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에너지밸리 유치기업 501개…1단계 목표 달성
투자약정 2조원·일자리 1만개 창출
2025년 에너지밸리 조성 지자체 이관
2020년 11월 25일(수) 16:50
한국전력 나주 본사 전경.<광주일보 자료사진>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를 중심으로 조성되고 있는 ‘에너지밸리’ 유치기업이 500개를 넘겼다.

한전은 1단계 유치 목표를 100% 달성했으며, 내년부터 시작하는 조성 2단계에는 광주시·전남도와 협력해 ‘기업지원 통합 플랫폼’을 구축, ‘양적 성장’에 힘을 쏟을 예정이다. ‘에너지밸리추진실’을 운영해온 한전은 오는 2025년부터는 자치단체에 이 역할을 이관할 계획이다.

25일 한전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에 36개 기업과 ‘에너지밸리 투자협약’을 체결하면서 유치기업은 누적 501개사로 집계됐다.

이는 당초 세운 1단계(~2020년) 목표를 100% 달성한 수치다.

한전은 광주시, 전남도, 한전KDN과 협업해 지난 7~11월 국내 유일 리튬인산철 베터리 셀 제조업체인 ㈜씨엠파트너와 해상풍력 연구개발 및 제조 연구소기업 ㈜구조실험네트워크 등 36개 기업과 ‘에너지밸리 투자협약’을 맺었다.

이번 협약체결에 참여한 유치기업들의 투자금액은 1235억원 상당으로, 이와 함께 530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한전 측은 내다봤다.

에너지밸리는 광주·전남 혁신도시와 인근 지역에 에너지 신산업 위주의 기업과 연구소 등을 유치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자는 취지에서 구축하는 ‘스마트 에너지 허브’다.

한전이 지난 2015년부터 5년여 동안 유치한 기업은 총 501개사로, 에너지 신산업 분야 기업이 전체의 78%(393개사)를 차지한다.

세부적으로는 신산업 51%(259개사), 전력 정보통신기술(ICT) 27%(134개사), 전력기자재 22%(108개사) 등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의 투자 협약금액은 2조1596억원에 달하며, 1만1158개의 일자리가 생겨날 것으로 전망된다.

한전과 자치단체는 올해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기업 투자를 이끌어 내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다. 하지만 전화와 화상상담 등 비대면 유치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치면서 유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다.

한전은 에너지밸리에 투자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지역 제한 경쟁을 통한 우선구매 ▲우수 기능인력 양성을 위한 인력양성 지원사업 ▲핵심역량을 활용한 연구개발(R&D) ▲해외시장 진출 등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한전이 자체적으로 운용하는 ‘예탁형 이자지원제도’를 활용해 유치기업의 자금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 제도는 한전이 예탁한 금액에서 발생한 이자를 활용해 에너지밸리 기업 대출이자를 감면하는 데 쓰인다.

올해는 한전이 에너지밸리 ‘양적 성장’을 마무리하는 해이다.

내년부터는 기업 유치 목표를 따로 세우지 않고 2단계 질적 성장을 추진하다는 뜻이다.

2단계에서는 한전과 지자체·유관기관이 상호 협력해 많은 기업이 실제 투자를 실행에 옮기도록 할 방침이다.

또 기업을 유치할 때 한국형 뉴딜(K-뉴딜) 등 정부정책과 연계한 신재생 및 에너지 효율향상 분야로 유치기업을 다각화하고, 차세대 전력산업 선도기업을 데려올 예정이다. 이와 함께 강소특구 및 에너지융복합단지 지정과 시험·인증기관 기술지원 환경조성 등 관련 인프라를 구축한다. 2022년 개교 예정인 한국에너지공과대학(한전공대), 한전에너지신기술연구소와 ‘산·학·연 클러스터’도 조성한다.

한전은 오는 2025년 에너지밸리 조성사업을 지자체로 이관하기 위해 ‘기업지원 통합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 플랫폼은 에너지신산업 인재를 양성하고 지역 교육체계를 마련한다.

에너지밸리의 질적 성장은 조성 당시부터 꾸준히 제기된 현안이다. 지난 달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의원(나주·화순)은 “에너지밸리에 입주한 기업은 569개 업체에 이르지만 이 가운데 직접 생산 승인 업체는 25.8%에 불과한 147곳으로 나타났다”며 “한전이 자치단체, 산단협의회 등과 협의체 구성을 통해 입주기업의 지역우선구매 지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606290615709153005
프린트 시간 : 2025년 07월 03일 18: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