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평군, 못자리용 상토 내년부터 직접 생산업체만 공급
보조금 입찰 자격 강화
함평지역 못자리용 상토 부정공급 의혹<광주일보 4월24일자 12면>과 관련, 함평군이 내년부터 직접 생산업체만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자격조건을 강화한다.
15일 함평군에 따르면 군은 내년부터 못자리용 상토 보조사업 입찰에서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방식을 배제하고 직접 상토를 생산하는 업체만 참여할 수 있도록 자격조건을 개선하기로 했다.
이는 입찰에서 상토 공급 업체로 선정된 후 농가 공급에는 입찰에서 탈락한 OEM 방식으로 만들어진 다른 상표의 상토가 납품되는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함평군은 또 직접 생산하는 업체로 입찰을 제한하면 입찰 참여업체 수가 지금보다 현저히 줄어들고, 지역업체 가산점 부여하는 것도 민원발생 요인이 될 것으로 우려돼 이의 개선 대책도 마련할 방침이다.
실제 이번에 부정공급 의혹을 받은 것은 상토 제품이 같은데 2개의 회사가 입찰에 참여해 이 중 지역업체 가산점을 받은 1곳이 선정됐다. 이 업체는 자신이 생산한 상토를 탈락 업체의 포장지에 담아 농가에 공급, 말썽이 됐다.
함평군 관계자는 “직접 생산하지 않은 회사들이 포장지만 만들어 입찰에 들어오다보니 문제가 발생했다”며 “올해 입찰 공고 때는 명확한 기준이 없었는데 이를 개선해 내년부터는 직접 생산하지 않은 업체는 입찰에서 배제하는 방법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함평군은 농협과 공동으로 못자리용 상토 공급 사업을 진행했다. 총 사업비 7억3125만원(군비 70%,농협 20%, 농가 10%)을 들여 총 면적 6500㏊에 달하는 못자리용 상토를 구매하는 보조사업이다.
함평군은 지난 2월 못자리용상토선정추진위원회를 열어 4개 공급업체 6개 제품을 선정했다. 4개 공급업체 중 3곳은 전남지역 업체로 알려졌다.
그러나 일부지역에 공급된 상토가 선정위에서 선정된 제품이 아닌 탈락업체 제품인 것으로 드러나 부정공급 의혹이 일었다.
함평군은 전수조사와 함께 경찰에 수사의뢰 했다. 함평경찰은 사기 및 지방재정법 위반에 대해 확인하였으나 증거 부족으로 최근 수사를 종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함평=황운학 기자 hwang@kwangju.co.kr
15일 함평군에 따르면 군은 내년부터 못자리용 상토 보조사업 입찰에서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방식을 배제하고 직접 상토를 생산하는 업체만 참여할 수 있도록 자격조건을 개선하기로 했다.
함평군은 또 직접 생산하는 업체로 입찰을 제한하면 입찰 참여업체 수가 지금보다 현저히 줄어들고, 지역업체 가산점 부여하는 것도 민원발생 요인이 될 것으로 우려돼 이의 개선 대책도 마련할 방침이다.
실제 이번에 부정공급 의혹을 받은 것은 상토 제품이 같은데 2개의 회사가 입찰에 참여해 이 중 지역업체 가산점을 받은 1곳이 선정됐다. 이 업체는 자신이 생산한 상토를 탈락 업체의 포장지에 담아 농가에 공급, 말썽이 됐다.
한편, 함평군은 농협과 공동으로 못자리용 상토 공급 사업을 진행했다. 총 사업비 7억3125만원(군비 70%,농협 20%, 농가 10%)을 들여 총 면적 6500㏊에 달하는 못자리용 상토를 구매하는 보조사업이다.
함평군은 지난 2월 못자리용상토선정추진위원회를 열어 4개 공급업체 6개 제품을 선정했다. 4개 공급업체 중 3곳은 전남지역 업체로 알려졌다.
그러나 일부지역에 공급된 상토가 선정위에서 선정된 제품이 아닌 탈락업체 제품인 것으로 드러나 부정공급 의혹이 일었다.
함평군은 전수조사와 함께 경찰에 수사의뢰 했다. 함평경찰은 사기 및 지방재정법 위반에 대해 확인하였으나 증거 부족으로 최근 수사를 종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함평=황운학 기자 hwang@kwangju.co.kr