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섭 시장 “평동 개발, 시 발전·시민 이익 부합돼야”
시정질문서 밝혀…“아파트 중심 난개발·특혜시비 있을 수 없어”
신수정 의원 “토지매입 난항 인공지능 집적단지 조성 차질 우려”
2021년 03월 30일(화) 23:10
30일 오전 광주시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시의회 제296회 임시회 시정질문에서 신수정 의원이 인공지능 집적단지 조성에 대한 시정 질의를 하고 있다.
광주시의 역점 추진 사업인 인공지능(AI) 집적단지 조성 사업이 토지 매입 단계부터 난항을 보이면서 차질이 우려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광주시의회 신수정(민주·북구 3) 의원은 30일 시의회 임시회 시정 질문에서 “토지 보상 절차가 전혀 진행되지 않아 사업 차질이 우려된다”며 “광주시가 적극적으로 토지 소유주들과 소통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 의원은 “광주시는 조성 부지인 첨단 3지구에 대한 실시계획 고시 이전부터 토지 소유주와 소통도 없이 별도로 토지 매매, 건축 허가 여부에 대한 법률 자문 등 밀실 행정을 보여줬다”고 지적했다.

인공지능 집적단지 핵심 시설인 데이터센터 구축·운영 사업자로 NHN이 선정된 것을 두고는 “BOO(민간이 주도해 소요 자금을 조달하고 운영하는 것) 방식으로 NHN을 선정한 것은 데이터센터를 민간에게 넘기는 것이다”며 NHN 주도가 아닌 공공성 확보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KDI(한국개발연구원)의 사업 타당성 보고서에 따르면 100PF(페타플롭스) 성능을 갖춘 슈퍼컴퓨터를 구축하는 기술은 국내에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며 “(NHN이 계획하는)88.9PF 성능을 지닌 세계 10위권 AI 데이터센터 구축이 정말 가능한지 의문이다”고 지적했다. 이어 “전력공급대책이 전무한데다 부지마련도 요원한 상황에서 데이터센터 조기착공이 실로 가능할지 불분명하다”고 주장했다.

광주시는 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된 첨단 3지구에 2024년까지 데이터센터, 실증 장비, 연구개발 시설, 창업 기관 등이 들어서는 인공지능 집적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한편, 이용섭 광주시장은 이날 광주시의회 임시회에서 반재신(민주·북구1) 의원이 질의한 평동 준공업지역 도시개발 사업 관련 “시 발전과 시민 이익에 부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업을 하지 않겠다”면서 “아파트 중심의 난개발과 특혜시비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사업의 원래 목적인 한류 콘텐츠 거점 도시 조성 능력이 있는 대형 엔터테인먼트 회사의 참여가 보증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류 조성 콘텐츠 조성에 1조8000억원이 들어간다”며 “(사업자가)수익 사업의 하나로 아파트를 흔히 생각하는데 주상복합 8300세대는 너무 많다. 공감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세대수를 줄어야 한다”고 했다.

광주시는 1998년 조성된 평동 준공업지역을 한류 문화콘텐츠를 가미한 미래 전략 산업 거점으로 개발하기로 하고 최근 현대엔지니어링 컨소시엄을 우선 협상 대상자로 선정했다.

현대엔지니어링 컨소시엄은 ‘한류 문화콘텐츠를 만들고, 체험하고, 공유하는 복합 플랫폼 도시 조성’을 콘셉트로 1만5000석 규모 공연장, 스튜디오, 교육·창업 지원 시설 등을 21만㎡ 부지에 설치해 시에 기부채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617113400717702004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17일 00:2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