저속운항 프로그램 검증 결과에 따라 7억5000만원 범위에서 다음달 인센티브를 지원할 계획이다.
공사는 5월 1일부터는 자동차 운반선이 ‘선박 저속운항 프로그램’ 대상 선종으로 포함돼 더 많은 선박의 저속운항 참여가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김선종 여수광양항만공사 부사장(운영본부장)은 “대상 선종 추가를 통해 더욱 더 많은 선박이 선박 저속운항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홍보를 통해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방침이며, 배출물질 저감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양=김대수 기자 kds@kwangju.co.kr
선박 저속운항 프로그램
선박이 일정 속도 이하로 입항 시 항만시설 사용료를 감면해 주는 제도로, 미국의 로스앤젤레스항과 롱비치항 등지에서 해양환경 개선을 위해 2001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제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