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국회의원 전원 “구간경계조정 서둘러야”
8명중 6명, 북구 다선거구 동구로, 첨단 1·2동 북구 편입 선호
정치적 유불리 떠나 시민의 입장에서 ‘정치권 협의’ 나서야
정치적 유불리 떠나 시민의 입장에서 ‘정치권 협의’ 나서야
광주지역 국회의원 8명 전원이 도심불균형을 해소하고, 안정적인 선거구 유지를 위한 구간경계조정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중 6명은 북구 다선거구를 동구에 편입하고, 광산구 첨단1·2동의 북구 편입을 골자로 하는 구간경계조정2안(중폭)에 찬성했다.
무엇보다도 8명의 국회의원이 더불어민주당 소속이기 때문에 ‘정치권 협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21대 국회 임기 내에 “지역 의원들이 책임을 지고 구간 경계조정을 마쳐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매번 선거 때마다 인구감소 탓에 의석 수가 줄어들 우려를 낳고 있어 구간 경계조정을 서둘러 마무리한 뒤 지방선거를 치르고, 이를 통해 총선 선거구 획정 과정에서도 기존의 선거구를 유지하자는 것이다.
29일 광주일보가 8명의 지역 국회의원에게 설문조사를 한 결과, 지역 국회의원 8명 모두 구간경계조정에 찬성하고 서둘러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또 현재 논의되고 있는 광주시 구간경계조정 3가지 안 중 2안에 윤영덕(동남갑)·이병훈(동남을)·송갑석(서구을)·조오섭(북구갑)·이형석(북구을)·이용빈(광산갑) 의원 등 6명이 찬성 의견을 밝혔다.
광주시가 지난 2018년 연구용역을 통해 마련한 구간경계조정 2안은 광산구 중심의 인구 편중을 고려하고 첨단 1·2동의 산업 특성을 반영한 계획이다. 선거구 측면에서는 북구 다선거구(문화·풍향·두암1·2·3·석곡동)를 동구에 편입하고 광산구 첨단1·2동을 북구로 편입하자는 안이다.
이는 지역 갈등 최소화와 기존 행정 구역의 안전화 측면에서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고, 무등산 국립공원 관리 일원화와 과거 동구에서 분리된 지역의 재통합이라는 의미도 있다. 한편, 민형배(광산을) 의원은 ‘첨단구 신설’을 주장했고 양향자(서구을) 의원은 “구체적 방법은 다시 고민하자”는 의견을 냈다.
구간경계조정은 주민공청회 등을 연 뒤 기초의회·광주시의회와 최종 검토과정을 거친 뒤 시의회를 통과하면 행정안전부에 건의하게 된다. 하지만 그동안 이 과정에서 일부 지역민의 반발과 정치권의 ‘셈법’ 탓에 전혀 진척을 보지 못했다. 일부 정치인의 선거구가 다른 구로 옮겨가거나 축소되기 때문에 정치인간 유불리가 분명해 정치권이 비협조적이었다. 지역구 통폐합 위기에 몰린 일부 현역 의원들도 지역구 사수를 위해 선거구 획정에 반대했었다.
또 선거구 축소를 막기 위해 지난 20대 총선을 앞두고 행정구역상 남구인 백운1·2동·양림동·사직동·방림동1·2동을 인구하한선에 걸린 동구 선거구에 붙여 ‘동남갑·을’이라는 기형적 선거구를 만들었다. 이 때문에 현재 백운1·2동·양림동·사직동·방림동1·2동을 지역구로 둔 기초의원 2명과 시의원 1명은 남구청이 아닌 동구청을 상대로 의정을 펴거나 다른 지역위원회에서 활동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민주당 광주시당 송갑석 위원장은 “정치논리를 벗어나 시민의 입장에서 광주의 미래를 위해 정치권이 적극 협의해 자치구간 경계조정을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임동욱 선임기자 tuim@kwangju.co.kr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무엇보다도 8명의 국회의원이 더불어민주당 소속이기 때문에 ‘정치권 협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21대 국회 임기 내에 “지역 의원들이 책임을 지고 구간 경계조정을 마쳐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매번 선거 때마다 인구감소 탓에 의석 수가 줄어들 우려를 낳고 있어 구간 경계조정을 서둘러 마무리한 뒤 지방선거를 치르고, 이를 통해 총선 선거구 획정 과정에서도 기존의 선거구를 유지하자는 것이다.
이는 지역 갈등 최소화와 기존 행정 구역의 안전화 측면에서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고, 무등산 국립공원 관리 일원화와 과거 동구에서 분리된 지역의 재통합이라는 의미도 있다. 한편, 민형배(광산을) 의원은 ‘첨단구 신설’을 주장했고 양향자(서구을) 의원은 “구체적 방법은 다시 고민하자”는 의견을 냈다.
구간경계조정은 주민공청회 등을 연 뒤 기초의회·광주시의회와 최종 검토과정을 거친 뒤 시의회를 통과하면 행정안전부에 건의하게 된다. 하지만 그동안 이 과정에서 일부 지역민의 반발과 정치권의 ‘셈법’ 탓에 전혀 진척을 보지 못했다. 일부 정치인의 선거구가 다른 구로 옮겨가거나 축소되기 때문에 정치인간 유불리가 분명해 정치권이 비협조적이었다. 지역구 통폐합 위기에 몰린 일부 현역 의원들도 지역구 사수를 위해 선거구 획정에 반대했었다.
또 선거구 축소를 막기 위해 지난 20대 총선을 앞두고 행정구역상 남구인 백운1·2동·양림동·사직동·방림동1·2동을 인구하한선에 걸린 동구 선거구에 붙여 ‘동남갑·을’이라는 기형적 선거구를 만들었다. 이 때문에 현재 백운1·2동·양림동·사직동·방림동1·2동을 지역구로 둔 기초의원 2명과 시의원 1명은 남구청이 아닌 동구청을 상대로 의정을 펴거나 다른 지역위원회에서 활동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민주당 광주시당 송갑석 위원장은 “정치논리를 벗어나 시민의 입장에서 광주의 미래를 위해 정치권이 적극 협의해 자치구간 경계조정을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임동욱 선임기자 tuim@kwangju.co.kr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